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2022-01-25
제106강: 洗垢求瘢(세구구반) : 때를 씻어내고,(목숨을 걸고라도)그 흉터[흠]를 찾으려 한다. 글 자 : 洗(씻을 세) 垢(때 구) 求(구할 구, 찾을 구) 瘢(흉터 반)로 구성된다. 출 전 : 한비자(韓非子) 대체편(大體篇), 후한서열전(後漢書列傳)-조일전(趙壹傳..
2022-01-11
제104강 : 目不見睫(목불견첩) : 자기 눈으로 자기의 속눈썹을 볼 수 없다. 글 자 : 目(눈 목), 不(아니 불), 見(볼 견), 睫(속눈썹 첩)으로 구성된다. 출 처 : 한비자(韓非子) 유로편(喩老篇)에 보인다. 비 유 : 자신의 악(惡)함이나 허물은 괜찮고,..
2022-01-04
제103강 : 102강의 일모도원(日暮途遠)에서 이어집니다. 오자서(伍子胥)가 송(宋)나라에 도착한 직후에 송나라에서는 때마침 반란이 일어났으므로, 오자서는 태자 건(建)과 함께 다시 정(鄭)나라로 달아나게 된다. 정나라는 태자 건을 극진히 예우해주었으나, 작은 나라라..
2021-12-21
제101강 막비천운(莫非天運) : 하늘이 정한 운수로다.(하늘의 운이 아님이 없다) 글 자 : 莫(없을 막) 非(아닐 비) 天(하늘 천) 運(운수 운)으로 구성된다. 출 처 : 태종실록(太宗實錄)과 한국 인명대사전(韓國 人名大辭典)에 보인다. 비 유 : 하늘의 타고난..
2021-12-07
제 99강: 七顚八起(칠전팔기) : 일곱 번 넘어져도 여덟 번 일어난다. 글자 : 七(일곱 칠) 顚(넘어질 전) 八(여덟 팔) 起(일어날 기)로 구성되어있다. 비유 : 실패를 거듭하여도 굴(屈)하지 않고 다시 일어남과. 어떠한 어려움도 굽히지 않는 정신과 자세를 비유한..
2021-11-16
제 96강:?啄同時(줄탁동시) : 줄(?/빠는 것)과 탁(啄/쪼는 것)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글자 : ?(쭉쭉빨 줄), 啄(쪼을 탁), 同(한 가지 동/ 같을 동), 時(때 시)로 구성된다. 출처 : 송(宋)나라 공안(公案)의 화두로 벽암록(碧巖錄)에 기록되어 있다...
2021-10-25
제 94강: 井中之蛙(정중지와) : 우물 안의 개구리 글자 : 井(우물 정), 中(가운데 중), 之( ~~의 지), 蛙(개구리 와) 출처 : '莊子(장자)' 秋水篇(추수편) / '後漢書(후한서)' 馬援傳(마원전) 비유 : 견문이 좁고, 어리석어서 세상의 물정을 모르는..
2021-10-19
제 93강: 泥田鬪狗(이전투구) : 진흙 밭에서 싸우는 개 글자 : 泥(진흙 이/ 니), 田(밭 전), 鬪(싸움 투), 狗(개/강아지 구)로 구성된다. 비유 : 명분(名分)이 서지 않는 일로 싸우거나 체면을 돌보지 않고 이익을 다툼 사람들에게 "이전투구(泥田鬪狗)가 무..
2021-09-28
제 90강: 破釜沈舟(파부침주) : 솥을 깨뜨리고 배를 가라앉히다. 글자 : 破(깨뜨릴 파), 釜(가마솥 부), 沈(가라앉을 침), 舟(배 주) 출전 : 사기(史記) 〈항우본기(項羽本紀)〉에 나온다 비유 : 살아 돌아갈 기약을 하지 않고 죽을 각오로 싸우겠다는 굳은 결..
2021-09-20
제 89강: 螳螂捕蟬(당랑포선) : 사마귀가 매미를 잡다 글자 : 螳(사마귀 당), 螂(사마귀 랑/낭), 捕(사로잡을 포), 蟬(매미 선) 출처 : 한시외전(漢詩外傳) 정간(正諫) 비유 : 눈앞의 이익만 탐하여 뒤에 올 위험을 돌아보지 못한다. 당랑포선(螳螂捕蟬)의 교..
2021-09-14
제88강: 華容道恕(화용도서) : (관우가)화용도(華容道)에서 (조조를)용서하여 보내주다. 글자 : 華(빛날 화), 容(얼굴 용, 모양 용), 道(길 도), 恕(용서할 서)로 구성되었다. 출처 : 나관중(羅貫中)의 삼국연의(三國演義)에 보인다. 비유 : 관우(關羽)의..
2021-09-07
제87강: 賤奴宰相(천노재상) : 비천한 종[노예]신분에 재상이 되다. 글 자 : 賤(천할 천) 奴(종 노/남자 종) 宰(정승 재) 相(서로 상/ 정승 상)이다. 출 처 : 어우야담(於于野談), 중종실록(中宗實錄), 성호사설(星湖僿說)등에 전한다. 비 유 : 청렴결백한..
