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전시
2023-03-28
대전시립교향악단은 3월 31일 오후 7시 30분 대전시립연정국악원 작은 마당에서 '챔버 시리즈 1 트럼펫과 실내악'을 선보인다. 대전시립교향악단은 공연의 성격에 따라 다양한 시리즈의 연주회를 선보이고 있다. 그중 '챔버 시리즈'는 소규모 실내악 연주로 연주자의 손끝까지..
2023-03-26
대전시의 문화시설 관람료 할인 혜택이 대폭 확대된다. 물론 대전시의회 의결 절차가 남았지만, 복지혜택을 늘리고 대전으로 이전하는 공공기관을 위한 배려라는 점에서 무난히 본회의를 통과할 것으로 보인다. 대전시의회는 3월 28일 제270회 임시회를 열고 11일간 의사일정에..
2023-03-23
속보=청년예술가 지원을 강화하겠다던 대전시가 청년 작가의 산실이라고 할 수 있는 ‘작가 레지던스 사업’을 외면하고 있다. 인기가 많아 전국에서 치열한 경쟁을 뚫고 대전으로 모이고 있는 청년 작가들의 창작공간인 ‘대전테미예술창작센터’를 내쫓고 제2문학관을 건립할 예정이어..
2023-03-22
대전예술의전당 신임 관장에 김덕규<사진> 중부대 교수가 내정됐다. 취재결과, 대전시가 22일 대전예술의전당 관장직(4급 상당 개방형 직위) 공모 결과를 발표한 가운데 김덕규 교수가 최종 합격한 것으로 확인됐다. 대전시립청소년합창단 예술감독 겸 상임 지휘자를 지낸 김 교..
2023-03-21
속보=대전 테미예술창작센터 작가 레지던스 사업이 표류 위기에 처해 문화계에서 "건물 이전문제로 사업을 폐지하거나 축소하면 안 된다"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본보 2023년 3월 21일 자 2면 보도> 출신 작가들이 레지던스 사업을 통해 예술계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
2023-03-21
대전신세계갤러리는 봄의 기운을 담은 전시 '꽃 피었습니다'를 4월 23일까지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각기 다른 매체와 기법으로 아름다운 꽃을 피워내는 가국현, 김민주, 김지원 소윤아, 장준석, 정우범, 진민욱, 차규선, 홍지윤 작가의 작품 총 74점을 소개한다. 우리에..
2023-03-21
따스한 봄을 맞아 지역 공연계도 들썩이고 있다. 만개한 벚꽃처럼 풍성한 공연들이 관객 맞이에 분주하다. 이럴 땐 집에만 움츠려 있지 말고 '공연 나들이'를 떠나보자. 국악, 클래식, 무용, 합창, 연극 등 다채로운 장르가 기다리고 있다. <편집자 주> ◆ '오전에 즐기..
2023-03-21
대전 대흥동에 위치한 갤러리 '스페이스 테미'는 4월 6일까지 안시형 작가의 '사물은 눈에 보이는 것보다 가까이에 있다'는 개인전을 연다. 이번 안시형 개인전은 스페이스 테미의 김주태 큐레이터와 갤러리 R의 류병학 객원큐레이터가 공동기획한 전시다. 1995년 동의대학교..
2023-03-20
경쟁률 22.6대 1에 달하는 대전 테미예술창작센터 ‘작가 레지던스 사업’이 표류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매년 테미예술창작센터에서 입주예술가 창작 활동 지원을 위한 레지던스 사업이 진행 중이지만, 센터를 철거한 후 제2문학관 건립한다는 대전시의 계획 때문이다..
2023-03-19
2022년 전국 공연예술 매출이 처음으로 4000억 원대를 돌파했지만, 여전히 수도권 중심의 문화 수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발표한 '지역별 공연시장 규모, 특성과 성장 가능성' 조사에서 2022년부터 지난 3년간 전체 공연예술 시장 추이를..
2023-03-14
지역 미술인들의 축제인 '대전미술제'가 3월 16일 대전예술가의 집 3층 전시실에서 열린다. 대전 미술협회 전문작가들만의 기획전인 '대전미술제'는 신진작가에서부터 중견작가, 원로작가들의 작품 전시로 미술인들이 모여 진행하고 현대미술의 다양한 흐름을 찾아가는 자리다. 이..
2023-03-14
대전시립연정국악단은 3월 16일 오후 7시 30분 제186회 정기공연 신춘음악회 '청춘(靑春)'을 국악원 큰마당 무대에 올린다. 이번 공연은 봄이 오는 소리를 국악관현악으로 선보인다. 폭넓은 음악적 이해와 국악기 본연의 음색을 담아내는 이승훤 대전시립연정국악단 예술감독..
2023-03-14
옛 동양척식(주) 대전지점 건물을 복원해 만든 복합문화공간 '헤레디움'이 3월 16일 정식 개관해 시민들을 맞이한다. 재단법인 CNCITY 마음에너지재단은 지난해 준공한 대전의 문화예술공간 헤레디움에서 계룡건설과 공동 주최로 '인동 100년: 역사가 되다'를 개최한다고..
