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2024-11-19
제 205강 南橘北枳(남귤북지) 의 미 : (강남의)귤(橘)나무를 (강북에) 옮겨 심으면 탱자(枳)나무가 된다. 비 유 : 사람이 그 처해 있는 곳에 따라서 선(善)하게도 되고 악(惡)하게도 된다. 글 자 : 南(남쪽 남) 橘(귤나무 귤) 北(북쪽 북) 枳(탱자나무 지..
2024-11-05
제 204강 물부충생(物腐蟲生) : 사물(事物)이 썩으면 벌레가 생긴다. 글 자 : 物(만물 물) 腐(썩을 부) 蟲(벌레 충) 生(날 생, 태어나다) 출 처 : 순자(荀子)의 권학문(勸學文). 소식(蘇軾 / 소동파)의 범증론(范增論) 비 유 : 불건전한 사회와 부패한..
2024-10-30
10월 《세종마루시낭독회》회원 「북콘서트」 행사를 앞두고였다. 나는 여느 때처럼 단체톡을 열고 당일 북콘서트 행사에 관해 읽고 있던 중 의아했다. 사무국장 이선희 시인이 진행 순서에 없어서였다. 2023년 내가 《세종마루시낭독회》회원이 된 이래, 매번 행사마다 1부 사..
2024-10-22
제203강 買影奪家(매영탈가) : (나무)그림자를 사서 집을 탈취하다. 글 자 : 買(살 매/물건을 사다) 影(그림자 영) 奪(빼앗을 탈) 家(집 가) 출 처 : 한국인(韓國人)의 지혜(智慧), 임종대(林鍾大)의 한국고사성어(韓國故事成語) 비 유 : 어떤 일을 이루기..
2024-10-08
제 202강 塞翁之馬(새옹지마) : 변방(邊方/ 국경근방)에 살고 있는 한 노인의 말(馬) 글 자 : 塞(변방 새/ 막을 색) 翁(늙은이 옹) 之(어조사 지/ ~~의) 馬(말 마) 塞 : 변방을 뜻할 때는 새로 읽고, 막다, 차단의 뜻으로 쓰였을 때는 색으로 읽는다...
2024-09-24
제 201강 儉行爲國(검행위국) : 검소하게 생활하는 것이 나라를 위하는 일이다. 글 자 : 儉(검소할 검) 行(다닐 행/ 행하다) 爲(위할 위) 國(나라 국) 출 처 : 한국역사(韓國歷史)이야기. 한국고사성어(韓國故事成語) 비 유 : 벼슬아치들이나 국가의 녹을 먹는..
2024-09-10
제200강 破鏡再不照(파경재불조) : 깨어진 거울은 다시 비추지 못한다. 글 자 : 破(깨뜨릴 파) 鏡(거울 경) 再(거듭 재/두 번) 不(아니 불) 照(비출 조) 출 처 : 사기(史記) 제, 태공세가(齊, 太公世家) 습유기(拾遺記) 왕가(王嘉) 비 유 : 한번 이혼(..
2024-08-27
笑裏藏刀(소리장도) : 웃음 속에 칼을 감추다 글 자 : 笑(웃을 소) 裏(속 리/ 마음 속) 藏(감출 장) 刀(칼 도) 출 처 : 舊唐書(구당서)李義府傳(이의부전), 三十六計秘本兵法(삼삽십유계비본병법) 비 유 : 겉으로는 웃으면서 속으로는 음험한 생각을 품고 남을 해..
2024-08-20
瓜田李下(과전이하) : 외밭과 오얏나무 아래에서 행동을 조심하라 瓜田不納履 李下不整冠(과전불납리 이하부정관) (남의) 외밭에서 신발을 고쳐 신지 않고, (남의) 오얏나무 아래서 갓을 고쳐 쓰지 않는다. 글 자 : 瓜(오이 과/ 참외) 田(밭 전) 李(오얏 이/ 자두나무..
2024-04-30
제197강:誓海盟山(서해맹산) : 바다(海)에 맹세하고, 산(山)에 맹세한다. 글 자 : 誓(맹세할 서) 海(바다 해) 盟(맹세할 맹) 山(뫼 산) 출 처 : 난중일기(亂中日記), 이순신장군의 진중음(陣中吟), 조선왕조실록 비 유 : 죽음을 무릅쓰고 나라를 구하겠다는..
2024-04-23
제196강: 爲民名判(위민명판) : (권력에 굴하지 않고)백성을 위하여 훌륭한 판결을 내렸다. 글 자 : 爲(위할 위). 民(백성 민). 名(이름 명/ 훌륭하다). 判(쪼갤 판/ 판결하다) 출 처 : 정약용(丁若鏞)의 목민심서(牧民心書) 비 유 : 외압(外壓)에 굴(屈..
2024-04-02
제195강: 割股奉君(할고봉군) : 허벅지살을 베어 (국을 끓여)군주(君主)를 모시다. 글 자 : 割(나눌 할) 股(넓적다리 고) 奉(받들 봉) 君(임군 군) 출 처 : 춘주좌씨전(春秋左氏傳), 열국지(列國志) 비 유 : 끈기, 충성, 효성, 청렴한 사람을 비유. 한식..
