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155강 夜臥八尺(야와팔척)

  • 오피니언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155강 夜臥八尺(야와팔척)

장상현/인문학 교수

  • 승인 2023-02-14 11:03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156강:夜臥八尺(야와팔척) : 집이 천 칸인 큰 집이라도 누워 잠자는 공간은 여덟 자면 충분.

글 자 : 夜(밤 야) 臥(누울 와/ 누워 자다) 八(여덟 팔) 尺(자 척/길이를 나타냄)

출 처 : 도연명(陶淵明)의 독산해경(讀山海經)의 詩

비 유 : 욕심 없이 일신(一身)과 정신(精神)이 편안히 쉬고자 함의 비유



이 글은 본래 大廈千間 夜臥八尺(대하천간 야와팔척)에서 나온 말이다.

이는 '천 칸이나 되는 큰 집도 밤에 누워 자는 곳은 여덟 자면 충분하다'는 뜻 이다.

*여덟 자는 주(周)나라 ~ 한(漢)나라까지 1尺은 22.5cm(22.5*8=180cm)이었다.

집이라는 것이 원래 원시시대의 동굴로부터 시작되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비바람과 맹수의 습격을 막고, 불을 피워 음식을 조리해 먹고, 잠을 편히 잘 수가 있는 동굴이면 집으로서 족하였다.

衆鳥欣有託(중조흔유탁/ 뭇 새들은 의탁할 곳 있어 기뻐하고

?吾亦愛吾廬(오역애오려/ 나 또한 내 초막 사랑한다오.

이는 도연명(陶淵明)이 산해경(山海經)을 읽고 지은 시(詩)의 내용 중 일부이다.

'저녁때 돌아갈 집이 있다는 것/ 힘들 때 마음속으로 생각할 사람이 있다는 것/ 외로울 때 혼자서 부를 노래가 있다는 것' 나태주 시인의 짧은詩 '행복'의 전문이다.

중국 역사를 보면 요·순(堯舜)임금 시대에는 임금들도 초가집을 궁궐로 삼아 선정(善政)을 베풀었다. 그러다가 하(夏)나라 걸 왕(桀 王)이 인도에서 들여온 상아 젓가락을 사용하면서부터 요·순시대의 근검절약 정신이 깨어지기 시작했다.

상아 젓가락을 사용하다 보니 거기에 맞는 밥그릇과 밥상을 새로 고급스럽게 만들어야 했고, 그러다 보니 방의가구들도 사치해지고 결국 집 전체가 달라졌다.

그러나 아무리 방이 천 개나 되고 넓고 화려한 집에 산다 하더라도 밤에 잠자리로 차지할 수 있는 공간은 여덟 자(사방 약 2m) 안팎일 뿐이다.

징기스칸이 유라시아대륙에 걸치는 어마어마한 넓이의 땅을 영토로 차지하였지만 결국 얼마 되지 않는 넓이의 무덤에 빈손으로 누웠을 뿐이다. 그는 자기를 관(棺)속에 넣을 때 두 손을 관 밖으로 내놓으라고 유언한 일화는 너무나 유명하다.

자신의 장례식을 통하여 인생은 결국 빈손으로 간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했던 것이다. "夜臥八尺"으로 자족할 줄 아는 마음가짐을 가져 감사와 만족이 늘 따르는 인생이 되어야 할 것이다.

조선 중기 때 문신 '면앙정 송순(宋純)'은 대사헌과 우참판을 지낸 인물이다.

그런 그가 벼슬에서 물러난 후 전남 담양에 지은 집이 겨우 초가삼간(草家三間)이다.

십 년을 경영하여 초가삼간 지어 내니

나 한 칸, 달 한 칸에 청풍 한 칸 맡겨두고

강산(江山)은 들일 데 없으니 둘러두고 보리라

역시 고풍스런 선비의 의연한 모습은 상상조차 하기 힘들다,

당시 양반들은 유교의 덕목인 검소함을 실천하기 위해 작은 집에 살아도 부끄러워하지 않았다. 그들은 삶의 개념을 '大廈千間 夜臥八尺(대하천간 야와팔척/ 큰 집이 천 칸이라도 밤에 잘 때는 여덟 자면 만족하고) 良田萬頃 日食二升(양전만경 일식이승/좋은 밭이 만 이랑이라도 (하루에 먹는 쌀의 량은)두 되 정도면 족하니라.)'

