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46강 하백취부(河伯娶婦)

  • 문화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46강 하백취부(河伯娶婦)

장상현/ 인문학 교수

  • 승인 2020-11-24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46강 河伯娶婦(하백취부) : (매년) 처녀를 취하여 장가드는 물귀신

글 자 : 河(강이름 하) 伯(맏 백) 娶(장가들 취) 婦(며느리 부 / 여자 부)

출 전 : 열국지 7부, 전국칠웅(列國志 7部 全國七雄)/史記滑稽列傳(사기골계열전)

비 유 : 사회를 어지럽히는 무위도식(無爲徒食/하는 일없이 밥만 축내는 사람들)자들 과 힘없는 백성들을 못살게 구는 악덕관리를 제거하는 훌륭한 목민관을 비유



중국 대륙에는 두 개의 큰 하천이 있다. 하나는 장강(長江), 즉 양자강이고, 또 하나는 황하(黃河)다. 일반적으로 장강은 '강(江)'이라고 부르고, 황하는 '하(河)'라고 부른다. 하백(河伯)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황하를 관장하는 물의 신이다.

황하는 중국 대륙 북부를 흐르는 총연장 5464㎞의 큰 강이다(서울과 부산의 거리는 480㎞다). 황토 지대를 통과하기 때문에 언제나 물빛은 황갈색이며, 밑으로 내려갈수록 강폭이 넓어져 어떤 곳은 마치 바다처럼 보이기도 한다. 황하 유역은 중국 고대문명의 발상지이며, 중국을 대표하는 전설을 많이 품은 강이기도 하다.

사람들은 강의 신(神)은 변신하는 능력이 있으며, 어떤 때는 사람의 모습, 또 어떤 때는 용(龍)의 모습으로 변한다고 생각했다. 하백(河伯)에서 백(伯)은 맏이나 우두머리를 뜻하기도 하지만 친밀함을 나타내는 경칭(敬稱)으로 쓰이기도 한다.

위(魏)나라의 문후(文王, B.C.445 ~ 396) 시대에 서문표(西門豹)라는 매우 강단(剛斷)이 있고 정사(政事)에 밝은 인물이 업(?)고을의 유수(留守)를 맡게 된 일이 있었다.

문후(文王)는 그에게 유수의 직분을 내리면서 하남성의 어지러운 질서와 백성들의 고통을 반드시 해결하라고 명령했다.

이에 서문표는 부임하자마자 곧장 지역의 장로(長老)들을 불러 모아서 그들의 고민거리를 들었다. 장로들은 "하백(河伯)이 처녀를 요구하기 때문에 우리들은 항상 궁핍(窮乏)할 수밖에 없고, 대책을 세우지 않으면 모두 굶어죽고 말 것입니다" 라고 말했다.

그 이유는 매년 하백에게 바치는 처녀를 사기 위한 준비금으로 많은 세금을 내야하고, 남은 돈은 굿을 담당하는 늙은 무녀(巫女)와 그 제자들, 그리고 삼로(三老/호족)와 탐관오리(貪官汚吏)들이 나누어 가지기 때문이었다. 게다가 해마다 때가 되면 무녀가 집집마다 돌면서 아름다운 처녀를 찾아내 "이 처녀가 하백의 아내감이다"라고하면서 데려가기 때문에 처녀가 있는 집은 모두가 먼 곳으로 도망을 쳐서 마을의 사람마저 줄어들고 있다고 장로들은 하소연했다.

"만약 하백의 아내가 되는 것을 거부하면, 하백이 진노해서 홍수를 일으켜 논밭이 물에 잠기는 것은 물론이고 사람들도 모조리 익사(溺死)시켜버린다고 합니다."

장로들의 이야기를 듣고 심각한 표정으로 뭔가를 곰곰이 생각하던 서문표가 입을 열었다. "다음번에 하백에게 아내를 바치는 때가 오면, 관리와 무녀, 그리고 아내가 될 처녀의 집안사람들을 모두 강가에 데려오시오. 나도 한번 지켜보겠소."

이윽고 하백에게 아내를 바치는 때가 되어 무녀와 그 제자들(20명)과 삼로(三老), 탐관오리들은 처녀를 데리고 강가로 모였다. 서문표는 무녀의 얼굴을 보면서 말했다.

"이 처녀는 아름답지가 않은데……. 무녀 할멈, 지금 당장 물에 들어가 하백에게 아뢰시오. 나중에 아주 아름다운 처녀를 바치겠다고."

그러고는 부하들에게 명령해서 무녀노파를 강 속에 던져버렸다.

무녀가 강에 빠져 나오지 않자 조금 있다가 "무녀 노파는 너무 늙었다는구나. 그렇다면 제자들이 들어가 보라."

서문표는 부하를 시켜 무녀의 제자 3명을 강으로 던졌다.

그리고 잠시 후에, "무녀들은 여자라서 사정을 잘 설명하지 못하는 것 같구나. 그렇다면 삼로(三老)와 관리들께서 한번 들어가 보시는 것이 어떻겠소"라고 하면서 삼로와 관리 몇 명도 강에 던졌다.

