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2021-07-27
제81강: 捲土重來(권토중래) : 흙먼지를 일으키면서 다시 돌아온다. 글 자 : 捲(말을 권), 土(흙 토), 重(무거울 중/거듭 중), 來(올 래)자로 구성된다. 출 처 ; 사기(史記) 항우본기(項羽本紀)와 중국의 역사서(한국출판공사)에 보인다. 비 유 : 실패 후에..
2021-07-19
제 80강:계포일낙(季布一諾) : 계포의 한 번 한 약속 글자 : 季(끝 계, 막내 계) 布(베 포) 一(하나 일) 諾(대답할 낙, 승낙할 낙) 출처 : 사기(史記) 계포전(季布傳)에 기록되어 전해진다. 비유 : 약속을 반드시 지킨다. 또는 틀림없이 알았다는 뜻으로 비..
2021-07-13
제79강 초비수부(楚妃守符) : 초(楚)나라 왕비가 부(符/신분확인 증표 물)를 지킨다 글 자 : 楚(가시나무 초/ 나라 초) 妃(왕비 비) 守(지킬 수) 符(부신, 부절 부) 출 전 : 유향(劉向)의 열녀전(烈女傳) 권(卷)4 정순전(貞順傳) 비 유 : 명분에 사로잡..
2021-07-06
제 78강: 南橘北枳(남귤북지) : 남쪽에서 자라는 귤이 북쪽 땅으로 옮기면 탱자가 된다. 글 자 : 南(남녘 남) 橘(귤나무 귤) 北(북녘 북) 枳(탱자나무 지)로 만들어 졌다. 본 고사의 출처는 안자춘추(晏子春秋)에서 볼 수 있다. 비유로는 환경이나 문화가 달라지면..
2021-06-29
제77강: 囊中之錐(낭중지추) : 주머니 속의 송곳 글 자 : 囊(주머니 낭) 中(가운데 중) 之(어조사 지) 錐(송곳 추) 출 처 :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 평원군우경열전(平原君虞慶列傳)에 보인다. 비 유 : 주머니 속에 든 송곳은 그 끝이 뾰족하여 주머니를..
2021-06-22
제 76강: 과하지욕(袴下之辱) : 바짓가랑이 밑을 지나가는 모욕 글자의 구성 : 袴(사타구니 과), 下(아래 하), 之(~의, 관형격조사), 辱(욕되게 할 욕) 출처 : 사마천의 사기(史記) 회음군열전(淮陰君列傳)에 기록되어 있다. 본 고사성어는 이보다 더 큰 치욕이..
2021-06-15
제75강 鳴梁大捷(명량대첩) : 명량 (울돌목) 전투에서 크게 이기다 글자 : 鳴(울 명) 梁(들보 량 / 다리 량) 大(클 대) 捷(이길 첩/싸움에 이기다) 출처 : 정유재란(丁酉再亂), 난중일기(亂中日記), 이충무공전서(李忠武公全書)등 비유 : 죽을 각오로 전투에..
2021-06-08
제74강: 盡忠報國(진충보국) : 충성을 다하여 나라의 은혜에 보답하다. 글자 : 盡(다할 진) 忠(충성 충) 報(갚을 보) 國(나라 국)의 네 글자로 되어있다. 출처 : 북서(北書) 안지의전(顔之儀傳)에 실려 전해진다. 해마다 상기하는 일이지만 6월은 호국보은(護國報..
2021-06-01
제73강: 破鏡重圓(파경중원) : 깨어진 거울이 다시 둥글게(온전하게) 되었다. ○글자는 破(깨뜨릴 파), 鏡(거울 경), 重(무거울 중/합할 중)과 圓(둥글 원)이다. ○출처는 맹계(孟棨) 본사시(本事詩) 정감(情感)에 기록되어 있다. ○비유로는 생이별 된 부부가 다..
2021-05-25
제72강: 長毋相忘(장무상망) : (추사와 제자) 오랫동안 서로 잊지 말자. 글자 : 長(긴 장/어른 장/오래 장) 毋(말 무/~하지 말라) 相(서로 상) 忘(잊을 망) 출처는 중국 섬서성(陝西省)에서 출토된 오래된 와당(瓦當)에 새겨진 말이며,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
2021-05-18
제71강 소규조수(蕭規曹隨) : 소하(蕭何)는 법을 만들고 조참(曹參)은 법을 따랐다. 글자 : 蕭(맑은대쑥 소), 規(법 규), 曹(마을 조), 隨(따를 수)로 구성된 성어이다. 출처 : 사기(史記), 조상국세가(曹相國世家)에 보인다. 비유 : 전임자로부터 쓰던 법과..
2021-05-11
제 70강 初志一貫(초지일관) : 처음 세운 뜻을 끝까지 밀고 나감 글 자 : 初(처음 초) 志(뜻 지) 一(하나 일/ 오로지 일) 貫(꿸 관)로 구성되어 있다. 의미는 처음에 가졌던 마음을 끝까지 잃지 않음을 말한다. 그리고 분명한 목표를 세우고 인내와 집중과 노력으..
2021-05-04
제 69강 母價擇選(모가택선) : 어머니의 가치 있는 선택글자는 母(어머니 모) 之( ~의) 價(값 가) 擇(가릴 택)으로 구성되어 있다.출처는 강효석의 대동기문(大東奇聞)과 장지연의 일사유사(逸士遺史)에 보인다.비유로는 어머니의 올바른 자식교육과 재물(財物)은 재앙(..
