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186강 아유구용(阿諛苟容)-제2편-더덕정승과 잡채판서

  • 오피니언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186강 아유구용(阿諛苟容)-제2편-더덕정승과 잡채판서

장상현/ 인문학 교수

  • 승인 2023-11-14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186강:阿諛苟容(아유구용 /제 2편) : 沙蔘閤老(더덕정승)과 雜菜尙書(잡채판서)

글 자 : 阿(언덕 아/ 아첨하다) 諛(아첨할 유) 苟(구차할 구) 容(얼굴 용)

출 전 : 소설 조선왕조 500년,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비 유 : 남의 환심(歡心)을 사려고 알랑거리며 구차스럽게 행동한다.



사람이 사는 세상에 아첨(阿諂)과 구용(苟容)이 없을 수는 없다. 간혹 필요할 때도 있는 것 또한 부정할 수 없다. 그러나 이것이 정도(程度)가 지나치면 남에게 주는 피해(被害)는 엄청나다.

이는 정도(正道)가 아니고 부정(不正)이기 때문이다. 역사적으로 많은 아첨과 구용이 이루어진 사례는 많지만 조선시대의 한 부끄러운 단면을 소개하고자 한다.

沙參閣老權初重(사삼합로권초중)

雜菜尙書勢莫當(잡채상서세막당)

처음에는 더덕 정승의 권세가 중하더니,

이제는 잡채 판서의 세력 당할 자 없구나.

더덕(沙蔘)은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이 즐겨 먹던 작물로, 중국에서는 주로 약(藥)으로 썼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구이·무침 등 식재료로도 애용했다. 잡채(雜菜) 역시 예로부터 명절이나 잔칫상에 빠지지 않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맛난 반찬(飯饌)거리다.

광해군(光海君)시절에 한효순(韓孝純)이란 사람은 좌의정까지 올랐는데, 세간에서는 그가 임금에게 더덕을 넣은 꿀떡[蜜餠]을 바쳐 '더덕정승(沙蔘政丞)'이라고 수군댔다.

도대체 얼마나 맛있는 떡이기에 그 높다는 정승 자리까지 얻을 수 있었을까?

한편 이충(李沖)이란 사람은 요리를 얼마나 잘했는지 광해군은 꼭 그가 만든 반찬이 상에 올라야만 수저를 들었다고 한다. 특히 신선한 각종 채소를 섞어서 만든 잡채 요리가 그의 주 메뉴였다. 그 요리 솜씨 덕분에 이충은 광해군의 총애를 받았고, 벼슬이 호조판서까지 이르렀지만, 백성들은 그를 '잡채판서(雜菜判書)'라 부르며 조롱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한효순의 집에서 만드는 더덕요리와 이충 집안의 잡채가 그 맛이 특별나고 독특했다고 기록해 놓았는데, 시중에서는 두 사람이 맛있는 요리를 만들어 바쳐 광해군의 총애(寵愛)를 받아 출세(出世)했다고 비꼬았던 것이다.

맛있는 더덕요리를 탐닉했던 광해군은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임금 자리에서 쫓겨난 후 처음에는 강화도로 유배(流配)를 가 그곳에서 위리안치(圍籬安置/ 가시덤불로 담장을 친 집에 갇혀 지냄)되었다. 하루아침에 바뀐 처지가 비통해 식사도 제대로 못했는데 당시 광해군을 감시하던 강화별장이 목격담을 기록했다.

"광해가 하루 종일 밥을 물에 말아 겨우 한두 수저를 뜰 뿐 다른 것은 먹지를 못해 기력이 쇠약해졌는데 언제나 목이 메어 울고만 있다."

비록 쫓겨난 임금이지만 인간적인 연민(憐憫)을 느낄 만도 한데 유배지로 따라간 한 계집종이 쫓겨난 임금이라고 함부로 대하자 참다못해 광해군이 하녀를 꾸짖었다.

그러자 하녀가 크게 소리를 지르며 따지고 대들었다.

"영감이 일찍이 임금 자리에 있을 때 무엇이 부족해 염치없게 아랫사람에게 반찬까지 요구해서 심지어 잡채판서, 더덕정승이라는 말까지 생겨나게 하였소?"

이 말은 잡채를 잘 만들어 호조판서가 된 이충과 더덕 요리로 총애를 받은 좌의정 한효순, 국수를 별미로 만들어 바친 함경감사 최관을 두고 한 말이다.

하녀의 패악이 계속 이어졌다.

"영감이 임금의 자리를 잃은 것은 스스로의 잘못 때문이지만 우리는 무슨 죄가 있다고 이 가시덩굴 속에서 갇혀 지내야 한다는 말이오?" 하녀의 악다구니를 들은 광해군은 고개를 숙인 채 한마디도 못하고 탄식만 했다.

부질없는 욕심이 무엇이기에 광해군을 나락(奈落)으로 떨어뜨렸을까?

그 옛날 임금에게 바쳐진 더덕과 잡채의 맛은 달콤했지만, 이로 인해 이 땅의 백성들은 안타깝게도 쓰디쓴 혹정(酷政)에 신음해야했다.

