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185강 아유구용(阿諛苟容)-제1편

  • 오피니언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185강 아유구용(阿諛苟容)-제1편

장상현/인문학 교수

  • 승인 2023-10-31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185강 阿諛苟容(아유구용 : 아첨하려고 구차스럽게 얼굴을 꾸미다

글자 뜻 : 阿(언덕 아/ 아첨하다) 諛(아첨할 유) 苟(구차할 구) 容(얼굴 용)

출 전 : 사기(史記), 염파/ 인상여 열전(史記, 廉頗/藺相如 列傳)

비 유 : 남의 환심(歡心)을 사려고 알랑거리며 구차스럽게 행동한다.





'아첨(阿諂)'이란 낱말은 '남에게 잘 보이려고 알랑거리며 비위를 맞춤. 또는 그렇게 하는 짓.'이라고 그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동아 새 국어사전 1999 두산동아)

그러나 요즈음 젊은이들은 자신의 주장이 당당하며, 표현 또한 명확하고, 소신껏 행동한다. 최소한 남에게 잘 보이려고 알랑거리는 태도나 구차한 변명을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너무 고집스럽고 자기만을 아는 차갑고 절박한 심성(心性)이 아쉽기는 하다.

그런데 혹자는 "아첨은 때에 따라 자기의 소망을 이루고 출세하는데 어쩌면 가장 쉽고 남보다 앞서는 처세술"이라고 한다. 이는 아마 군주(君主)나 지도자(指導者)급 사람들이 대개 아부를 좋아하기 때문이다.

중국 전국시대 조(趙)나라의 명장 염파(廉頗)에게는 식객(食客)이 많았다.

염파는 당시 전장에 출정하였다하면 승리하여 돌아오곤 하여 군주인 혜문왕(惠文王)으로부터 하사받은 땅과 재물이 넉넉해서 전국에서 식객들이 구름같이 모여들었고, 염파 자신도 식객들과 어울리기를 좋아하여 가끔씩 술자리도 베풀고 함께 즐겼다.

그런데 왕(王)의 절대적인 신임을 받던 그가 진(秦)나라와의 일전(一戰)에서 왕이 적국의 이간책(離間策)에 넘어가 강제로 은퇴(隱退)를 당했다. 그러자 식객들은 거의 염파를 떠나가 버렸다. 그러다 후임자인 조괄(趙括)과 40만 명이 몰살당하자 왕이 다시 염파를 대장군으로 복귀시켰다. 그러자 뒤도 돌아보지 않고 뿔뿔이 떠났던 식객들은 하나 둘 다시 모여 들었다. 오히려 식객들이 먼저보다 더 많아졌다. 식객들은 전처럼 염파에게 갖은 아양을 다 떨며 아유구용(阿諛苟容) 하는 것이었다.

염파는 역겨운 생각이 들어 식객들을 쫒아내려 하였다.

이때 어느 식객이 웃으며 말하기를 "그렇게 화내실 일이 아닙니다. 무릇 사람들은 자신에게 이익이 되는 곳에 붙게 되어 있습니다. 군주에게 권세가 있을 때는 군주를 따르고, 권세가 떨어지면 군주를 떠나는 것입니다. 이보다 확실한 일은 없습니다."

이 말을 듣고 염파는 탄식하며 말했다. "이것이 바로 시도지교(市道之交)가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시도지교(市道之交) : 이익(利益)이 있으면 서로 합(合)하고, 이익이 없으면 서로 헤어지는 시장(市場)의 장사꾼들의 교제(交際).

사람들은 누구나 돈이나 권세 앞에, 또는 남의 환심을 사기 위해 알랑거리는 阿諂(아첨)은 배격(排擊)하고자 한다.

윗자리에 있는 사람은 자기는 아부하는 사람을 싫어하고 불이익을 준다고 내세우기는 하나 자기비위를 맞추는 부하를 좋아한다. 아랫사람도 알랑거리는 것과는 담을 쌓았다고 큰소리치지만 은연중에 상사에게 듣기 좋은 말을 하는 자신을 발견하곤 한다.

'인간은 아첨하는 동물'이란 말이 있을 정도로 자신도 모르게 힘 앞에 무력해지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를 나타내는 말이 많은 것도 아첨을 조심하라는 의미일 것이다.

사람이 살아감에 힘 있는 쪽으로 쏠리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생존의 방식이고, 사람은 타인의 인정을 받고 싶어 하기 때문에 아부 또한 생존경쟁의 한 속성이라고 본다. 그런데 문제는 자신의 이익을 노골적으로 관철시키려는 아첨(阿諂)행위에 있는 것이다.

"까마귀는 죽은 사람을 쪼아 먹지만 아첨은 산 사람을 먹어 치운다"는 말이 있다.

