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96강 줄탁동시(啄同時)

  • 오피니언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96강 줄탁동시(啄同時)

장상현/ 인문학 교수

  • 승인 2021-11-16 14:26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 96강:?啄同時(줄탁동시) : 줄(?/빠는 것)과 탁(啄/쪼는 것)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글자 : ?(쭉쭉빨 줄), 啄(쪼을 탁), 同(한 가지 동/ 같을 동), 時(때 시)로 구성된다.



출처 : 송(宋)나라 공안(公案)의 화두로 벽암록(碧巖錄)에 기록되어 있다.

비유 : 가장 이상적인 사제지간이나 또는 서로 합심하여 일이 잘 이루어짐을 비유



어미닭이 정성껏 품은 알은 21일쯤 되면 알속에서 자란 병아리가 탁, 탁 소리와 함께 밖으로 나오려는 신호를 한다. 병아리는 알 속에서 나름대로 밖으로 나올 껍데기의 쪼을 지점을 정해 쪼기 시작하나 힘이 부친다. 이때 귀를 세우고 그 소리를 기다려온 어미닭은 그 부위를 밖에서 쪼아 준다. 그리하여 병아리는 비로소 세상 밖으로 쉽게 나오게 된다. 병아리가 안에서 쭉쭉 빠는 것을 [?/줄] 이라 하고, 어미 닭이 그 소리를 듣고 밖에서 쪼아 주는 것을 [啄/탁]이라 한다.

알 속의 병아리가 하는짓은 미성숙자가 스스로 동기유발에 의해 행하는 행동으로 도움을 요청하는 뜻이 포함되고, 어미닭이 돕는 행위는 성숙(成熟)자가 도와주는 행동의 뜻이 된다.

학습원리가 바로 줄탁동시[?啄同時]같은 상황이어야 학습의 효과 최대화된다는 원리가 담겨있다.

중국 송(宋)나라 시대 총 열권으로 구성되어 있던 불교서적인 [벽암록]에 기록되어 있었던 이 고사성어의 참 뜻은, 삶의 여러 분야에 전부 적용이 될 수 있는 상징성 의미가 매우 깊다.

어미닭이 알을 품어 병아리를 부화시키는 기간은 21일쯤 된다. 자나 깨나 알을 품고 있는 어미닭에게 18일쯤의 시간이 지나면 알속의 병아리가 세상 밖으로 나오려고 반응을 시작한다. 이때 어미닭은 알속의 병아리가 알의 막(膜)을 쪼는 소리(?)를 듣고 밖에서 부리로 알을 깨는 일을 동시에 도와준다(啄).이 시기에 병아리가 혼신의 힘을 다하여 안의 껍데기를 깨지 않으면 어미닭 역시 밖에서 도와주지 않는다.

마치 사자가 절벽에서 새끼를 떨어뜨려 혼신을 다하여 올라오는 새끼만을 기르듯, 어미닭 역시 험한 세상을 스스로 살아가야 된다는 신념을 출발부터 길러주는 것이다.

실제로 병아리가 부화되는 부화장에서는 인공부화를 하기도 하지만 알속의 병아리가 보인다고 사람이 껍데기를 깨주면, 이런 병아리는 결코 오래 살지 못한다고 한다. 어미닭 역시 그런 자연의 이치를 알아서 병아리가 스스로 알을 깨고 나오도록 밖에서 약간의 도움만을 줄 뿐인 것이다.

내면적인 본래의 뜻은 위와 비슷하지만 그 진정한 의미를 다른 곳에서 찾아보자.

학습의욕에 차있는 제자들의 절규에 찬 애탄 목소리(?)를 듣거나 그 태도를 보고, 지도자인 스승이나 학부모가 성의를 다해 가르치는(啄) 행위가 동시(同時)에 이루어 졌을 때 교육이 성공할 수 있음을 뜻하고 있다.

'가르침과 배움은 서로를 키운다'라는 뜻의 '교학상장(敎學相長)'이란 말이 있다. 예기 학기편(禮記 學記篇)에서는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學然後知不足 敎然後知困(학연후지부족 교연후지곤)

知不足然後能自反也 知困然後能自强也(지부족연후능자반야 지곤연후능자강야)

故曰敎學相長也 (고왈교학상장야)"

사람이 배우고 나서야 부족함을 알게 되고, 가르쳐보고 나서야 비로소 어려움을 알게 된다. 자신의 부족함을 알고 나면 스스로 반성하게 되고, 어려움을 안 후에야 스스로 강해질 수 있다. 그러므로 가르침과 배움은 함께 성장하는 것이다."

사람은 배울수록 자신이 알고 있는 것이 세상의 티끌 정도에 지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자신이 얼마나 부족한 지를 느낄 수 있다. 교학상장은 스승과 제자의 가장 이상적인 관계가 될 수 있다. 그러기에 서경(書痙)의 열명(說命)편에서도 '남을 가르치는 일은 자기 학업의 반을 차지한다.'는 '유효학반(惟斅學反)'을 강조했던 것이다.

줄탁동시는 교육뿐만 아니라 세상을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한 가르침이자 교훈이다. 행복한 가정은 부부(夫婦)가 줄탁동시 할 때 이루어지고, 훌륭한 인재는 사제(師弟)가 줄탁동시 할 때 탄생하며, 기업은 노사(勞使)가 줄탁동시 할 때 가능한 것이다. 또한, 국가의 번영이나 국제관계에도 줄탁동시의 이치를 공유하고 함께 노력할 때 '성공(成功)'이라는 열매가 열리는 것이다.

