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 뜻 : ?(핥을 연) 疽(등창 저) 之(어조사 지) 仁(어질 인)
출전 : 사기(史記), 손자/오기열전(孫子/吳起列傳)
의미 / 비유 : 등창을 빨아주는 인자함과, 훌륭한 지도자의 표상에 비유
사기(史記) 손자/오기열전(孫子/吳起列傳)에 등장하는 대장군 오기(吳起)는 전국시대 초기의 병법가(兵法家)이다.
그는 위(衛)나라의 부자집 아들로 태어났으며 고위관리가 되고자 하는 꿈이 있었다. 그러나 뜻을 이루기도 전에 재산을 탕진하여 주변에 웃음거리가 되었으며, 이에 자기를 비웃은 사람 30여 명을 죽이고 이웃나라로 도망을 친다.
오기(吳起)는 고향을 떠나면서 스스로 팔꿈치 살을 물어뜯으며 "대신(大臣)이나 재상(宰相)이 되기 전에는 절대 돌아오지 않겠습니다"라며 어머니에게 맹세했다. 그 후 오기는 노(魯)나라에 가서 공자의 제자 증삼(曾參)의 문하에 들어갔으나 모친이 죽었는데도 고향에 돌아가서 상복(喪服)을 입지 않았다하여 쫓겨나게 된다.
이 사건 이후 오기는 유학(儒學)을 단념하고 병법(兵法)을 익혀 명장(名將)이 된다.
이때 제(齊)나라가 노(魯)나라를 공격해오자 노나라 왕은 오기를 장군으로 삼고자 했으나 그의 아내가 제(齊)나라 사람이라는 이유로 신하들의 반대에 부딪쳤다. 그러자 오기는 자신의 아내를 죽여 장군이 되기 위해 마침내 살처구장(殺妻求將)의 충성을 보여준 후 장군으로 기용되어 제나라를 물리친 후에 유명해졌다.
전쟁을 마친 후 오기는 위(衛)나라 출신이라는 점 때문에 다시 충심(忠心)을 의심받자 노나라를 떠나, 위(魏)의 문후(文侯)에게 몸을 의탁하게 된다.
위나라 문후는 재상 이극(李克)이 "오기는 탐욕스럽고 호색하지만 병법에 있어서는 그를 따를 자가 없습니다"라며 천거했기에 오기를 장군으로 임명해서 진(秦)의 다섯 성을 뺏는 데 성공한다. 오기는 장군이 되어 늘 병사들과 동일한 환경에서 생활(먹고, 자고)하므로 병사들로부터 진심으로 존경을 받고 있었다.
한번은 병사 중 한 명이 심한 종기로 인해 사경(死境)을 헤매고 있자, 오기는 이를 보고 자기 입으로 직접 피고름을 빨아 병을 낫게 해주었다. 그런데 이 이야기가 종기로 아팠던 병사의 어머니에게 전해졌는데, 소식을 들은 어머니는 갑자기 목 놓아 울기 시작했다 한다. 사람들이 이상히 여겨 우는 이유를 물으니 병사의 어머니가 말하기를 "몇 해 전 오기 장군의 휘하에 있던 그의 아버지 역시 오기장군이 고름을 빨아주어 종기를 깨끗이 치료한 적이 있습니다. 그 병사의 아버지는 장군의 은공에 감복하여 전투에서 은혜에 보답하고자 죽음을 불사하고 용맹하게 싸우다 결국은 목숨을 잃고 말았습니다. 이제 아들이 또 오기 장군에게 다시금 큰 은혜를 입은 것은 목숨이 얼마 남지 않았음이니 슬픔을 참을 길이 없습니다"라고 말하면서 더욱 큰 소리로 울었다.
자기를 알아주던 사람에게 은혜를 갚는다는 것은 정당하지만 어려운 처사이다.
춘추시대 진(晉)나라 때 예양(豫讓)이라는 협객이 자기를 등용해 인정해주던 옛 주인의 은혜를 갚고자 자객으로 행동하다 실패하여 참형을 당하면서 하던 말 '士爲知己者死 女爲悅己者容(사위지기자사 여위열기자용)'이란 유명한 말을 인용하고 있다.
즉, 남자는 자기를 알아주는 사람을 위하여 목숨을 바치고, 여자는 자기를 사랑하는 사람을 위하여 단장(丹裝)을 한다는 말이다.
이런 면에서 보면 오기는 인간의 감성을 확실히 이해했던 장군이다. 그는 조직 구성원 즉, 병사들의 신뢰를 얻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라는 것을 알았고 그래서 행동으로 병사들의 신뢰를 얻으려고 노력했던 것이다.
세간(世間)에 오기에 대한 평가(評價)는 두 가지로 갈린다.
첫째는 인정이 많고 아랫사람을 사랑하며 동고동락(同苦同樂)으로 군대 사기를 돋우어 전투능력을 배가시키는 위대한 장군상이다.
둘째로는 자기 출세를 위해 어떠한 행동도 서슴지 않고 행할 수 있는 비정한 사나이로 평가된다.
이에 한비자(韓非子)의 글에 이런 일화가 있다.
오기가 하루는 옛 친구를 만나 식사를 하자고 했는데, 친구가 "그래. 내가 좀 볼 일이 있어서 잠깐 일 좀 보고 먹자"고 했고, 오기는 "그래. 뭐 자네 돌아오면 먹지"라고 대답했는데, 저녁이 되도록 친구는 오지 않았고 오기는 끝까지 밥을 먹지 않고 기다리다가 결국 하루 종일 식사를 하지 않았다.
다음 날 아침, 오기는 사람을 보내 옛 친구를 찾아오게 했고 친구가 오자 그때서야 함께 식사를 하였다고 한다. 오기의 집념과 고집, 인내심을 짐작케 하는 일화이다.
어쨌든 사기의 저자 사마천은 오기에 대해 평(評)하기를 장수로서 우수성보다 인간미가 박정하고 비정한 사람으로 기록하고 있다.
우리 인간사는 조직이나 공동체의 일원으로 살아간다. 현대사회에서 볼 때 오기는 철저한 자기위주의 인간형이기는 하나 조직을 잘 관리하고 운영하는 지혜와 실천은 본받을 만하다.
특히 지도자의 경우 자기희생은 지도력과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자기 위주이면서도 남을 속이며, 자기를 과신하는 지도자는 후세에 어떠한 평가를 받을까? 자신을 성찰(省察)해 볼 필요가 여기에 있지 않을까?
장상현/ 인문학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