2021-08-31
제86강: 養虎後患(양호후환) : 범(호랑이)을 길러 뒤에 걱정거리(화근을 남긴다)가 된다. 글 자 : 養(기를 양), 虎(범/호랑이 호), 後(늦을 후), 患(근심 환)으로 구성되어있다. 출 처 :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의 고조본기(高祖本紀)에 보인다. 비 유..
2021-08-24
제85강: 徐母正義(서모정의) : 서서(徐庶/사람 이름)어머니의 올바른 가치관(價値觀) 글자 : 徐(천천할 서), 母(어머니 모), 正(바를 정), 義(옳을 의) 출처 : 나관중(羅貫中)의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비유 : 나라에 대한 우국충정(憂國衷情)과 자식에게 올바..
2021-08-17
제84강 賢令裁判(현령재판) : 현명한 사또의 판결 글자 : 賢(어질 현) 令(명령 령/ 우두머리 령) 裁(마름 재) 判(판가름할 판) 출처 : 한국인의 야담집(韓國人의 野談集) 비유 : 어떤 일이던지 판단하는 기준에 따라 그 결과가 바뀔 수 있다. 사건의 잘못을 남에..
2021-08-10
제83강: 五關斬六將(오관참육장) : 다섯 관문을 지나며 여섯 장수를 베다. 글자 : 五(다섯 오), 關(빗장 관), 斬(벨 참), 將(장수 장) 출전 : 나관중(羅貫中)의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비유 : 겹겹이 쌓인 난관을 돌파하는 것과 충(忠), 의리(義理)를 비유..
2021-08-03
제 82강: 兎死狗烹(토사구팽) : 토끼를 다 잡으니 사냥개는 삶긴다. 글자 : 兎(토끼 토) 死(죽을 사) 狗(개 구) 烹(삶을 팽)으로 구성되어 있다. 출처 : 사기 월세가(史記 越世家)와 중국의 역사[한국출판공사]에 보인다. 비유로서는 필요할 때 이용하다가 소용이..
2021-07-27
제81강: 捲土重來(권토중래) : 흙먼지를 일으키면서 다시 돌아온다. 글 자 : 捲(말을 권), 土(흙 토), 重(무거울 중/거듭 중), 來(올 래)자로 구성된다. 출 처 ; 사기(史記) 항우본기(項羽本紀)와 중국의 역사서(한국출판공사)에 보인다. 비 유 : 실패 후에..
2021-07-19
제 80강:계포일낙(季布一諾) : 계포의 한 번 한 약속 글자 : 季(끝 계, 막내 계) 布(베 포) 一(하나 일) 諾(대답할 낙, 승낙할 낙) 출처 : 사기(史記) 계포전(季布傳)에 기록되어 전해진다. 비유 : 약속을 반드시 지킨다. 또는 틀림없이 알았다는 뜻으로 비..
2021-07-13
제79강 초비수부(楚妃守符) : 초(楚)나라 왕비가 부(符/신분확인 증표 물)를 지킨다 글 자 : 楚(가시나무 초/ 나라 초) 妃(왕비 비) 守(지킬 수) 符(부신, 부절 부) 출 전 : 유향(劉向)의 열녀전(烈女傳) 권(卷)4 정순전(貞順傳) 비 유 : 명분에 사로잡..
2021-07-06
제 78강: 南橘北枳(남귤북지) : 남쪽에서 자라는 귤이 북쪽 땅으로 옮기면 탱자가 된다. 글 자 : 南(남녘 남) 橘(귤나무 귤) 北(북녘 북) 枳(탱자나무 지)로 만들어 졌다. 본 고사의 출처는 안자춘추(晏子春秋)에서 볼 수 있다. 비유로는 환경이나 문화가 달라지면..
2021-06-29
제77강: 囊中之錐(낭중지추) : 주머니 속의 송곳 글 자 : 囊(주머니 낭) 中(가운데 중) 之(어조사 지) 錐(송곳 추) 출 처 :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 평원군우경열전(平原君虞慶列傳)에 보인다. 비 유 : 주머니 속에 든 송곳은 그 끝이 뾰족하여 주머니를..
2021-06-22
제 76강: 과하지욕(袴下之辱) : 바짓가랑이 밑을 지나가는 모욕 글자의 구성 : 袴(사타구니 과), 下(아래 하), 之(~의, 관형격조사), 辱(욕되게 할 욕) 출처 : 사마천의 사기(史記) 회음군열전(淮陰君列傳)에 기록되어 있다. 본 고사성어는 이보다 더 큰 치욕이..
2021-06-15
제75강 鳴梁大捷(명량대첩) : 명량 (울돌목) 전투에서 크게 이기다 글자 : 鳴(울 명) 梁(들보 량 / 다리 량) 大(클 대) 捷(이길 첩/싸움에 이기다) 출처 : 정유재란(丁酉再亂), 난중일기(亂中日記), 이충무공전서(李忠武公全書)등 비유 : 죽을 각오로 전투에..
2021-06-08
제74강: 盡忠報國(진충보국) : 충성을 다하여 나라의 은혜에 보답하다. 글자 : 盡(다할 진) 忠(충성 충) 報(갚을 보) 國(나라 국)의 네 글자로 되어있다. 출처 : 북서(北書) 안지의전(顔之儀傳)에 실려 전해진다. 해마다 상기하는 일이지만 6월은 호국보은(護國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