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184강 면수화의(棉授花衣)

  • 오피니언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184강 면수화의(棉授花衣)

장상현/ 인문학 교수

  • 승인 2023-10-17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184강: 棉授花衣(면수화의) : 목화는 꽃과 옷을 제공하여 준다.

글 자 : 棉(목화 면), 授(받을 수), 花(꽃 화), 衣(옷 의)로 구성된다.

출 처 : 한국인의 지혜(韓國人의 智慧). 조선 오백년 야사(朝鮮 五 百年 野史)

비 유 : 두 가지를 다 이롭게 해주는 경우를 비유한다.





벌써 10월이 중순을 넘어서고 있다. 절기로는 한로(寒露)가 지나고 상강(霜降)을 맞는 계절이다. 이 때만큼 좋은 계절도 없는 듯하다. 날씨는 춥지도 덥지도 않고, 들판에 황금물결을 비롯한 오곡백과(五穀百果)가 주인의 거둠을 기다리고 있다. 이어 주위에는 청명한 하늘과 맑은 물, 그리고 단풍 등이 마냥 즐거움을 토해내고 있기 때문이다

옛 문헌에 한로의 초후(初候/한로부터~ 5일)에는 기러기가 와서 머물고, 중후(中候/5일~10일)에는 참새의 수가 줄고, 말후(末候/10~15일)에는 국화(菊花)가 노랗게 핀다고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이 계절은 얻음과 맑음을 즐기며 서서히 겨울을 준비하는 시기의 시작이 되는 것이다.

우리는 예로부터 지혜(智慧)로움과 청렴(淸廉)함을 생활상 으뜸의 가치로 여겨왔다. 이제 가을의 결실을 접해 지혜로움과 풍요로움을 생각하며 마냥 행복한 때만 기억하고 싶다.

조선 영조(英祖)의 비(妃) 정성왕후(貞聖王后)가 별세하여 3년 상(三年喪)을 치르자 영조가 직접 새로운 중전을 간택(揀擇)하기로 하였다. 그래서 기라성(綺羅星)같은 사대부(士大夫)의 규수(閨秀)들을 차례로 둘러보는데, 한 규수가 자기 아버지 성함을 적어 표시해놓은 방석을 피해 맨바닥에 앉아 있었다.

이상히 여긴 영조가 물었다.

"어찌하여 그대는 방석에 앉지 않고 맨바닥에 그리 앉아 있는가?"라고 묻자

"네!, 비록 종이에 쓴 것이라고는 하오나 아버지의 존함이 맨땅 위에 있는데 제가 어찌 감히 방석 위에 앉을 수 있겠습니까?"

왕비(王妃)를 간택할 때는 그 규수가 뉘 댁의 딸인지 알아보기 쉽도록 저마다의 방석머리에 아버지의 명패(名牌)를 두었는데 그를 두고 한 말이었다. 영조는 그 규수의 사려 깊은 행동에 감탄했다.

영조가 다시 여러 규수들에게 시험하여 물었다.

"이 세상에서 가장 깊은 것은 무엇인가?"

이에 어떤 규수는 산골짜기가 가장 깊다 하고, 어떤 규수는 물이 가장 깊을 것이라 하는 등 대답이 구구했으나 유독 조금 전의 그 규수만이 다르게 말했다.

"사람의 마음이 가장 깊습니다." 임금께서 "무슨 이유인가?"라고 묻자

"사물의 깊이는 자로 잴 수가 있으나 사람의 마음은 잴 수 없기 때문입니다."

영조가 또 물었다.

"그럼 세상에서 가장 좋은 꽃은 무엇인가?"

어떤 규수는 복숭아꽃이 좋다 하고, 혹은 모란꽃이 좋다 하고, 혹은 해당화가 좋다고 하는데, 그 규수만은 또 달랐다.

"목화 꽃이 가장 좋습니다." 영조가 그 까닭을 물었다.

"다른 꽃은 한 때만 보기 좋으나 목화 꽃은 피었을 때에는 꽃이 좋고, 나중에는 솜이 되거나 무명베가 되어서 세상 사람들을 따뜻하게 해주니 좋습니다."

한 번도 아니고 세 번이나 지혜로운 대답을 들은 영조는 감탄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래서 그녀를 중전으로 맞으니 바로 그분이 정순왕후(貞純王后)이시다.

그 규수가 대궐로 들어가니 그녀의 의상을 만들기 위하여 상궁이 나인에게 치수를 재라 했다. 그러자 상궁에게 무례함을 지적하여 말하였다.

"내가 이제 중전이 될 몸이니 상궁이 직접 재어야 되지 않는가?"

그 때가 그녀의 나이 겨우 15세 때의 일이었다.