사기 평진후주부열전(史記 平津侯主父列傳)에 安危在出令 存亡在所用(안위재출령 존망재소용) 곧 나라의 안위(安危)는 어떤 정책을 내는 가에 달려있고, 나라의 존망(存亡)은 어떤 사람을 쓰는 가에 달려있다고 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고위 공직자를 비롯해 관직에 있는 사람들에게 청탁을 일삼는 것을 금하도록 한 이른바 '김영란 법'을 두고 있다.

어떤 시대이든 간에 정치적 혼란과 사회적 부정이 만연할 때 부정한 방법인 '아부'와 '구용'이 더 기승을 부린다.

이럴 때 일수록 국가의 지도자급 인사들이 올바른 도리를 신조로 행동함이, 나라를 바로 세우고 국민의 고충을 덜어주는 태평의 성대가 이룩될 것이다.

어떤 이들은 지금의 대한민국 정치집단을 향해 이렇게 일갈(一喝)하고 있다.

上流旣濁 下流難淸(상류기탁 하류난청):윗물이 이미 흐리니 아랫물이 맑기 어렵다.

다산 정약용선생의 '목민심서'에 나오는 교훈이다. 누가 대한민국을 흐려놓고 있는가?

장상현/ 인문학 교수

2020101301000791400027401
장상현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둔산 리빌딩’…대전 둔산 1·2지구, 재건축 움직임 본격 시동
  2. 29일 대전 유성구 일대 정전…엘리베이터 갇힘 등 신고 24건
  3. 대전 치매환자 등록률 46% 전국광역시 '최저'…돌봄부담 여전히 가족에게
  4. 중진공 충남청창사 15기 입교 오리엔테이션 개최
  5. 천안시, 석오 이동녕 선생 미공개 친필자료 담은 전자책 발간
  1. 천안문화재단, 천안예술의전당 전시실 대관 공모 신청 접수
  2. 천안고용노동청, 청년 취업지원 활성화를 위해 10개 대학과 업무협약
  3. 천안시도서관본부, '제61회 도서관 주간' 맞아 다채로운 행사 풍성
  4. '산불 복구비 108억, 회복은 최소 20년'…대전·홍성 2년째 복구작업
  5. 아이 받아줄 사람 없어 '자율 귀가'… 맞벌이 학부모 딜레마

헤드라인 뉴스


`산불 복구비 108억, 회복은 최소 20년`…대전·홍성 2년째 복구작업

'산불 복구비 108억, 회복은 최소 20년'…대전·홍성 2년째 복구작업

2023년 대형산불 발생에 대전과 충남 홍성에서 2년째 복구작업 중으로 이들 지역 산림 복구비용만 총 108억 원가량 투입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많은 복구비뿐 아니라 불에 탄 산림과 생태계를 복원하는 데만 20년 이상이 걸리지만, 최근 10년간 충청권에서 발생한 산불 원인은 입산자의 부주의로 인한 '실화'가 가장 많았다. 30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2023년 4월 대전 서구 산직동 산불로 당시 축구장 약 800개 면적과 맞먹는 646㏊의 숲이 불에 탔다. 나무를 심어 숲을 복원하는 조림 등 인공복구가 필요한 37㏊에 대해 대전시와..

제4인터넷은행 탄생하나 대전 시선 집중
제4인터넷은행 탄생하나 대전 시선 집중

대전에 본사를 두기로 대전시와 협약을 맺은 한국소호은행(KSB)이 제4인터넷은행 예비인가 신청을 하면서 '대전에 본사를 둔 기업금융 중심 은행 설립'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금융위원회는 지난 25~26일 인터넷전문은행 예비인가 신청서를 제출한 4개 컨소시엄을 대상으로 심사에 착수한다. 민간 외부평가위원회 심사를 비롯해 금융감독원의 심사를 거쳐 오는 6월 중 인터넷은행의 예비인가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이번 인가전에 뛰어든 곳은 '한국소호은행'을 비롯해 '소소뱅크', '포도뱅크', 'AM..

4월부터 우유, 맥주, 라면 등 `줄인상`
4월부터 우유, 맥주, 라면 등 '줄인상'

4월 1일부터 우유와 맥주, 라면, 버거 등의 가격이 동시에 인상된다. 올해 이미 커피와 과자, 아이스크림 등이 오른 상태에서 다수 품목이 연이어 가격 인상 행렬에 동참하면서 소비자들의 부담도 커지고 있다. 30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4월부터 대형마트와 편의점 등에서 판매하는 맥주와 라면 등의 가격이 줄인상 된다. 우선 편의점에서는 4월 1일 오비맥주와 오뚜기 라면·카레, CJ제일제당 비비고 만두, 하겐다즈 아이스크림, 남양유업 음료, 롯데웰푸드 소시지 등의 가격이 오른다. 가정용 시장의 40% 이상을 차지한 오비맥주 카스는 병과 캔..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꽃샘추위 이겨낸 야구 열기…한화생명 볼파크 세 번째 매진 꽃샘추위 이겨낸 야구 열기…한화생명 볼파크 세 번째 매진

  • ‘어떤 나무를 심을까?’ ‘어떤 나무를 심을까?’

  • 시와 음악을 동시에 즐긴다…‘명시명곡 속 대전’ 개최 시와 음악을 동시에 즐긴다…‘명시명곡 속 대전’ 개최

  • 한화이글스 홈 개막전…대전 한화생명볼파크 첫 매진 한화이글스 홈 개막전…대전 한화생명볼파크 첫 매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