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2021-02-02
제56강 흥청망청(興淸亡淸) : 흥에 겨워 마음껏 즐기며 거드럭거림 글자 뜻 : 興(일으킬 흥/좋아할 흥) 淸(맑을 청) 亡(망할 망) 출 전 : 조선왕조 실록(朝鮮王朝實錄), 한국의 인간상(人間像) 비 유 : 돈이나 물건 따위를 아끼지 않고 마구 쓰는 것을 비유한다...
2021-01-26
제55강 : 알묘조장(?苗助長) : 싹을 뽑아주어 싹이 자라는 것을 도와주다 글 자 : ?(뽑을 알), 苗(싹 묘), 助(도울 조), 長(어른 장 / 자랄 장 / 긴 장) 출 전 : 맹자 공손추 상편(孟子 公孫丑 上篇) 비 유 : 조급한 마음에 무리하게 일을 진행하다가..
2021-01-19
제54강 살처구장(殺妻求將). 아내를 죽여서 장수 자리를 얻는다. 글 자 : 殺(죽일 살) 妻(아내 처) 求(구할 구) 將(장수 장) 출 전 : 사기 손자/오기열전(史記 孫子/吳起列傳) 비 유 : 명성이나 이익을 얻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자를 비유. 오자병..
2021-01-12
제53강 백척간두(百尺竿頭) :백 척이나 되는 장대의 꼭대기 글자 뜻:百(일백 백)尺(자 척)竿(장대 간)頭(머리 두) 출전:당 고승 장사(唐 高僧 長沙) 비유:절체절명(絶體絶命)의 위기로 도저히 벗어 날 수 없는 상황 우리민족은 매우 슬기로운 민족으로 인정받고 있다...
2021-01-05
제52강 우생마사(牛生馬死) : 소는 살고 말은 죽는다. 글 자 : 牛(소 우)生(날 생, 살 생)馬(말 마)死(죽을 사) 비 유: 어렵고 힘든 상황일 때 흐름을 거스르지 말고, 순리대로 행동함과 성실하고 ?우직한 뚝심으로 좌절하지 않고, 끝까지 인내를 가지고 정진함을..
2020-12-29
제51강 물부충생(物腐蟲生) : 사물(事物)이 썩으면 벌레가 생긴다. 글 자 : 物(만물 물)腐(썩을 부)蟲(벌레 충)生(날 생, 태어나다) 출 처 : 순자(荀子)의 권학문(勸學文).소식(蘇軾 / 소동파)의 범증론(范增論) 비 유 : 남을 의심한 뒤에 그에 대한 비방이..
2020-12-22
제50강 유아무와(唯我無蛙) : 나에게는 오직 개구리가 없다 글자 : 唯(오직 유)我(나 아/ 우리 아)無(없을 무)蛙(개구리 와) 비유 : 부정부패(不正腐敗)로 얼룩진 사회, 뒷거래에 의한 부정한 출세 등 몇 년 전부터인가 사람들 사이에 많이 회자(膾炙)되었던 유아무..
2020-12-15
제49강 작법자폐(作法自斃) : 자기가 만든 법에 자기가 죽다. 글자 : 作(지을 작)法(법 법)自(스스로 자/ 자신 자)斃(죽을 폐) 출전 : 사마천의 사기 상군열전(司馬遷의 史記 商君列傳) 비유 : 자기가 한 일로 인하여 자기가 어려움을 당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2020-12-08
제48강 鄒孟軻母 (추맹가모): 추(鄒)나라 맹자(孟子)어머니의 교육 글 자 : 鄒(나라이름 추)孟(맏 맹/ 성 맹)軻(수레 가/ 굴대 가)母(어머니 모) 출 전 : 유향의 열녀전 권1 모의전(劉向의 列女傳 卷一 母儀傳) 비 유 : 어머니로서의 자식의 교육 또는 훌륭한..
2020-12-01
제47강 생명감응(生命感應) : 생명을 살렸으니 하늘도 감동하여 화답하다. 글 자 : 生(날 생) 命(목숨 명) 感(느낄 감) 應(응할 응, 대답할 응) 출 처 : 한국해학대전집 이인기인편(韓國諧謔大全集 異人奇人篇) 비 유 : 남을 살리는 선(善)한 일을 하면 하늘도..
2020-11-24
제46강 河伯娶婦(하백취부) : (매년) 처녀를 취하여 장가드는 물귀신 글 자 : 河(강이름 하) 伯(맏 백) 娶(장가들 취) 婦(며느리 부 / 여자 부) 출 전 : 열국지 7부, 전국칠웅(列國志 7部 全國七雄)/史記滑稽列傳(사기골계열전) 비 유 : 사회를 어지럽히는..
2020-11-17
제45강 노마지지(老馬之智) : 늙은 말(馬)의 지혜 글 자 : 老(늙을 노)馬(말 마)之( ~의 관형격 조사)智(슬기 지, 지혜로울지) 출 전 : 한비자(韓非子) 설림상편(說林上篇) 비 유 : 경륜(經綸)에 의해 쌓인 지혜(智慧)가 세상살이에서 겪는 어려움을 극복(克..