2021-04-27
제68강 : 酒池肉林(주지육림) 연못을 파서 술로 채우고, 고기를 매달은 나무가 숲을 이룬다. 글자는 酒(술 주)와 池(못 지) 肉(고기 육) 林(수풀 림)으로 조합된 고사성어다. 출처는 십팔사략(十八史略)과 사기(史記)의 하본기(夏本紀)에서 볼 수 있다. 비유로는 극..
2021-04-20
제67강 竊鉤竊國(절구절국) : 갈고리를 훔친 자(도둑)와 나라를 훔친 자(도둑) 글자는 竊(훔칠 절)과 鉤(갈고리 구)와 國(나라 국)으로 조합된 성어이다. 출처는 장자(莊子)의 거협편(莊子 ??篇)에서 볼 수 있다. 비유로는 좀도둑(갈고리 훔친 자)은 큰 벌을 받고..
2021-04-13
제66강 ?疽之仁(연저지인) : (부하의) 등창을 빨아주는 인자함. 글자 뜻 : ?(핥을 연) 疽(등창 저) 之(어조사 지) 仁(어질 인) 출전 : 사기(史記), 손자/오기열전(孫子/吳起列傳) 의미 / 비유 : 등창을 빨아주는 인자함과, 훌륭한 지도자의 표상에 비유 사..
2021-04-06
제65강 : 한식(寒食) : 차가운 음식을 먹는다. 글자 : 寒(찰 한), 食(밥 먹을 식) 출처 : 춘주좌씨전(春秋左氏傳), 열국지(列國志) 비유 : 군주가 은혜를 잊고 참회함 / 끈기, 충성, 효성, 청렴한 사람을 비유 한식(寒食)은 동지(冬至)로부터 105일째 되..
2021-03-30
제64강 孔子算法(공자산법) : 공자의 계산법 글 자 : 孔(구멍 공 / 성 공) 子(아들 자 / 존칭 자) 算(셀 산) 法(법 법) 출 처 : 중국신화전설 계산은 정확하고 공정해야 한다. 그러나 때로는 엉뚱한 계산이 맞는 경우도 있다. 유머로 사과 다섯 개가 있는데..
2021-03-23
제63강의 : 權心常守(권심상수) : 권력자의 마음은 항상 자신의 권력을 지키는데 있다. 글 자 : 權(권세 권 / 저울추 권) 心(마음 심) 常(항상 상) 守(지킬 수) 출 전 : 오상원 우화(吳尙源 寓話) 비 유 : 가진 자는 가진 것을 지키기 위해서 애쓰고, 권력..
2021-03-16
제62강 : 秉燭之明(병촉지명) : 초를 잡고 촛불을 밝히다. 글 자 : 秉(잡을 병) 燭(촛불 촉) 之(갈 지 / ~의) 明(밝을 명) 출 처 : 유향(劉向)의 설원(說苑) 건본편(建本篇) 비 유 : 늙어서 공부하기를 좋아하는 것은 촛불을 밝혀 환한 것과 같다. 이는..
2021-03-09
제61강 퇴계난택(退溪難擇) : 퇴계(退溪) 선생의 어려운 선택 글 자 : 退(물러날 퇴) 溪(시내 계) 難(어려울 난) 擇(가릴 택) 비 유 : 엄격한 윤리, 도덕보다 인간의 따뜻한 정(情)이 더 진함의 비유 퇴계(退溪)선생의 둘째 아들 채(寀)는 태어난 지 한 달..
2021-03-02
제60강 處善之勇(처선지용) : 처선(處善/조선 연산군시절의 내시)의 용기 글 자 : 處(살 처/머물다) 善(착할 선) 之( ~의, 관형격 조사) 勇(날쌜 용) 출 전 : 조선오백년야사(朝鮮五百年野史)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 비 유 : 최악의 상황이 닥친 것을 알면서도..
2021-02-23
작성자김용복|작성시간21.02.20|조회수19 제59강 : 射琴匣(사금갑) : 거문고 상자를 쏴라 글 자 : 射(궁술 사, 쏠 사) 琴(거문고 금) 匣(갑 갑, 작은 상자 갑) 출 전 : 삼국유사 기이편(三國遺事 紀異篇), 동국통감(東國通鑑) 비 유 : 왕은 하늘에서..
2021-02-16
제 58강: 위망자모(衛芒慈母) : 위(衛)나라의 자애로운 어머니 ○글 자 : 衛(지킬 위, 나라 위), 芒(까끄라기 망), 慈(사랑할 자), 母(어머니 모) ○출 전 : 유향(劉向)의 열녀전(列女傳) 제1편 모의전(母儀傳) ○비 유 : 인자(仁慈)하고 자애(慈愛)로운..
2021-02-09
제57강 만두(饅頭) : 메밀이나 밀가루를 반죽하여 소를 넣고 빚어 삶거나 찐 음식 글 자: 饅(만두 만) 頭(머리 두) 출 전 :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사물기원(事物紀原 : 饅頭疑自武候始也) 비 유: 하늘 및 조상에 제사 지낼 때 쓰는 귀한 음식. 혹은 음양(陰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