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76강 과하지욕(袴下之辱)

  • 문화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76강 과하지욕(袴下之辱)

장상현/ 인문학 교수

  • 승인 2021-06-22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 76강: 과하지욕(袴下之辱) : 바짓가랑이 밑을 지나가는 모욕

글자의 구성 : 袴(사타구니 과), 下(아래 하), 之(~의, 관형격조사), 辱(욕되게 할 욕)

출처 : 사마천의 사기(史記) 회음군열전(淮陰君列傳)에 기록되어 있다.



본 고사성어는 이보다 더 큰 치욕이 없을 때를 비유한다, 그리고 큰 뜻을 품은 사람은 하찮은 일로 논쟁을 하지 않는다는 교훈을 내포하고 있다.



한고조(漢高祖) 유방(劉邦)과 함께 한(漢)나라를 세우는데 큰 공을 세운 한신(韓信)은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났지만 어려서부터 장차 나라의 최고 명장(名將)이 되겠다는 큰 뜻을 품고 있었다. 그는 '손자병법(孫子兵法)'을 좋아해 밤낮으로 열심히 탐독하였다. 또 천하의 최고 명장(名將)을 꿈꾸며 다른 무사나 협객들처럼 늘 보검을 차고 다녔다.

하루는 그가 주막(酒幕)에서 술로써 공허한 마음을 달래고 있었다.

술 몇 모금에 취기가 오른 한신은 졸린 두 눈을 비비며 습관적으로 옆구리에 찬 검을 뽑았다. 그리고는 긴 한숨과 함께 도로 집어넣었다.

그가 몸을 비틀거리며 주막을 나와 골목에 들어서자 회음(淮陰)의 푸줏간 패들 가운데 한 젊은이가 한신을 얕잡아보고 놀려 댔다. "보아하니 덩치도 크고 무예에도 꽤나 능한 자처럼 늘 보검을 차고 다니던데 어디 나와 한번 겨뤄보지 않겠느냐?"라고 시비를 걸어왔다. 이에 한신은 "어찌 감히 너와 겨루겠느냐. 오늘은 내가 급한 볼일이 있으니 그만 길을 비켜라"라고 하자 불량사내는 "검술은 몰라도 사람을 죽이는 법은 알고 있을 테지? 겁쟁이가 아니라면 그 검으로 내 목을 쳐 보거라." 한신이 한 발자국 물러서자 불량배는 더욱 신이 나서 말했다.

"키는 8척인 놈이 배짱이라곤 눈곱만큼도 없네. 이깟 일에 벌벌 떨다니. 이 마저도 못하겠다면 내 가랑이 밑으로 기어나가 보라."라고 하며 불량배는 저잣거리 가운데 두 다리를 쩍 벌리고 섰다.

두 사람의 오가는 고성에 구경꾼들이 우르르 몰려들었고, 심한 모욕에 더는 참을 수 없어 한신은 손으로 보검을 꽉 잡고 한참 동안 그를 노려보았다.

"만약 저 자를 죽이면 나는 살인죄로 신세를 망칠 것이 분명해. 어쩌면 죽을 죄를 면치 못할지도 모르는 이 상황에서 명예나 체면을 지켜서 무엇 하리."

한신은 불량배를 한참 훑어보더니 납작 엎드려 그의 다리 사이로 엉금엉금 기어 지났다. 모여 섰던 구경꾼들은 배를 끌어안고 웃었다. 그 후 사람들은 한신을"가랑이 사이로 지나간 놈"이라고 불렀다.

'인욕(忍辱)', 그것은 '치욕(恥辱)을 참는다'는 뜻이다.

큰일을 위해서는 목전의 작은 이익에 현혹(眩惑)되어서도 안 되겠지만, 굴욕(屈辱) 또한 참고 견뎌낼 줄 알아야 한다.

주(周)나라 건국의 발판을 완전하게 닦아 놓은 문왕(文王)이 자기의 맏아들 삶은 국을 폭군 주왕(紂王)으로부터 받아 꾹 참으면서 마신 것이나, 월왕(越王) 구천(句踐)이 오왕(吳王) 부차(夫差)에게 패한 후 스스로 부하 되기를 자청하고 말똥을 치우고, 심지어는 오왕(吳王) 부차(夫差)의 대변을 찍어 맛보았던 것도 대사(大事)를 위해서는 인욕(忍辱)이 있어야 한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만약 그 때 문왕(文王)이나 구천(句踐)이 그렇게 하지 않았던들 아마 최후의 승자가 될 수 없었을 것이다.