2020-11-10
제 44강 抱腰投江(포요투강) : (적장의)허리를 안고 강물에 몸을 던지다. 글 자 : 抱(안을 포)腰(허리 요)投(던질 투)江(큰 내 강) 출 전 : 유몽인(柳夢寅)의 어우야담(於于野談) 호남삼강록 의미 및 비유 첫째 여성으로서 우국충절(憂國忠節)과 열녀(烈女)의 표..
2020-11-03
제43강 복수불반분(覆水不返盆) : 한 번 엎지른 물은 다시 동이에 담을 수 없다. 글자: 覆(엎어질 복) 水(물 수) 不(아니 불) 返(돌이킬 반) 盆(동이 분) 출전 : 사기, 제태공세가(史記, 齊太公世家)습유기, 왕가(拾遺記, 王嘉) 의미 및 비유: 일단 행한 일..
2020-10-27
제42강: 餘桃之罪(여도지죄) : (먹다)남은 복숭아의 죄 글자 : 餘(남을 여)桃(복숭아 도)之(어조사 지)馬(말 마) 출전 : 淮南子. 說難(회남자 세난) 비유 : 애증(愛憎)의 변화는 예측하기 어려움. 유사성어 : 여도담군(餘桃啖君), 애증지변(愛憎之變), 망국지..
2020-10-20
제41강 보은단동(報恩緞洞) : 은혜를 갚음으로 지어진 비단마을(緞洞)의 이름 글자 : 報(갚을 보), 恩(은혜 은), 緞(비단 단), 洞(고을/ 마을 동) 출전 : 성호사설(星湖僿設), 열하일기(熱河日記) 청구야담(靑邱野談) 등에 보인다. 비유 : 한번 입은 은혜를..
2020-10-13
제40강 절장보단(絶長補短) : 긴 것을 잘라 짧은 것에 보탠다. 글자 : 絶(끊을 절), 長(긴 장), 補(기울/옷을 깁다 보, 도울 보), 短(짧을 단) 출전 : 전국책(戰國策) 초책(楚策) 비유 : 장점(長點)이나 넉넉한 것으로 단점(短點)이나 부족한 것을 보충함..
2020-10-06
제39강 마저작침(磨杵作針) : 절구 공이를 갈아서(磨杵) 바늘을 만든다.(作針) 글자 : 磨(갈 마) 杵(공이 저) 作(지을 작) 針(바늘 침) 출전 : 南宋 方輿勝覽 眉州 磨針溪(남송 방여승람 미주 마침계) 비유 :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끈기 있게 노력하면 이룰..
2020-09-29
제38강 복중지전(?中之錢) : 솥 가운데 있는 돈 꾸러미 글자로는 ?(솥 복), 中(가운데 중), 之(어조사 지), 錢(돈 전)자로 구성되어 있다. 본 이야기는 명심보감(明心寶鑑) 염의편(廉義篇)과 청구야담(靑邱野談)에 소개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감명과 교훈을 주고 있..
2020-09-22
제37강 영천세이(潁川洗耳) : 영천(潁川)에서 귀를 씻다 글자로는 潁(강이름 영), 川(내 천), 洗(씻을 세), 耳(귀 이)로 구성되어 있다. 본 이야기는 송(宋)나라 유의경(劉義慶)이 편찬한 세설신어(世說新語)에서 볼 수 있다. 이 고사는 중국의 태평성대(太平聖代..
2020-09-15
제36강 호가호위(狐假虎威) : 여우가 호랑이의 위엄(威嚴)를 빌려 위세(威勢)를 부리다. 글자로는 狐(여우 호) 假(거짓 가, 빌릴 가) 虎(범 호) 威(위엄 위)로 구성되어있으며, 출전은 전국책 초책(戰國策 楚策)에 보인다. 본 고사는 남의 권세를 빌려 위세를 부리..
2020-09-08
제35강 당랑포선(螳螂捕蟬) : 사마귀가 매미를 잡으려한다 螳 사마귀 당, 螂 사마귀 랑, 捕 잡을 포, 蟬 매미 선 당랑포선(螳螂捕蟬)은 눈앞의 이익에만 정신이 팔려 뒤에 닥칠 위협을 깨닫지 못함을 비유하고 있으며, 한시외전 정간(韓詩外傳 正諫)에서 볼 수 있다. 전..
2020-09-01
제34강 음덕양보(陰德陽報) : 음덕(드러나지 않게 행하는 덕행)을 베풀면 드러나는 보답이 있다. 본 성어는 陰(숨을 음), 德(덕 덕), 陽(나타날 양), 報(갚을 보)로 구성되며, 출전은 회남자(淮南子) 인간훈편(人間訓篇)과 열녀전(列女傳) 인지편(仁智篇)에서 볼..
2020-08-25
제33강 사지(四知) : (아무리 은밀히 해도) 넷이 알고 있다 아무리 두 사람만의 은밀한 행동일지라도 하늘과 땅, 나와 상대편이 다 알고 있다는 뜻으로, 비밀은 언젠가는 반드시 탄로 나게 마련임을 비유하는 말이다. 이 이야기는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때의 宋(송)나라..
2020-08-18
제32강 長頸烏喙(장경오훼) : 기다란 목에 까마귀 부리 같이 뾰족한 입 글자는 長(긴 장), 頸 : 頸(목 경), 烏(까마귀 오), 喙(부리 훼)로 구성되어있다. 본 고사의 출전은 사기(史記) 월세가(越世家)에 기록되어 있다. 사람의 인상은 대단히 중요하다. 그런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