이는 선비들이 인생 최대의 즐거움을, 열심히 학문을 연구하는 것으로 삼고, 사치와 욕심을 배척하는 삶을 최고의 가치로 삼고 살았던 것이다.

집이란 인간의 피곤한 삶에 지친 몸을 편안하게 쉴 수 있고, 또 에너지를 재충전하여 내일의 일에 대하여 계획하는 공간으로서 반드시 필요한 공간이다. 그리고 가정을 이루어 부모, 부부, 자식까지 서로 믿으면서 화합하고, 사랑을 베풀 수 있는 무한한 행복의 터전인 것이다. 이것이 어쩌다가 재산증식이란 욕심의 중심적 역할이 되어 온 나라를 들끓게 하는 꼴이 되었다.

명절이나 큰일을 치르고 나서 집에 오면 모두들 이구동성(異口同聲)으로 "기어들어갔다 기어 나와도 내 집처럼 편안한 곳이 없다."라고들 한다.

온 나라가 부동산문제로 시끄럽다. 사태의 본질은 시장 자율화를 통한 충분한 공급정책을 펴지 못한데 있다. 값이 오르면 오르는 대로 희비(喜悲)가 엇갈리고, 집값이 내려가면 내려가는 데로 희비가 교차한다. 이는 편안함의 공간이 아니라 욕심을 부추기는 재산의 애물단지이기 때문이다.

옛 선비들의 고고한 정신을 따라가지는 못하더라도 욕심의 중심에서 편히 쉬는 공간이 화(禍)를 부르는 재앙덩어리가 되지 않토록 해야 할 것이다.

비록 집은 작고 허술해도 마음 편하게 쉴 수 있으면 최고의 '행복 공간'이 되는 것이다. 집이 욕심과 사치의 상징이 되면 쉴 공간도 없이 평생을 피로함 속에서 살아가게 되는 신세가 되는 것이다.

장상현/인문학 교수

2020101301000791400027401
장상현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2.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3.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4.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5. 기후정책 질의에 1명만 답…대전 4·2 보궐선거 후보 2명은 '무심'
  1.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2. 안전성평가연구소 '국가독성과학연구소'로 새출발… 기관 정체성·비전 재정립
  3. 지명실 여사, 충남대에 3억원 장학금 기부 약속
  4. 재밌고 친근하게 대전교육 소식 알린다… 홍보지원단 '홍당무' 발대
  5. '선배 교사의 노하우 전수' 대전초등수석교사회 인턴교사 역량강화 연수

헤드라인 뉴스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12·3 비상계엄 이후 탄핵정국에서 펼쳐지는 첫 선거인 4·2 재·보궐 선거 날이 밝았다. 충청에선 충남 아산시장과 충남(당진2)·대전(유성2) 광역의원을 뽑아 '미니 지선'으로 불리는 가운데 탄핵정국 속 지역민들의 바닥민심이 어떻게 표출될지 관심을 모은다. 이번 재·보궐에는 충남 아산시장을 포함해 기초단체장 5명, 충남·대전 등 광역의원 8명, 기초의원 9명, 교육감(부산) 1명 등 23명을 선출한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놓고 여야 간 진영 대결이 극심해지면서 이번 재·보궐 선거전은 탄핵 이슈가 주를 이뤘다. 재·보궐을 앞..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과 관련, 헌법재판관들의 의견이 ‘전원일치’이면 이유의 요지를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을 낭독한다. 헌법재판소의 실무지침서인 ‘헌법재판 실무제요’ 명시된 선고 절차다. 재판관들의 의견이 엇갈리면 주문 먼저 읽은 후에 다수와 소수 의견을 설명하는 게 관례지만, 선고 순서는 전적으로 재판부의 재량에 달려있어 바뀔 수 있다. 선고 기일을 4일로 지정하면서 평결 내용의 보안을 위해 선고 전날인 3일 오후 또는 선고 당일 최종 평결, 즉 주문을 확정할 가능성이 크다. 평결은 주심인 정형식 재판관이 의견을..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제4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추진하는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이하 소호은행)이 1일 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전국 최초의 소상공인 전문은행 역할을 지향하는 소호은행은 향후 대전에 본사를 둔 채 충청권 지방은행의 역할을 일부 수행하며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소호은행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소상공인 맞춤형 금융서비스 계획을 발표했다. 컨소시엄을 이끄는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KCD) 대표는 "대한민국 사업장의 절반 이상이 소상공인, 대한민국 경제 활동 인구의 4분의 1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 3색의 봄 3색의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