한 철학자는 "모욕(侮辱)과 수치(羞恥)를 겪으며 배우는 것이 가장 빠르고 확실하면서 가장 오랫동안 그 교훈을 잊지 않게 해준다"라고 말한다.

굴욕은 사람들에게 깊이 생각하는 법을 가르쳐주며 순조로운 상황에서는 절대 배울 수 없는 교훈을 몸소 체험하게 해 준다. 굴욕은 더 깊은 현실체험을 통해 사회를 정확히 이해하고 한 단계 높은 수준의 사고방식을 갖고 광활한 성공의 길을 개척할 수 있게 해준다.

세월이 지난 후의 일이지만 사기(史記)를 집필한 사마천(司馬遷)은 안타까운 마음으로 한신에 대한 논평(論評)을 통해 '만약 한신이 도(道)를 배워 겸양(謙讓)을 지키며 자기의 공적을 자랑하거나 재능을 내세우는 일이 없었던들 한(漢)나라 왕조에 대한 그의 공훈은 저 주공(周公)과 강태공망(姜太公望)에 비교될 수 있는 것이어서 국가의 원훈(元勳)으로서 뒷 세상에 길이 사당(祠堂)의 제사를 받을 수 있었을 것이다.

그렇게 되기를 꾀하지 않고 천하가 이미 통일되고 난 뒤에 여전히 반역을 꾀하고 있었으니 온 집안이 전멸을 당하게 된 것도 당연한 일이 아니겠는가.

젊은 시절 모욕을 참고 성공한 처세가 말년에 역적으로 참수된 사연이 참으로 안타깝다. 역시 인간은 어떻게 죽었는가가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一勤天下無難事 百忍堂中有泰和(일근천하무난사 백인당중유태화)'라는 말이 있다.

한 번 부지런하면 천하에 어려운 일이 없고, 백 번 참으면 가정에 큰 화평이 온다는 뜻이다.

모든 사람들에게 주는 이 참다운 교훈인 참을 줄 아는 미덕(美德)이 실천으로 연결되기를 기대해본다.

장상현/ 인문학 교수

2020101301000791400027401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2.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3.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4.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5. 기후정책 질의에 1명만 답…대전 4·2 보궐선거 후보 2명은 '무심'
  1.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2. 안전성평가연구소 '국가독성과학연구소'로 새출발… 기관 정체성·비전 재정립
  3. 지명실 여사, 충남대에 3억원 장학금 기부 약속
  4. 재밌고 친근하게 대전교육 소식 알린다… 홍보지원단 '홍당무' 발대
  5. '선배 교사의 노하우 전수' 대전초등수석교사회 인턴교사 역량강화 연수

헤드라인 뉴스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12·3 비상계엄 이후 탄핵정국에서 펼쳐지는 첫 선거인 4·2 재·보궐 선거 날이 밝았다. 충청에선 충남 아산시장과 충남(당진2)·대전(유성2) 광역의원을 뽑아 '미니 지선'으로 불리는 가운데 탄핵정국 속 지역민들의 바닥민심이 어떻게 표출될지 관심을 모은다. 이번 재·보궐에는 충남 아산시장을 포함해 기초단체장 5명, 충남·대전 등 광역의원 8명, 기초의원 9명, 교육감(부산) 1명 등 23명을 선출한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놓고 여야 간 진영 대결이 극심해지면서 이번 재·보궐 선거전은 탄핵 이슈가 주를 이뤘다. 재·보궐을 앞..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과 관련, 헌법재판관들의 의견이 ‘전원일치’이면 이유의 요지를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을 낭독한다. 헌법재판소의 실무지침서인 ‘헌법재판 실무제요’ 명시된 선고 절차다. 재판관들의 의견이 엇갈리면 주문 먼저 읽은 후에 다수와 소수 의견을 설명하는 게 관례지만, 선고 순서는 전적으로 재판부의 재량에 달려있어 바뀔 수 있다. 선고 기일을 4일로 지정하면서 평결 내용의 보안을 위해 선고 전날인 3일 오후 또는 선고 당일 최종 평결, 즉 주문을 확정할 가능성이 크다. 평결은 주심인 정형식 재판관이 의견을..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제4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추진하는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이하 소호은행)이 1일 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전국 최초의 소상공인 전문은행 역할을 지향하는 소호은행은 향후 대전에 본사를 둔 채 충청권 지방은행의 역할을 일부 수행하며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소호은행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소상공인 맞춤형 금융서비스 계획을 발표했다. 컨소시엄을 이끄는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KCD) 대표는 "대한민국 사업장의 절반 이상이 소상공인, 대한민국 경제 활동 인구의 4분의 1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 3색의 봄 3색의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