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2023-10-31
제185강 阿諛苟容(아유구용 : 아첨하려고 구차스럽게 얼굴을 꾸미다 글자 뜻 : 阿(언덕 아/ 아첨하다) 諛(아첨할 유) 苟(구차할 구) 容(얼굴 용) 출 전 : 사기(史記), 염파/ 인상여 열전(史記, 廉頗/藺相如 列傳) 비 유 : 남의 환심(歡心)을 사려고 알랑거리..
2023-10-17
제184강: 棉授花衣(면수화의) : 목화는 꽃과 옷을 제공하여 준다. 글 자 : 棉(목화 면), 授(받을 수), 花(꽃 화), 衣(옷 의)로 구성된다. 출 처 : 한국인의 지혜(韓國人의 智慧). 조선 오백년 야사(朝鮮 五 百年 野史) 비 유 : 두 가지를 다 이롭게 해..
2023-10-10
제183강: 快山寃牛(쾌산원우) : 쾌산(快山)에서 원통하게 죽은 소 글 자 : 快(쾌할 쾌) 山(뫼 산) 寃(원통할 원) 牛(소 우) 출 처 : 孤山遺稿(고산유고) 雜著(잡저) 敍懷(서회) 비 유 : 자신은 옳은 일에 매진했으나 도리어 죄를 얻게 됨을 비유 사람들이..
2023-09-26
제182강: 正正堂堂(정정당당) :(태도나 처지, 수단 따위가)가 꿀림이 없이 바르고 떳떳함. 정정(正正) : 말과 행동이 바른 모습 당당(堂堂) : 다른 사람에게 내세울 만큼 떳떳하고 번듯한 모습 '정정당당(正正堂堂)'이란 표현은 손자(孫子)가 쓴 손자병법(孫子兵法)..
2023-08-29
제180강: 井中之蛙(정중지와) : 우물 안의 개구리 이는 제한된 환경과 지식 내에서만 세상을 바라보는 현상을 말할 때 사용된다. 마치 우물 안에서만 세상을 바라보는 개구리처럼, 우리 인간들은 종종 우리의 생각과 지식의 한계와 자기가 처한 환경 속에서 자기만을 보고 세..
2023-08-15
제179강: 광복절(光復節)의 의미(意味)를 돌아본다. 2023년 8월 15일은 우리나라가 광복(光復)을 맞은 지 78년이 되는 해이다. 우리는 이 날을 이른바 광복절(光復節)이라고 하며, 국가적인 경축행사와 경축연(慶祝宴)을 병행하고 있다. 광복절(光復節)은 1949..
2023-08-02
제171강: 亡羊補牢(망양보뢰): 양을 잃고서 우리를 고친다. 글 자 : 亡(망할 망/ 잃을 망) 羊(양 양) 補(도울 보/ 수리할 보) 牢(우리 뢰) 출 전 : 戰國策(전국책), 楚策(초책) 비 유 : 일을 실패한 뒤에 바로 수습하면 그래도 늦지 않음을 비유. 전국..
2023-07-11
제170강 : 人面桃花(인면도화) : 복숭아꽃처럼 어여쁜 얼굴 글자 뜻 : 人(사람 인) 面(얼굴 면) 桃(복숭아 도) 花(꽃 화) 출전 : 孟棨(맹계) 本事詩(본사시) 情感(정감) 비유 : 사랑하는 아름다운 여인, 사랑하는 사람을 다시 만나지 못하게 된 경우. 지금..
2023-07-04
제169강: 薄技大用(박기대용) : 하찮은 기술이라도 크게 쓰일 수 있다. 글 자 : 薄(얇을 박) 技(기술 기) 大(큰 대) 用(쓸 용) 출전 : 회남자(淮南子) 도응훈(道應訓) 의미 / 비유 세상 모든 사람들은 어떻든 한 가지 재주는 있는 법. 비범한 재주는 비범한..
2023-06-27
未亡人(미망인) : 아직 죽지 않은 사람. 남편을 따라 죽지 않은 아내를 가리키는 말. 글 자 : 未(아닐 미/ 아직 ~~하지 못하다.) 亡(망할 망/ 죽을 망) 人(사람 인) 출 처 : 左傳(좌전) 노장공(魯莊公) 28년(노장공 28년) 의 미 : 전쟁터나 기타 지역..
2023-06-06
제171강: 掩耳盜鈴(엄이도령) : 귀를 막고 방울을 훔치다. 글 자 : 掩(가릴 엄), 耳(귀 이), 盜(훔칠 도), 鈴(방울 령) 출 처 : 여씨춘추(呂氏春秋) 불구론(不苟論) 자지편(自知篇) 비 유 : 얕은 꾀를 써서 남을 속이려 하나 아무 성과가 없다는 것과 남..
2023-05-30
제170강: 文殊大聖(문수대성) : 문수보살(文殊菩薩)의 큰 지혜와 덕 출 처 : 삼국유사(三國遺事), 삼국사기(三國史記), 한국의 야사(韓國의 野史) 지난 토요일(5월 27일)은 부처님 오신 날이다. (불기 2576년) 중생을 구제하려는 부처의 진심을 깨닫고 그 진리..
