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김용복|작성시간21.02.20|조회수19
제59강 : 射琴匣(사금갑) : 거문고 상자를 쏴라
글 자 : 射(궁술 사, 쏠 사) 琴(거문고 금) 匣(갑 갑, 작은 상자 갑)
출 전 : 삼국유사 기이편(三國遺事 紀異篇), 동국통감(東國通鑑)
비 유 : 왕은 하늘에서 보호하는 초월적 존재, 그리고 정월 보름날 찰밥 먹는 유래
신축(辛丑)정월 초하루(설)를 맞아 즐거운 한 때를 보낸지 엊그제 같은데 벌써 보름이 지나는 정월 대보름이 내일 모레이다. 세월이 참 빠르다는 것을 새삼 느끼게 한다.
정월의 보름달은 지구와 달의 거리가 평소보다 가장 가까워지는 시기에 뜨는 보름달이라 하여 대보름(일명 슈퍼문)이라고 한다. 대보름달은 다른 보름달보다. 16% 이상 크고, 30% 이상 밝다고 한다. 따라서 사람들은 밝은 달에 정성을 들여 한 해의 개인 소원과 모두의 소망인 풍년을 기원하는 제사 등 신령한 행위와 축제를 통해 새로이 시작되는 한 해에 대하여 마음의 준비를 한다. 정월 대보름에 얽힌 고사를 살펴보자.
신라 제21대 비처왕(毗處王/일명 소지왕(炤知王)10년(488년) 1월 15일, 왕이 금오산에 있는 천천정(天泉亭)에 거동했다. 이때 까마귀와 쥐가 와서 우는데, 쥐가 사람 말로 이르기를 "이 까마귀가 가는 곳을 따라가 보시오"했다.
왕이 자기가 직접 갈 수 없어 기사(騎士)에게 명하여 까마귀를 따르게 한 바, 남쪽의 피촌(避村)이라는 마을에 이르렀는데, 그곳에서 돼지 두 마리가 서로 싸우고 있는 것을 보고 이를 한참 구경하다가 구경에 정신이 팔려, 까마귀가 간 곳을 잊어버리고 말았다. 기사는 크게 당황하며 까마귀를 찾기 위해 길 주변을 배회하고 있었다. 이때 한 노인이 연못 가운데로부터 걸어 나와 기사에게 한 통의 글을 바치며 왕께 갖다드리라 하고 사라졌다.
기사는 그 글을 왕께 바쳤고 왕이 봉투를 받아보니 겉봉에 다음과 같이 적혀있었다.
'열어보면 두 사람이 죽고 안 열어보면 한 사람이 죽을 것(開見則二人死 不開則一人死)'이라고 쓰여 있었다. 왕은 두 사람보다 한 사람이 죽는 것이 낫다고 생각해서 열어보지 않으려 하였으나, 일관(日官)이 아뢰기를 "두 사람은 보통사람이고 한 사람은 임금을 가리키는 것이니 열어보셔야 합니다"라고 하므로 봉투를 열어보니, 그 속에는 하얀 종이에 정성스레 쓴 글씨로 '궁중의 거문고 상자를 쏴라(射宮中琴匣/사궁중금갑)'라고 쓰여 있었다.
왕이 편지를 보고 급히 궁으로 돌아와 왕의 거실에 들어가니 침대 옆에 놓아둔 거문고갑이 눈에 들어왔다. 왕이 지체없이 활로 거문고갑을 쏘자, 그 안에 평소 왕비와 정(情)을 통하여오던 중(僧)이 왕비와 함께 숨어있었다. 그들은 장차 왕을 해치고 왕이 되려고 숨어있던 것이었다. 이러한 일이 있은 후 왕은 정월보름을 '오기일(烏忌日)'이라 정하고 찰밥(오곡밥)으로 까마귀에게 공양하게 하였다. 그리고 이 사금갑 사건 이후로 매년 정월 첫 돼지, 쥐, 말의 날에는 모든 일을 삼가고 동작을 함부로 하지 않는다고 삼국유사에 실려 전해지고 있다.
그리고 이날엔 까마귀에게 찰밥으로 공양하며 제사를 지내는 풍속으로 계속 이어졌고, 다른 말로는 연못에서 글이 나왔다고 해서 '서출지(書出池)'라고도 한다.
까마귀는 조선시대의 '흉조(凶鳥) 까마귀'라는 인식과 달리, 고려시대까지만 해도 삼국유사 표현을 빌어 '영험하고 빛을 상징하는 짐승'으로 여기고 신령하게 생각했다. 그리고 그날 이후 정월보름날 오곡밥을 지어 먹는데, 오곡밥은 세 집 이상의 밥을 먹으면 그 해의 운이 좋다고 하여 여러 집의 오곡밥을 서로 나누어 먹었다고 한다.
이제까지 전해지는 대보름날의 풍속은 다양하고 의미가 깊은 놀이와 행사로 이어져 왔는데, '개 보름 쇠듯 한다'는 속담처럼 개에게 음식을 주지 않았는데, 만약 음식을 주면 여름에 파리가 많이 꼬인다고 하여 굶기기도 했다. 또한 아침에 소에게 나물과 밥을 줘서 밥을 먼저 먹으면 풍년이, 나물을 먼저 먹으면 흉년이 든다고 농사일을 점치기도 했다.(일명 農占/농점).
이어지는 풍속놀이는 각 지방마다 다르지만 맥기풍(麥祈風), 찰밥(오곡밥)과 묵나물 먹기, 부럼, 농점(農占/소밥주기), 달맞이, 쥐불놀이 등에, 아이들은 연 날리기, 바람개비, 실 싸움, 돈치기를 했고, 어른들은 놋다리밟기, 횃불싸움, 줄다리기, 동채싸음 등 다양한 놀이와 행사를 즐겼다.
올해는 2월 26일이 정월 대보름으로 예로부터 정월 대보름을 '상원(上元), 또는 오기일(烏忌日)'이라고도 한다. 상원은 중원(中元·7월 15일), 하원(下元·10월 15일)과 함께 삼원(三元) 중 하나로 설날만큼이나 비중을 크게 여겼다. 설날부터 대보름까지는 빚 독촉도 하지 않았으며, 세배를 드릴 수 있는 마지막 날이기도 하다.
오늘날에는 다양한 서양문화와 놀이가 유입되어 성행하므로 우리의 의미 깊은 풍속이 점점 사라져 가는 것이 매우 아쉽고 안타깝다.
세상은 변해도 민족의 혼(魂)과 미풍양속은 면면히 이어지길 바랄 뿐이다.
장상현/ 인문학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