남은 관리들은 얼굴이 흙빛이 되고, 등에 땀을 흘리면서 벌벌 떨고 머리를 땅에 조아리고 살려달라고 빌었다.

서문표는 마을의 관리들과 무녀가 결탁해서 사람들을 쥐어짠 것을 알고 있었던 것이다.

이런 사건이 있고 난 후에야 과중한 세금을 부과해서 하백에게 처녀를 바치게 하는 풍습은 없어졌다고 한다.

그리고 나서 서문표는 아전, 호장 및 삼로의 재산들을 몰수하여 그들에게 착취당한 백성들에게 다시 돌려주도록 하고 장가들지 못한 청년들과 무녀 제자들과 결혼을 시키는 등 하남성은 정상을 찾았고 관개시설(灌漑施設)을 확충하여 홍수를 막아 해마다 풍년을 기약했다.

강단 있고, 정사(政事)에 밝은 한 사람의 태수가 많은 백성을 구하고, 악독한 무당과 그와 결탁한 탐관오리를 척결하여 고을의 평화를 회복하는 통쾌한 사건은 정치가들에게 대대로 목민관(牧民官)의 귀감(龜鑑)으로 전해지고 있다.

사기세가(史記世家)에 "나라가 장차 흥하려면 반드시 상서로움인 군자는 등용되고 소인은 퇴출되며, 나라가 장차 망하고자할 때는 현자는 숨고, 어지러운 신하만 귀하게 된다.(國家將興必有禎祥 君子用而小人退 國家將亡 賢人隱亂臣貴/국가장흥필유정상 군자용이소인퇴 국가장망 현인은난신귀)"는 말이 있다.

지금 대한민국의 사정은 백성들의 삶이 너무 힘들다는 것이다. 거기다가 모든 사회질서가 분열로 파괴되어 혼란스럽고, 순리(順理)가 역행하여 세상이 거꾸로 간다고 한다. 그런데도 지도자급들은 국민을 속이고 자기 체면을 세우기 위해 혈안이 되고 있다. 나라가 빚더미에 앉던, 국민이 고통으로 얼룩지던 빚을 내어서라도 표(票)얻기만 혈안이니 안타까운 마음 어찌 필자 혼자만이겠는가?

이 시대 힘이 없어 고통 받는 국민을 구할 수 있는 현명하고 용기 있는 서문표(西門豹)는 진정 없는 것인가?

장상현/ 인문학 교수

2020101301000791400027401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2.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3.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4.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5. 기후정책 질의에 1명만 답…대전 4·2 보궐선거 후보 2명은 '무심'
  1.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2. 안전성평가연구소 '국가독성과학연구소'로 새출발… 기관 정체성·비전 재정립
  3. 지명실 여사, 충남대에 3억원 장학금 기부 약속
  4. 재밌고 친근하게 대전교육 소식 알린다… 홍보지원단 '홍당무' 발대
  5. '선배 교사의 노하우 전수' 대전초등수석교사회 인턴교사 역량강화 연수

헤드라인 뉴스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12·3 비상계엄 이후 탄핵정국에서 펼쳐지는 첫 선거인 4·2 재·보궐 선거 날이 밝았다. 충청에선 충남 아산시장과 충남(당진2)·대전(유성2) 광역의원을 뽑아 '미니 지선'으로 불리는 가운데 탄핵정국 속 지역민들의 바닥민심이 어떻게 표출될지 관심을 모은다. 이번 재·보궐에는 충남 아산시장을 포함해 기초단체장 5명, 충남·대전 등 광역의원 8명, 기초의원 9명, 교육감(부산) 1명 등 23명을 선출한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놓고 여야 간 진영 대결이 극심해지면서 이번 재·보궐 선거전은 탄핵 이슈가 주를 이뤘다. 재·보궐을 앞..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과 관련, 헌법재판관들의 의견이 ‘전원일치’이면 이유의 요지를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을 낭독한다. 헌법재판소의 실무지침서인 ‘헌법재판 실무제요’ 명시된 선고 절차다. 재판관들의 의견이 엇갈리면 주문 먼저 읽은 후에 다수와 소수 의견을 설명하는 게 관례지만, 선고 순서는 전적으로 재판부의 재량에 달려있어 바뀔 수 있다. 선고 기일을 4일로 지정하면서 평결 내용의 보안을 위해 선고 전날인 3일 오후 또는 선고 당일 최종 평결, 즉 주문을 확정할 가능성이 크다. 평결은 주심인 정형식 재판관이 의견을..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제4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추진하는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이하 소호은행)이 1일 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전국 최초의 소상공인 전문은행 역할을 지향하는 소호은행은 향후 대전에 본사를 둔 채 충청권 지방은행의 역할을 일부 수행하며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소호은행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소상공인 맞춤형 금융서비스 계획을 발표했다. 컨소시엄을 이끄는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KCD) 대표는 "대한민국 사업장의 절반 이상이 소상공인, 대한민국 경제 활동 인구의 4분의 1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 3색의 봄 3색의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