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93강 이전투구(泥田鬪狗)

  • 오피니언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93강 이전투구(泥田鬪狗)

장상현/ 인문학 교수

  • 승인 2021-10-19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 93강: 泥田鬪狗(이전투구) : 진흙 밭에서 싸우는 개

글자 : 泥(진흙 이/ 니), 田(밭 전), 鬪(싸움 투), 狗(개/강아지 구)로 구성된다.

비유 : 명분(名分)이 서지 않는 일로 싸우거나 체면을 돌보지 않고 이익을 다툼



사람들에게 "이전투구(泥田鬪狗)가 무엇을 뜻하는가?"를 물었을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진흙탕에서 싸우는 개" 와 "정치 싸움을 하는 정치인" 이라고 대답한다.



이는 언제부터인가 우리나라의 정치판이 국민이 바라는 반대로 움직임에 대한 답변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정치가 '개의 싸움'으로 표현될 정도로 정치권이 국민들의 신뢰(信賴)에 대한 생각과 정서(情緖)의 정반대로 더럽게 변한 것을 의미한다.

그러면 왜 하필 정치권을 진흙 밭으로 비유하고 정치인들을 개에다 비유 하였을까?

진흙 밭은 비온 후 질펀한 흙이 오물과 섞이어 모두들 꺼리는 장소로써 세인(世人)들에게 비친 진흙 밭은 더러운 곳을 상징하는 비어(卑語)로 소위 위정자들이 자신의 이익(利益)만을 위해 원칙도 양심도 없이 거짓과 술수를 사용하는 본전(本殿)으로 시궁창에 버금가는 더러운 곳이기 때문이다.

개(犬/狗)는 인간에게 복종하는 몇 안 되는 대표적인 충성스런 동물로 인식되어있다. 그러나 자기 이득(利得)함(먹을 것과 이성을 차지하는 욕심)을 부릴 때만은 더러울 만큼 추잡(醜雜)하고 변심(變心)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조선 건국 초 태조(太祖)가 개국공신인 삼봉(三峰) 정도전(鄭道傳)에게 인재등용(人材登用)문제로 대화 중 팔도(八道)사람들이 지니고 있는 기질(氣質)을 평(評)하라고 한 일이 있었다.

정도전은 다음과 같이 평했다. "경기도는 경중미인(鏡中美人/ 거울 속에 비친 미인), 충청도는 청풍명월(淸風明月/ 맑은 바람과 밝은 달), 전라도는 풍전세류(風前細柳/ 바람 앞에 하늘거리는 가는 버들), 경상도는 송죽대절(松竹大節/ 소나무나 대나무 같은 굳은 절개), 강원도는 암하노불(巖下老佛/ 바위 아래 늙은 부처), 황해도는 춘파투석(春波投石/ 봄 물결에 던져진 돌), 평안도는 산림맹호(山林猛虎/ 삼림 속의 용맹한 호랑이)입니다." 그리고 나서 정도전은 태조의 출신지인 함경도에 대해서는 평을 하지 못했다. 태조가 아무 말도 좋으니 어서 말하라고 재촉하자 정도전이 말했다. "함경도는 이전투구(泥田鬪狗/ 진흙 밭에서 싸우는 개)입니다." 태조의 안색이 변하자 눈치 빠른 정도전이 곧 말을 고쳐 대답했다. "함경도는 또한 석전경우(石田耕牛/ 돌밭에서 밭을 가는 소)이기도 합니다." 태조는 그제야 용안에 희색을 띄며 후한 상을 내렸다.

참고로 다른 기록에는 경상도를 태산준령(太山峻嶺), 황해도를 석전우경(石田牛耕), 평안도를 맹호출림(猛虎出林)이라고 기록된 문헌도 있다. 모두 다 같은 표현이다. 팔도 사람에 대한 이런 평의 출전은 정확히 알 수가 없는데, 아마 구전으로 내려오는 말이 아닌가 추측된다. 이 성어는 우리나라에서만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정치판은 바르지 못하여, 부정과 부패가 늘 정치판을 따라다닌다. 정치인들은 자기 이익을 위해서라면 옆조차 돌아보지 않는 추잡(醜雜)한 행동을 실제로 행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요즈음은 날이 갈수록 더하여 국민을 대상으로 거짓과 배신을 밥 먹듯하여 국민을 잘 속이고 자기 이(利)속을 잘 챙기는 사람이 고(高)단수의 정치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제는 불법과 부정을 저지름을 넘어 법을 마음대로 바꾸기까지 하는 실정이다.

