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는 母(어머니 모) 之( ~의) 價(값 가) 擇(가릴 택)으로 구성되어 있다.
출처는 강효석의 대동기문(大東奇聞)과 장지연의 일사유사(逸士遺史)에 보인다.
비유로는 어머니의 올바른 자식교육과 재물(財物)은 재앙(災殃)을 낳음에 비유함
5월이 시작되었다. 통상 5월은 계절의 여왕이라고 한다. 빛나는 햇살과 살아있는 대자연, 생명들의 활발한 삶의 동력이 더없이 넘치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 생동감 넘치는 계절의 중심인 5월을 가정의 달로 정하고 부모, 형제, 이웃, 스승의 은혜에 고마움과 공경의 마음을 표하고 있다. 참 아름다운 풍속이다.
가정(家庭)은 가족(家族/부모, 자식, 형제, 부부 등 혈연)이 함께 생활하는 사회의 가장 작은 집단을 말한다.
사서(四書)중 대학(大學)의 8조목(八條目 /格物 ,致知, 誠意, 正心, 修身, 齊家, 治國, 平天下)가운데 필자는 제가(齊家)를 주목하고자 한다.
천하를 평화롭게 다스리는 데에는 제가(齊家/집안을 바르게 다스려 바로잡음)라는 덕목(德目)이 가장 기본이다. 가정이야말로 개인이 아니요 집단의 시작이기 때문이다. 그 작은 집단의 집합체가 모여서 국가도 되고 천하가 되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집안의 규범과 화목을 조화롭게 관리하는 어머니가 있고 그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고 필요하기 때문이다.
조선 후기 한 선비의 위대한 어머니의 자식교육에 대한 다스림을 본다.
조선 후기 규장각제학(奎章閣提學)을 포함하여 순조로부터 고종에 이르기까지 3대에 걸쳐 나라의 주요 요직을 두루 역임하고 나라를 위해 힘써온 송석(宋石) 김학성(金學性 1807~1875)어머니의 자식에 대한 훈훈하고 올바른 모범적 교육사례를 본다.
한양에 살던 김학성, 그의 어머니는 그가 어릴 적부터 일찍 남편을 여의고 두 아들을 어려움 속에 삯방아를 찧고, 삯바느질을 해서 김학성과 동생을 공부시켰다. 어느 여름날 하루는 방안이 더워 대청마루에 나와 삯바느질을 하고 있는데 갑자기 먹장구름과 함께 소나기가 퍼부었다.
그런데 부엌 옆 처마 밑에서 평소에 듣지 못했던 강한 금속성 소리를 듣게 되었다. 이상하게 생각한 어머니는 비가 잦아들자 궁금해서 지붕 처마 밑을 파보니 뜻밖에 그곳에는 큰 솥이 묻혀있었다, 어머니는 뚜껑을 열어보고 깜짝 놀랐다. 그 가마솥 속에 백금이 가득 차 있었다.
오래전에 난리가 나자 어느 부자가 이 집 처마 밑에 백금을 묻어놓고 피난을 간 것으로 아무도 모르는 비밀이었다.
가난에 찌든 어머니는 몹시 기뻐 어쩔 줄 몰랐으나, 그 기쁨도 잠시뿐이었다.
"아니다, 아이들이 지금 고생을 참으며 열심히 공부하여 스스로 장래를 개척하고자 하는 정신을 흔들어 놓아서는 안 된다."
이렇게 생각한 어머니는 아이들이 서당에서 돌아오기 전에 그 항아리를 마당으로 옮겨 구덩이를 더 깊이 파고 묻어 버렸다. 그 후 고민 끝에 어머니는 집을 팔고 조그마한 초가삼간을 사서 열심히 삯바느질로 아이들을 양육하였고. 어머니의 진정한 성원을 받아 열심히 공부한 김학성은 학문에 더욱 정진하여 드디어 과거에 장원급제 하였다.
그러던 어느 해 아버지 제삿날, 어머니는 그 백금 항아리 이야기를 아들들에게 하게 되었고, 이를 듣게 된 두 아들은 재물을 두고도 고생한 어머니를 안쓰럽게 여기는 말을 했다.
"어머니 그때 그 백금을 살림에 보태었으면 고생하시지도 않고 넉넉히 살 수 있었을 것 아닙니까?"
그러자 그의 어머니는 "그렇지 않느니라. 그때 너희들은 시래기죽일망정 감사히 생각하며 가문을 빛내고자 열심히 공부했다. 나도 역시 기쁘게 뒷바라지를 했었다. 그런데 만일 그 재물 때문에 마음이 흔들렸다면 어찌 되었겠느냐. 본디 사람은 가난이 무엇인지 알고서야 재물의 참다운 가치를 아는 법이다. 갑자기 들어온 재물(財物)이 재액(災厄)의 원인이 됨을 명심하여라. 노력하지 않고 돈을 번 사람은 크게 되기 어렵다. 노력해라."
그의 어머니는 자식들을 훌륭하게 키우기 위해 편한 길이 아닌 어려운 길을 택했던 것이다.
과연 어머니는 위대하다.
우리는 역사를 통하여 훌륭한 인재들의 출현을 알고 있다. 그 훌륭한 인재들의 뒤에는 언제나 훌륭한 어머니의 뼛속 깊은 진정한 성원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할 것이다.
동양의 거유(巨儒)인 맹자(孟子)도 어머니의 삼천지교(三遷之敎) 덕분에 그 위대함을 이룰 수 있었음을 인정해야 할 것이다. 어디 어머니의 역할이 꼭 외국에만 있겠는가? 또 훌륭한 인재의 어머니에게만 국한되어 있겠는가! 그렇지 않다. 동서고금(東西古今)을 막론하고 이 세상에 존재하는 어머니들은 모두 위대한 어머니라고 할 수 있다.
가정의 달 첫 일성(一聲)으로 하고 싶은 요약된 단어를 필자는 단연 '어머니'를 꼽는다. 어머니들의 헌신(獻身)은 곧 가정의 화목과 평안을 가져옴은 물론 한 나라의 기반을 튼튼히 다지는 원동력이 되기 때문이다.
여기에 강릉 친정 생활을 정리하고 어머니를 떠나 한양으로 가면서 대관령을 넘으며 지은 신사임당(申師任堂)의 시(詩) '유대관령망친정(踰大關嶺望親庭)'을 소개한다.
慈親鶴髮在臨瀛(자친학발재임영) 자애로운 하얀 머리 어머니 임영(강릉)에 두고
身向長安獨去情(신향장안독거정) 장안(한양) 향해 홀로 가는 이 마음
回首北村時一望(회수북촌시일망) 고개 돌려 북촌을 한 번 바라보니
白雲飛下暮山靑(백운비하모산청) 흰 구름 하늘 아래 저무는 산만 푸르구나.
화목(和睦)을 기반으로 평안과 행복이 늘 넘치는 모든 가정이 되도록 기원해 본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