자신의 사적이익(私的利益)을 위해 공론(公論)을 파괴하는 사람이 있다. 그들은 교언영색(巧言令色, 남에게 잘 보이려고 그럴듯하게 꾸며 대는 말과 알랑거리는 태도)을 하고 정도가 심해지면 타인을 모략(謀略)하기까지도 한다.

아첨과 관련된 유명한 말로는 교언영색과(巧言令色) 곡학아세(曲學阿世), 연옹지치(?癰?痔), 불수상분(拂鬚嘗糞), 슬행마시(膝行馬矢) 등도 있다.

치열한 생존경쟁의 여건에서 살아남으려면 아첨하는 인간이 되지 않을 수가 없다고 할 수도 있겠지만 치질 앓는 밑을 핥는다는 연옹지치형 인간이 되어서야 되겠는가?

아첨형 인간은 조직을 갉아먹고, 리더가 상황판단을 잘못하게 만들며, 동료들과의 관계마저도 결국은 망가뜨린다. 이런 인간들은 리더의 자질에 대해서는 별 관심 없이 오직 그 리더를 통해 자신의 목적한 바를 이루어내고자 할 뿐이다. 리더를 보려면 부하를 보라는 말이 있다. 그런데 이상한 것은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자신의 이익을 얻어내는 것이 성공이라고 생각하는 아첨형 사람들 중에는 권세와 재력이 있는 사회의 지도자급들이 오히려 더 많다.

요즈음 일부 정치인들의 처세나 행동을 보면 '아비구용의 달인(達人)'으로 여겨지는 사람들이 있어 청렴하고 부끄러움을 아는 참신한 정치인들을 싸잡아 욕먹게 한다.

善諛者不忠 好諫者不? 察乎此則 鮮有失矣(선유자불충 호간자불배 찰호차즉 선유실의/아첨을 잘하는 자는 충성하지 못하고, 간(諫)하기를 좋아하는 자는 배반하지 않으니. 이를 살펴 유념하면 실수하는 일이 적을 것이다.(목민심서 이전육조 용인편)

그런 사람을 뽑은 국민의 손이 오히려 부끄럽다. (제2편으로 이어집니다.)

장상현/인문학 교수

2020101301000791400027401
장상현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2.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3.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4.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5. 기후정책 질의에 1명만 답…대전 4·2 보궐선거 후보 2명은 '무심'
  1.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2. 안전성평가연구소 '국가독성과학연구소'로 새출발… 기관 정체성·비전 재정립
  3. 지명실 여사, 충남대에 3억원 장학금 기부 약속
  4. 재밌고 친근하게 대전교육 소식 알린다… 홍보지원단 '홍당무' 발대
  5. '선배 교사의 노하우 전수' 대전초등수석교사회 인턴교사 역량강화 연수

헤드라인 뉴스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12·3 비상계엄 이후 탄핵정국에서 펼쳐지는 첫 선거인 4·2 재·보궐 선거 날이 밝았다. 충청에선 충남 아산시장과 충남(당진2)·대전(유성2) 광역의원을 뽑아 '미니 지선'으로 불리는 가운데 탄핵정국 속 지역민들의 바닥민심이 어떻게 표출될지 관심을 모은다. 이번 재·보궐에는 충남 아산시장을 포함해 기초단체장 5명, 충남·대전 등 광역의원 8명, 기초의원 9명, 교육감(부산) 1명 등 23명을 선출한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놓고 여야 간 진영 대결이 극심해지면서 이번 재·보궐 선거전은 탄핵 이슈가 주를 이뤘다. 재·보궐을 앞..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과 관련, 헌법재판관들의 의견이 ‘전원일치’이면 이유의 요지를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을 낭독한다. 헌법재판소의 실무지침서인 ‘헌법재판 실무제요’ 명시된 선고 절차다. 재판관들의 의견이 엇갈리면 주문 먼저 읽은 후에 다수와 소수 의견을 설명하는 게 관례지만, 선고 순서는 전적으로 재판부의 재량에 달려있어 바뀔 수 있다. 선고 기일을 4일로 지정하면서 평결 내용의 보안을 위해 선고 전날인 3일 오후 또는 선고 당일 최종 평결, 즉 주문을 확정할 가능성이 크다. 평결은 주심인 정형식 재판관이 의견을..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제4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추진하는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이하 소호은행)이 1일 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전국 최초의 소상공인 전문은행 역할을 지향하는 소호은행은 향후 대전에 본사를 둔 채 충청권 지방은행의 역할을 일부 수행하며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소호은행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소상공인 맞춤형 금융서비스 계획을 발표했다. 컨소시엄을 이끄는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KCD) 대표는 "대한민국 사업장의 절반 이상이 소상공인, 대한민국 경제 활동 인구의 4분의 1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 3색의 봄 3색의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