이번 후보자 TV토론 때 이미 지나간 당(黨)도 있고, 아직 진행 중인 당(黨)도 있지만 대선후보자들이 보여준 후보들의 행태는 국가나 국민을 위한 정책보다는 상대방을 깎아 내리는 아주 밑바닥 수준을 연출했다. "과연 저런 사람들에게 나라를 맡길 수 있겠는가?"라는 회의적 생각이 들 정도의 이전투구(泥田鬪狗)를 유감없이 발휘했다.

사자성어에 아시타비(我是他非)라는 말이 있다. 나는 옳고 상대는 틀렸다는 뜻이다. 곧 요즈음 신조어로 유행하는 내로남불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2020년 교수들이 뽑은 올해의 사자성어로 선정된 용어이기도 하다.

이어 선현(先賢)들은 자인타관(自吝他寬/자신에게는 인색하고 남에게는 관대하라)이라는 단어와 대인춘풍 지기추상(待人春風 持己秋霜/남을 대우함에는 봄바람처럼 온화하게 하고, 자신을 대할 때는 가을서리 같이 엄중 하라)이란 말로 마음을 추스르고 남을 대하는 태도에 대해 엄격하게 자제하여 올바르고 화합된 모습을 물려주었다.

정치인들이여! 바르고자 노력했던 선현들의 그림자라도 따라갔으면 하는 바람이다.

이에 국민들도 투표의 권한 행사를 선거 때 일어나는 일시적인 바람에 의하지 말고, 진정한 일꾼을 뽑는 바른 선택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장상현/ 인문학 교수

2020101301000791400027401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2.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3.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4.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5. 기후정책 질의에 1명만 답…대전 4·2 보궐선거 후보 2명은 '무심'
  1.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2. 안전성평가연구소 '국가독성과학연구소'로 새출발… 기관 정체성·비전 재정립
  3. 지명실 여사, 충남대에 3억원 장학금 기부 약속
  4. 재밌고 친근하게 대전교육 소식 알린다… 홍보지원단 '홍당무' 발대
  5. '선배 교사의 노하우 전수' 대전초등수석교사회 인턴교사 역량강화 연수

헤드라인 뉴스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12·3 비상계엄 이후 탄핵정국에서 펼쳐지는 첫 선거인 4·2 재·보궐 선거 날이 밝았다. 충청에선 충남 아산시장과 충남(당진2)·대전(유성2) 광역의원을 뽑아 '미니 지선'으로 불리는 가운데 탄핵정국 속 지역민들의 바닥민심이 어떻게 표출될지 관심을 모은다. 이번 재·보궐에는 충남 아산시장을 포함해 기초단체장 5명, 충남·대전 등 광역의원 8명, 기초의원 9명, 교육감(부산) 1명 등 23명을 선출한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놓고 여야 간 진영 대결이 극심해지면서 이번 재·보궐 선거전은 탄핵 이슈가 주를 이뤘다. 재·보궐을 앞..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과 관련, 헌법재판관들의 의견이 ‘전원일치’이면 이유의 요지를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을 낭독한다. 헌법재판소의 실무지침서인 ‘헌법재판 실무제요’ 명시된 선고 절차다. 재판관들의 의견이 엇갈리면 주문 먼저 읽은 후에 다수와 소수 의견을 설명하는 게 관례지만, 선고 순서는 전적으로 재판부의 재량에 달려있어 바뀔 수 있다. 선고 기일을 4일로 지정하면서 평결 내용의 보안을 위해 선고 전날인 3일 오후 또는 선고 당일 최종 평결, 즉 주문을 확정할 가능성이 크다. 평결은 주심인 정형식 재판관이 의견을..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제4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추진하는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이하 소호은행)이 1일 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전국 최초의 소상공인 전문은행 역할을 지향하는 소호은행은 향후 대전에 본사를 둔 채 충청권 지방은행의 역할을 일부 수행하며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소호은행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소상공인 맞춤형 금융서비스 계획을 발표했다. 컨소시엄을 이끄는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KCD) 대표는 "대한민국 사업장의 절반 이상이 소상공인, 대한민국 경제 활동 인구의 4분의 1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 3색의 봄 3색의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