2023-05-24
제165강 : 多岐亡羊(다기망양) : 여러 갈림길 때문에 양(羊)을 잃었다 글 자 : 多(많을 다), 岐(갈림길 기), 亡(망할 망/ 잃을 망), 羊(양 양) 출 처 : 열자 설부편(列子 說符篇), 장자 병무편(莊子 騈拇篇) 비 유 : 학문 역시 갈래가 너무 많아 참된..
2023-05-16
제168강: 李莞之密(이완지밀) : 이완(조선 효종 때 훈련대장)의 치밀함 글 자 : 李(성씨 이/ 오얏 이), 莞(빙그레 웃을 완), 之(어조사 지), 密(빽빽할 밀) 출 처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고금청담(古今淸談)], 한국고사성어(林鐘大) 비 유 : 자기의 소..
2023-05-09
제167강:孝善雙美(효선쌍미) ; 효(孝)와 선(善)은 두 가지 다 아름답다 글 자 : 孝(효도 효), 善(착할 선), 雙(쌍 쌍), 美(아름다울 미) 출 처 : 三國遺事(삼국유사) 권5, 孝善(효선)」9 眞定師孝善雙美(진정사효선쌍미) 비 유 : 효도(孝道)와 착함(善..
2023-04-25
제162강: 義比爲國(의비위국) : 개인적인 의리보다는 나라를 위해야 한다. 글 자 : 義(옳을 의), 比(견줄 비), 爲(위할 위), 國(나라 국). 출 처 : 고려사 절요(高麗史 節要) 한국의 인간상(韓國의 人間象) 비 유 : 대의(大義)를 위해서는 작은 일은 버려..
2023-04-18
제161강: 黨同伐異(당동벌이) : 같은 편과는 무리를 짓고, 다른 편은 친다. 글 자 : 黨(무리 당) 同(같을 동) 伐(칠 벌) 異(다를 이) 출 전 : 후한서(後漢書) 당고전(黨錮傳) 비 유 : 옳고 그르고 간에 같은 사람은 편들고, 다른 파의 사람을 배격함을 비..
2023-04-11
제160강: 杯中蛇影(배중사영) : 술잔에 비친 뱀 그림자 글 자 : 杯(잔 배) 中(가운데 중) 蛇(뱀 사) 影(그림자 영) 출 전: 동한 응소(東漢 應?) 풍속통의(風俗通義)와 진서 악광전(晉書 樂廣傳) 비 유 : 스스로 의혹하는 마음이 생겨 고민하거나 아무것도 아..
2023-03-28
제159강:절장보단(絶長補短) : 긴 것을 잘라 짧은 것에 보탠다. 글 자 : 絶(끊을 절), 長(긴 장), 補(기울/옷을 깁다 보, 도울 보), 短(짧을 단) 출 전 : 전국책(戰國策) 초책(楚策) 비유 : 장점(長點)이나 넉넉한 것으로 단점(短點)이나 부족한 것을..
2023-03-21
제158강:移木之信(이목지신) : (공손앙이)나무를 옮겨 백성의 신임을 시험함 글 자 : 移(옮길 이) 木(나무 목) 之(어조사 지) 信(믿을 신) 출 전 :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 상군열전(商君列傳) 비 유 : 남을 속이지 않거나 약속을 반드시 지킨다는 것을..
2023-03-07
제157강: 得魚忘筌(득어망전) : 물고기를 잡으면 통발을 버린다. 글 자 : 得(얻을 득), (魚물고기 어), 忘(잊을 망/ 버릴 망), (筌통발 전) 출 처 : 장자, 외물편(莊子, 外物篇) 비 유 : 바라던 바를 이루고 나면 이를 이루기 위하여 했던 일들을 잊어버..
2023-02-21
제156강:七縱七擒(칠종칠금) : (적을) 일곱 번 놓아주었다가 일곱 번 사로잡음. 글 자 : 七(일곱 칠) 縱(늘어질 종, 용서할 종) 擒(사로잡을 금) 출 전 : 三國志演義(삼국지연의) 蜀書 諸葛亮傳(촉서 제갈량전) 비 유 : 상대방을 자유자재로 요리하는 재주를 비..
2023-02-14
제156강:夜臥八尺(야와팔척) : 집이 천 칸인 큰 집이라도 누워 잠자는 공간은 여덟 자면 충분. 글 자 : 夜(밤 야) 臥(누울 와/ 누워 자다) 八(여덟 팔) 尺(자 척/길이를 나타냄) 출 처 : 도연명(陶淵明)의 독산해경(讀山海經)의 詩 비 유 : 욕심 없이 일신..
2023-02-07
제154강: 蚌鷸之勢(방휼지세) : 조개와 도요새의 세력 다툼 글 자 : 蚌(민물조개 방) 鷸(도요새 휼) 之(관형격 조사/ ~~의) 勢(기세 세) 출 처 : 전국책(戰國策) 연책(燕策) 비 유 : 서로 맞서서 양보하지 않고 다투는 형세(대립하는 두 세력이 잔뜩 버티고..
2023-01-31
제153강:白龍魚服(백룡어복) : 흰 용이 물고기의 옷을 입는다. 글 자 : 白(흰 백) 龍(용 룡) 魚(물고기 어) 服(입을 복) 출 처 : 서한인(西漢人) 유향(劉向)의 설원(說苑) 정간(正諫)편 비 유 : 신분이 높은 분이 서민의 옷을 입고 미행(微行)하는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