훗날 정조(正祖)가 이 일을 상기하여 조관(朝官)들에게 화부화(花復花/ 꽃이 진 뒤에 또 꽃이 된다)가 무엇이냐고 물으니 채제공(蔡濟恭) 한 사람만이 '목화(木花/목화는 꽃이 진 뒤에도 솜이 되어 꽃처럼 보인다)'라고 맞혔다 한다.

15세의 어린 소녀가 이처럼 깊이 있는 생각을 하고 있다는 사실에 놀라지 않을 수 없다. 그것도 지엄하신 임금 앞에서 당당히 자기 소신을 명확히 밝히는 지혜와 용기에 그저 놀라울 따름이다.

지금 이 시대의 여인들의 지혜는 조선시대의 여인네들보다 더욱 총명(聰明)을 더 한다. 그 이유는 문명과 과학의 발달이 지속적으로 누적되고 전수되어 인간의 생각과 사고(思考)를 한 차원 높고 깊게 발전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어쩐지 요즈음은 진실보다는 포장(包藏)에 신경을 더 쓰는 듯하여 씁쓸하다. 겉 모습으로 사람을 평가하는 풍조가 짙기 때문이다.

겉치레보다 진실을 추구했던 어린 소녀의 지혜!

이러한 지혜들이 모아지고 존숭(尊崇)되어 실현되었으므로 조선이 오백년이란 긴 세월동안 깊고 아름다운 문화의 숨결이 살아있었던 이유가 아니겠는가!

서양의 문명에 이미 젖어있는 물질만능(物質萬能)과 금전(金錢)과 재물(財物)이 최우선으로 취급받는 세상에서 마음속의 진실과 타고난 지혜로움을 통해 내적으로 살찌고 풍요로운 옛 정서(情緖)의 나라로 회귀(回歸)하여 오랫동안 이어갔으면 한다.

마치 15세 소녀가 마음에 간직한 진실된 지혜를 소신껏 주장하고, 상대는 이를 높이 평가하여 받아들인 것처럼 서로가 서로를 존중하는 사회를 이루었으면 하는 마음 간절하다.

장상현/ 인문학 교수

2020101301000791400027401
장상현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2.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3.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4.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5. 기후정책 질의에 1명만 답…대전 4·2 보궐선거 후보 2명은 '무심'
  1.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2. 안전성평가연구소 '국가독성과학연구소'로 새출발… 기관 정체성·비전 재정립
  3. 지명실 여사, 충남대에 3억원 장학금 기부 약속
  4. 재밌고 친근하게 대전교육 소식 알린다… 홍보지원단 '홍당무' 발대
  5. '선배 교사의 노하우 전수' 대전초등수석교사회 인턴교사 역량강화 연수

헤드라인 뉴스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12·3 비상계엄 이후 탄핵정국에서 펼쳐지는 첫 선거인 4·2 재·보궐 선거 날이 밝았다. 충청에선 충남 아산시장과 충남(당진2)·대전(유성2) 광역의원을 뽑아 '미니 지선'으로 불리는 가운데 탄핵정국 속 지역민들의 바닥민심이 어떻게 표출될지 관심을 모은다. 이번 재·보궐에는 충남 아산시장을 포함해 기초단체장 5명, 충남·대전 등 광역의원 8명, 기초의원 9명, 교육감(부산) 1명 등 23명을 선출한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놓고 여야 간 진영 대결이 극심해지면서 이번 재·보궐 선거전은 탄핵 이슈가 주를 이뤘다. 재·보궐을 앞..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과 관련, 헌법재판관들의 의견이 ‘전원일치’이면 이유의 요지를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을 낭독한다. 헌법재판소의 실무지침서인 ‘헌법재판 실무제요’ 명시된 선고 절차다. 재판관들의 의견이 엇갈리면 주문 먼저 읽은 후에 다수와 소수 의견을 설명하는 게 관례지만, 선고 순서는 전적으로 재판부의 재량에 달려있어 바뀔 수 있다. 선고 기일을 4일로 지정하면서 평결 내용의 보안을 위해 선고 전날인 3일 오후 또는 선고 당일 최종 평결, 즉 주문을 확정할 가능성이 크다. 평결은 주심인 정형식 재판관이 의견을..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제4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추진하는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이하 소호은행)이 1일 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전국 최초의 소상공인 전문은행 역할을 지향하는 소호은행은 향후 대전에 본사를 둔 채 충청권 지방은행의 역할을 일부 수행하며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소호은행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소상공인 맞춤형 금융서비스 계획을 발표했다. 컨소시엄을 이끄는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KCD) 대표는 "대한민국 사업장의 절반 이상이 소상공인, 대한민국 경제 활동 인구의 4분의 1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 3색의 봄 3색의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