하지만 줄탁동시를 이루어 내기 위해서는 조건이 있다. 첫 번째는 '내가 먼저 변화하기'이다. 이는 상대로부터 응답이라는 선물을 받으려면 고뇌와 헌신이 듬뿍 담긴 변화와 혁신을 통해 기뻐할 일을 만들어 내야 한다. 가정이라면 배우자가 기뻐할 일을 준비하여야 하고, 기업이라면 새로운 혁신 가치를 먼저 만들어 내야 시장의 열망이 따르는 것이다.

두 번째는 경청(傾聽)이다. 어미 닭이 병아리가 부화할 준비가 되었는지를 알려면, 어느 부위를 두드릴 것인지를 먼저 신호를 잘 듣고 있어야 한다. 그래야 병아리에게 절호의 도움을 줄 수가 있고, 함께 기쁨을 만들 수 있다. 가족의 소리, 고객의 소리, 국민의 소리를 신중하게 경청하지 않으면 성취(成就)란 없다.

세 번째는 적시(適時)이다. 아무리 좋은 변화와 혁신이라도 상대방이 갈망하고 있는 때를 잘 맞추어야 한다. 이른바 타이밍을 맞추지 못하면 일은 낭패(狼狽)를 본다.

네 번째는「지속적인 변화와 혁신」이다.

가정에서는 부부와 자녀가 서로를 잘 도우는 데서 가정의 화평이 이루어지고, 사회에서는 시민의 목소리와 공무원의 봉사정신이 합일(合一)될 때 화합이 이룩된다.

국가는 국민의 열화와 같은 외침의 소리를 적절히 알아듣는 훌륭한 국가지도자의 합당한 대책이 동시(同時)에 이루어졌을 때 비로소 큰 나라로 발전할 수 있다.

장상현/ 인문학 교수

2020101301000791400027401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안산시 '신인감독 김연경' 상록수체육관서 최종전
  2. 양산국화축제, 6만 5천여 점 국화 작품 전시 성황리에 폐막
  3. 우송정보대 간호학과, 재학생 위한 '취업 멘토링 프로그램' 개최
  4. 대전, 영상콘텐츠 중심지로 도약하다
  5. 대전대·건양대·목원대 SW중심대학 사업단, 지·산·학 협력 활성화 위해 맞손
  1. 세종시 '국가상징구역' 국제공모작 13개 윤곽...국민의 원픽은
  2. (사)충남지역혁신사업단, 나사렛대 평생교육원과 업무협약 체결
  3. 건양대 인공지능학과 'KAICTS 2025 추계학술대회' 최우수논문상 영예
  4. 조승래 국회의원, 충남대 후배들과 만나 소통
  5. 배재대 IPP사업단 2026년도 일학습병행 참여기업 모집

헤드라인 뉴스


대전 특화 방산기술 유럽시장서 `호평`…수출상담 성과

대전 특화 방산기술 유럽시장서 '호평'…수출상담 성과

대전 방산기업들이 동유럽 시장에서 1521만 달러 규모의 수출 상담 성과를 올렸다. 한화로는 223억 4195만 원에 달한다. 21일 대전테크노파크에 따르면 지난 13일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열린 '방위산업 기술 비즈니스 교류'에서 대전 지역 7개 방산·드론 기업이 이같은 결과를 냈다. 이번 상담회는 대전TP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공동으로 방산 사절단을 파견해 진행한 1대 1 비즈니스 상담회로, 폴란드 바르샤바 현지에서 개최됐다. 폴란드는 최근 동북 지역 국경 안보 강화에 나서며 국방예산을 확대하고 군 현대화를 추진하고..

3·8민주의거사업회, 기념관 운영 맡아 민주 교육과정 연다
3·8민주의거사업회, 기념관 운영 맡아 민주 교육과정 연다

대전3·8민주의거기념사업회가 내년부터 3·8민주기념관을 직접 운영하며 일반 시민이 참여하는 민주주의 교육프로그램 신설을 준비한다. 20일 대전시와 (사)대전3·8민주의거기념사업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4일 개관한 중구 선화동 3·8민주의거기념관을 그동안 대전시가 직접 운영하던 것에서 기념사업회에 운영을 위탁하는 방식으로 내년 1월 전환된다. 3·8민주의거기념관은 1960년 3월 8일 대전에서 시작된 고등학생들의 민주화 시위로, 당시 이승만 정부의 부정부패와 불의에 항거하며 민주주의를 위해 나섰던 학생들의 용기와 희생을 상징하는..

한겨울에 피어난 봄...국립세종수목원 `제라늄 전시회` 개막
한겨울에 피어난 봄...국립세종수목원 '제라늄 전시회' 개막

연일 계속되는 초겨울 추위 속에서도 국립세종수목원 지중해온실에서는 봄을 미리 만날 수 있는 특별한 전시가 열린다.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이사장 심상택)은 11월 22일부터 2026년 3월 1일까지 국립세종수목원 지중해온실에서 제라늄 품종 전시회 '우린, 지금부터 봄'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제라늄전문협회와 협업해 진행되며, 약 350종의 제라늄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다. 제라늄은 남아프리카가 원산지로, 화려한 꽃과 쉬운 관리로 한국 베란다 정원에 적합한 식물로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겨울철에도 꽃을 피워 봄을 미리 준비하는 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