2023-03-12
이응노미술관이 지역 작가들을 대상으로 운영 중인 '파리 이응노 레지던스 사업'을 두고 작가 입주 시설 개선과 창작활동 지원금 현실화 등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대전시의회 행정자치위원회는 10일 이응노미술관 추진 사업인 '파리 이응노 레지던스' 활성화를 위한 정책..
2023-03-09
대전고암미술문화재단 이응노미술관과 국립현대미술관이 협력전시와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사업은 국립현대미술관이 운영하는 '국공립미술관 협력망 사업'의 일환인데, 국내 미술관중 올해는 유일하게 이응노미술관이 선정됐다. 9일 이응노미술관에 따르면 협력 전시는 올해 11..
2023-03-07
대전시립합창단이 제160회 정기연주회 '셰익스피어 인 러브'를 3월 9일 오후 7시 30분 대전예술의전당 아트홀 무대에서 선보인다. 영국의 시인이자 극작가인 윌리엄 셰익스피어(W.shakespeare)가 남긴 작품 중 사랑의 텍스트가 담긴 음악을 모아 노래한다. 대중적..
2023-03-07
대전시립교향악단은 3월 10일 저녁 7시 30분, 대전예술의전당 아트홀서 '마스터즈 시리즈 4 멘델스존 교향곡 제3번'을 연주한다. 이번 연주는 유럽과 아시아 등지에서 활발한 연주 활동을 하고 있는 이영칠이 객원지휘로 나선다. 2010년 주네스 국제 콩쿠르에서 한국인..
2023-03-07
제32회 대전연극제에서 전문예술단체 극단 새벽의 '산책:신채호의 삶과 사랑이야기'가 대상을 차지했다. 대전연극협회는 3월 1일부터 개최한 대전연극제에서 극단 호감의 '안티고네', 극단 떼아뜨르 고도의 '조선으로 베다', 전문예술단체 극단 새벽의 '산책' 총 3개 작품이..
2023-03-07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자연의 재료로 '손맛'을 고집하는 작가들이 있다. 바로 조각가다. 창조주 마냥 흙, 돌, 철 등 여러 재료를 사용해 빚거나 깎고, 붙여 하나의 정교한 형상을 만들어낸다. 조각가들은 생각을 입체로 표현하기 위해 사물의 본질을 알고 섬세한 작업을 이어..
2023-03-05
피아노 선율이 흐른다. 차이코프스키의 사계와 베토벤 월광 소나타, 쇼팽 발라드인데 넘칠 정도로 웅장한 음향이 귀를 사로잡았다. 건물 1층 정중앙에는 공연을 위한 피아노가 있고 피아노를 중심으로 객석은 원형이다. 무대와 객석을 구분하지 않았는데, 연주 후 연주자와 관객들..
2023-03-03
350년 역사를 자랑하는 세계 최정상 발레단인 '파리 오페라 발레단'이 30년 만에 내한해 대전을 찾았다. 명실상부 클래식 발레의 종가답게 한해 190회 공연을 진행하는 파리 오페라 발레단은 올해 첫 해외 투어로 대전 예술의전당서 3월 3일~4일 양일간 낭만 발레의 백..
2023-02-28
이제 메타버스 공간에서도 고암 이응노 화백의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재)대전고암미술문화재단은 28일 2022년 문화체육관광부가 주관한 '스마트미술관 구축 지원' 국비 매칭사업(국비 1억 원, 지방비 1억 원)을 통해 구축한 '메타버스 이응노미술관'을 공개했다. 고암..
2023-02-26
대전의 대표 근대건축물이자 일제강점기 옛 '동양척식주식회사' 건물에 새로 조성한 복합문화예술공간 '헤레디움'에서 클래식 음악회가 열린다. CNCITY 에너지 마음에너지재단은 '헤레디움 클래식 시리즈'의 서두로 3월 3일 피아니스트 박종훈의 'Romantic Piano..
2023-02-22
‘준준브라더스’ 공연이 20일 서구 정림동에 있는 카페에서 열렸다. 공연팀은 김학준 서구청 주민복지국장과 대전시 공무원 퇴직 후 유튜버로 활동하는 가수 여인준 씨의 이름 '준'자를 따서 팀을 이뤄 8년 동안 지역에서 노래하는 통기타 남성듀엣이다. 뒷골목 경제 활성화와..
2023-02-21
대전 ‘윤갤러리’와 비영리단체 ‘꽃담미디어’는 2023년 기획전 '입춘대길 Happy New Year' 전시를 2월 22일까지 연다. 이번 전시는 '새해 새봄을 노래하는 희망'을 뜻한다. 코로나로 위축된 대면 전시회 형식의 미술문화 활동을 활성화하고 새해 새봄을 맞이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