2024-03-12
제 190강: 殺身成仁(살신성인) : 자신의 몸을 희생하여(죽이면서까지) 인(仁)을 이룬다. 글 자 : 殺(죽일 살) 身(몸 신) 成(이룰 성) 仁(어질 인) 출 처 : 論語(논어) 衛靈公(위령공)편 의 미 : 자신이 죽는 결과가 되더라도 여러 사람에게 옳은 도리(道理..
2024-03-05
제189강:照顧脚下(조고각하) : 자기 발 아래를 잘 살펴라. 글 자 : 照(비출 조) 顧(돌아볼 고) 脚(다리 각) 下(아래 하)이다. 출 처 : 삼불야화(三佛夜話) 선화(禪話) 비 유 : 삶 전체를 돌아보되 눈앞에 닥친 현실을 잘 인식하고 대처함 짐승은 죽음에 이르..
2024-02-20
제188강 見月忘指(견월망지) : 가리키는 달은 보지 않고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을 본다. 글 자 : 見(볼 견) 月(달 월) 忘(잊을 망) 指(손가락 지) 출 처 : 능엄경(楞嚴經) 2권 법어(法語) 의 미 : 핵심(核心)을 보지 못하고 눈앞의 것만 본다. 비 유 :..
2023-12-26
제187강:送舊迎新(송구영신) : 옛것을 보내고 새것을 맞음 글 자 : 送(보낼 송) 舊(옛 구/ 오랠 구) 迎(맞이할 영) 新(새로울 신) 출 처 :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 세가(世家)편 비 유 : 묵은 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음에 비유 계묘(癸卯)년이 멀어져..
2023-11-14
제186강:阿諛苟容(아유구용 /제 2편) : 沙蔘閤老(더덕정승)과 雜菜尙書(잡채판서) 글 자 : 阿(언덕 아/ 아첨하다) 諛(아첨할 유) 苟(구차할 구) 容(얼굴 용) 출 전 : 소설 조선왕조 500년,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비 유 : 남의 환심(歡心)을 사려고..
2023-10-31
제185강 阿諛苟容(아유구용 : 아첨하려고 구차스럽게 얼굴을 꾸미다 글자 뜻 : 阿(언덕 아/ 아첨하다) 諛(아첨할 유) 苟(구차할 구) 容(얼굴 용) 출 전 : 사기(史記), 염파/ 인상여 열전(史記, 廉頗/藺相如 列傳) 비 유 : 남의 환심(歡心)을 사려고 알랑거리..
2023-10-17
제184강: 棉授花衣(면수화의) : 목화는 꽃과 옷을 제공하여 준다. 글 자 : 棉(목화 면), 授(받을 수), 花(꽃 화), 衣(옷 의)로 구성된다. 출 처 : 한국인의 지혜(韓國人의 智慧). 조선 오백년 야사(朝鮮 五 百年 野史) 비 유 : 두 가지를 다 이롭게 해..
2023-10-10
제183강: 快山寃牛(쾌산원우) : 쾌산(快山)에서 원통하게 죽은 소 글 자 : 快(쾌할 쾌) 山(뫼 산) 寃(원통할 원) 牛(소 우) 출 처 : 孤山遺稿(고산유고) 雜著(잡저) 敍懷(서회) 비 유 : 자신은 옳은 일에 매진했으나 도리어 죄를 얻게 됨을 비유 사람들이..
2023-09-26
제182강: 正正堂堂(정정당당) :(태도나 처지, 수단 따위가)가 꿀림이 없이 바르고 떳떳함. 정정(正正) : 말과 행동이 바른 모습 당당(堂堂) : 다른 사람에게 내세울 만큼 떳떳하고 번듯한 모습 '정정당당(正正堂堂)'이란 표현은 손자(孫子)가 쓴 손자병법(孫子兵法)..
2023-08-29
제180강: 井中之蛙(정중지와) : 우물 안의 개구리 이는 제한된 환경과 지식 내에서만 세상을 바라보는 현상을 말할 때 사용된다. 마치 우물 안에서만 세상을 바라보는 개구리처럼, 우리 인간들은 종종 우리의 생각과 지식의 한계와 자기가 처한 환경 속에서 자기만을 보고 세..
2023-08-15
제179강: 광복절(光復節)의 의미(意味)를 돌아본다. 2023년 8월 15일은 우리나라가 광복(光復)을 맞은 지 78년이 되는 해이다. 우리는 이 날을 이른바 광복절(光復節)이라고 하며, 국가적인 경축행사와 경축연(慶祝宴)을 병행하고 있다. 광복절(光復節)은 1949..
2023-08-02
제171강: 亡羊補牢(망양보뢰): 양을 잃고서 우리를 고친다. 글 자 : 亡(망할 망/ 잃을 망) 羊(양 양) 補(도울 보/ 수리할 보) 牢(우리 뢰) 출 전 : 戰國策(전국책), 楚策(초책) 비 유 : 일을 실패한 뒤에 바로 수습하면 그래도 늦지 않음을 비유. 전국..
2023-07-11
제170강 : 人面桃花(인면도화) : 복숭아꽃처럼 어여쁜 얼굴 글자 뜻 : 人(사람 인) 面(얼굴 면) 桃(복숭아 도) 花(꽃 화) 출전 : 孟棨(맹계) 本事詩(본사시) 情感(정감) 비유 : 사랑하는 아름다운 여인, 사랑하는 사람을 다시 만나지 못하게 된 경우. 지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