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로는 狐(여우 호) 假(거짓 가, 빌릴 가) 虎(범 호) 威(위엄 위)로 구성되어있으며, 출전은 전국책 초책(戰國策 楚策)에 보인다.
본 고사는 남의 권세를 빌려 위세를 부리는 아첨꾼이나 소인배 또는 악덕의 관리를 비유할 때 많이 사용되며 국가의 고위층관리나 권력층의 고관일수록 심하다.
초(楚)나라 선왕(宣王) 때 소해휼(昭奚恤)이라는 재상이 있었는데, 한(韓), 위(魏), 조(趙), 제(齊)나라가 한결같이 소해휼을 두려워하였다. 이를 이상하게 여긴 선왕이 신하들에게 물었다. "듣자하니 북쪽의 여러 나라들이 모두 소해휼 재상을 두려워한다고 하는데 어찌 된 일인가?" 신하들 가운데 누구 하나 제대로 대답을 못 하고 있는데 강일(江一)이라는 대신이 대답했다.
"산중의 왕 호랑이가 모든 짐승들을 잡아서 먹이로 삼다가 하루는 여우를 잡게 되었습니다. 꾀 많은 여우는(죽지 않으려고)호랑이가 무섭지만 시침을 떼고 말했습니다. '그대는 감히 나를 잡아먹지 못할 것이다. 나는 천제(天帝)께서 나를 온갖 짐승의 우두머리로 삼았으니, 지금 나를 잡아먹으면 천제의 명을 거스르는 것이 된다.
나를 믿지 못하겠다면 내가 앞장설 테니 내 뒤를 따라와 봐라. 나를 보고 감히 달아나지 않는 짐승이 있는가 보아라.' 호랑이는 일리가 있다고 생각하고 여우와 함께 여러 짐승들이 있는 곳을 천천히 걸어갔습니다. 그러자 짐승들이 보고 모두 달아나기에 바빴습니다. 호랑이는 짐승들이 자기를 두려워해 달아난다는 것을 모르고 여우를 두려워한다고 생각했습니다.
대왕께서는 지금 국토가 사방 5천 리, 군사가 백만인데 이를 소해율에게 맡겼습니다. 그러므로 북방의 나라들이 소해율을 두려워한다고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사실은 대왕과 대왕의 군대를 두려워하는 것입니다. 마치 짐승들이 호랑이를 두려워하듯이 말입니다."
위 이야기는 지극히 간단하고 해학적인 내용이지만 오늘날 정치를 담당하는 자들이 권력자를 등에 업고 약한 사람들을 괴롭히는 자들에게 경종을 줄 수 있음은 물론이요, 힘없는 자(백성)들도 권력자를 믿고 허세를 부리는 자를 유심히 관찰하여 허세에 놀라지 않는 예리한 판단을 가져야 한다는 중요한 교훈을 제시 하고 있어 잘 새겨두어야 할 것이다.
예로부터 역대 어느 정권이든 항상 최고 권력자를 등에 업고 온갖 가혹한 악행을 저지르고 원칙을 무시하면서도 당당하고, 파렴치(破廉恥)하면서도 후안무치(厚顔無恥)한 경우를 우리는 종종 볼 수가 있는 것이다.
조선시대 비극적인 역사들이 많지만 그 중 연산군(燕山君)과 임사홍(任士洪)부자(父子)의 행동은 조선역사를 송두리째 시궁창으로 넣어버리는 듯한 참혹스러움 그 자체이다. 군주가 바르지 못하면, 위로는 온갖 아부(阿附)로 권력자의 비위를 맞추고, 아래로는 거짓과 협박으로 약한 자를 우롱(愚弄)하는 비열한 행동을 서슴치 않고 자행하는 자는 어느 시대든 간에 있게 마련이다. 비단 조선시대뿐이던가?
첨단시대를 살고 있는 지금의 대한민국도 그 때와 조금도 다를 것이 없다.
최고 권력자를 등에 업고 주군(主君)에게는 충성하지만 국민들에게는 상식적으로 이해 할 수 없는 행동을 하는 애처로운 몇 사람이 마치 조자룡 헌 칼, 헌 창 쓰듯 마구잡이로 거짓과 협박, 뻔뻔함 등으로 허세를 부리고 있다. 가히 역사에 길이 남을 전형적 호가호위 행동을 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호랑이가 시킨 것도 있겠지만 이제는 알아서 도를 넘어 불법(不法)을 재미로 알고 자행하는 태도는 이미 사람이기를 거부한 마구잡이 행동을 아무 거리낌 없이 하고 있는 짐승과 다를 바가 없다.
조선 중기의 학자 서기(徐起 1523∼1591)가 지었다는 탄시(歎時:시대를 탄식하며 지은 시(詩)한 편을 보자.
形獸心人多古聖(형수심인다고성)몸은 짐승 같으나 마음이 사람다운 자는 옛 성인 가운데 많고
形人心獸盡今賢(형인심수진금현)몸은 사람 같으나 마음이 짐승인 자는 오늘날 현자라는 자들이 모두 여기에 속한다.
擾擾東華冠帶十(요요동화관대십)서울 길을 왁자하게 헤치고 다니는 화려한 분들이여
暮天風雨奈君恩(모천풍우내군은)비바람 몰아치는 저문 하늘이 되면(임금이 권력이 없어지면) 임금님 은혜는 어찌 하려는가?
채근담(菜根譚)의 교훈을 다시 한 번 새겨본다.
권력의 세(勢)를 쫒아서 붙어사는 재앙은 매우 참담하고 매우 빠르지만, 고요한데 살아 편안함을 지키는 맛은 가장 맑고 가장 오래간다.(趨炎附勢之禍 甚慘亦甚速. 棲恬守逸之味 最淡亦最長./추염부세지화 심참역심속 서염수일지미 최담역최장)
당장 눈앞에 보이는 이익을 쫓아 권세가에게 줄을 대고 그들에게 기생(寄生)하기 위해 꼬리를 치는 작태를 우리는 역사 속에서, 그리고 현실 속에서 흔하게 보게 된다.
그들이 감당해야 할 공통점은 그 권세가의 세도가 쇠(衰)함과 동시에 하루아침 이슬처럼 사라지고 마는데 그 말로가 한결같이 비참하다는 것이다. 어쩔 수 없어서 권력자의 주구(走狗)가 되더라도 적당한 때에 손을 떼고 물러나는 용기가 필요할 것이다.
장상현/ 인문학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