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43강 복수불반분(覆水不返盆)

  • 문화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43강 복수불반분(覆水不返盆)

장상현/ 인문학 교수

  • 승인 2020-11-03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43강 복수불반분(覆水不返盆) : 한 번 엎지른 물은 다시 동이에 담을 수 없다.

글자: 覆(엎어질 복) 水(물 수) 不(아니 불) 返(돌이킬 반) 盆(동이 분)

출전 : 사기, 제태공세가(史記, 齊太公世家)습유기, 왕가(拾遺記, 王嘉)

의미 및 비유:



일단 행한 일은 다시 원상복구 할 수 없다.

한번 이혼(離婚)한 아내는 다시 받아들일 수 없다.

주(周)나라의 무왕(武王)을 도와 은(殷)의 폭군인 주왕(紂王)을 몰아내는데 큰 공을 세워 나중에 제(齊)나라의 제후가 된 강상(姜尙/강태공) 혹은 여상(呂尙)이 젊은 시절 벼슬하지 아니하였을 때 그의 아내 마씨(馬氏)는 학문에만 열중하고 가정을 돌보지 않는 남편을 몹시 원망하였다.

그의 아내 마씨는 매우 가난하여 남의 집에 가서 하루 품을 팔아 가정을 돌보면서도 틈틈이 가을철이 되면 추수가 끝난 남의 논둑, 밭둑에 피(稷)를 훑어 말려 그것을 빻아서 먹고 살기도 하였다.

그런데 하루는 피를 훑어서 마당에 멍석을 펴고, 멍석 위에 피를 널어놓고 남의 집에 품을 팔러가면서 글을 읽고 있는 남편에게 이르기를 "오늘 비가 올 것 같으니 비가 올 때에 내가 돌아오지 않으면 멍석에 널은 피를 걷어 들여 주세요"라고 부탁하고 나아갔다. 그날 아내가 돌아오기 전 소나기가 쏟아졌고, 안심했던 아내가 집에 돌아와 보니 멍석을 치우지 못해 애써 훑어온 피가 몽땅 물에 씻겨 떠내려갔다. 그런데도 남편은 여전히 글 읽기에만 열중하고 있었다.

아내 마씨는 손이 부르트도록 훑어 온 피가 빗물에 다 떠내려갔으니 화가 날대로 났던 것이다. 그래서 마씨 부인은 "당신 같은 사람과 살다가는 밥 굶어 죽겠다"고 하면서 그만 보따리 싸가지고 집을 나가고 말았다.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강태공은 혼자 사는 신세가 되었다.

그 뒤 강상(姜 太公)은 계속 학문에 열중했고 드디어 주(周)나라 문왕(文王/당시 제후)에게 등용되어 은(殷)나라를 멸하고, 주(周)나라를 건국하는 공(功)을 세워 그 논공행상(論功行賞)에 따라 일등공신이 되어 제(齊)나라 왕(제후)이 되어 부임하게 된다. 이 소문을 들은 헤어진 부인 마씨는 부임하는 강태공 앞에 나타나 엎드려 말하기를 "과거의 잘못을 뉘우치고 있으니 저를 거두어 주소서"라고 하면서 애원을 했다.

그러자 태공은 마씨에게 물 한 동이를 길어오게 하고, 다시 그 물을 땅에 쏟아 버리라고 한 다음 땅에 쏟아진 물을 다시 동이에 담아 보라고 하였다.

마씨 부인은 물을 다시 담으려고 했으나 담지 못했다. 그러자 태공이 말하였다.

"그대는 이별했다가 다시 결합할 수 있다고 생각하겠지만 이미 엎지른 물은 다시 담을 수 없는 것이다.(若能離更合, 覆水定難收/약능이갱합, 복수정난수)"하면서 마씨 부인을 거두어 주지 않았다.

이 고사의 유사성어로는 破鏡再不照(파경재불조/깨어진 거울은 다시 비출 수 없다) 已發之矢(이발지시/이미 쏜 화살) 落花難上枝(낙화난상지/떨어진 꽃은 다시 가지로 갈 수 없다) 등이 있다.

우리는 여기서 곤경과 역경을 참고 견디는 인내심의 필요와 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작은 노고는 감수해야 한다는 엇갈린 평가를 할 수 있다. 그러나 한 가정의 중요성에 비추어 본다면 어떠한 경우라도 한번 맺어진 인연은 헤어지는 불행이 있으면 안 된다.

요즈음 인생후반에 많이 발생하는 이른바 황혼이혼! 행복을 위해 자기주장만 앞세워 갈라서지만 그 시간 이후부터는 오히려 괴로운 시간의 연속이 아닌가? 선조(先祖)들께서 이를 천륜(天倫)으로 표현했던 남녀결합으로 이루어진 가정(家庭)은, 백번이라도 양보하고 서로를 이해해야 하는 최우선적인 중요한 과제이기도 하다.

'복수불반분'이라는 고사는 지금으로부터 약 3000여 년 전 일이다.

물론 이 이야기는 아주 먼 옛날이야기이고, 그것도 중국사람 이야기이니 혹 당시에는 시대에 맞는 이야기인지 모르겠으나 요즘 현대사회 여성의 역할이 중요시 되는 시대에는 전혀 맞지 않는 이야기로, 오히려 무능한 남편 뒷바라지를 해준 부인에게 동정이 더 가는 것이 맞다고 할 것이다.

어떤 사람 의견은 '밥 굶기는 무능한 남편을 떠났으면 제대로 잘 살아 멋진 모습으로 보라는 듯 당당하게 나타나야 한다'라고 여자의 초라한 모습을 동정하는 의견도 있고, 또 어떤 사람은 '남자가 일국의 재상까지 되어서 출세했다면, 그것도 노인이 되어서 고생시킨 옛 시절도 있고 하니 너그럽게 받아 줄 수도 있지, 뭘 그리 유식하게 문자까지 써가며 냉정하게 굴 것도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고 하는 사람도 있다. 정답은 없다 자기들이 처해진 환경에 의해 평가 할 따름이다.

작은 가정사도 이처럼 중요한데 국가를 경영하는 위정자들의 입장은 어떨까?

선현(先賢)들의 교훈을 생각해보자

夫婦人倫之始 萬福之原 雖至親至密 而亦至正至謹之地(부부인륜지시 만복지원 수지친지밀 이역지정지근지지)

곧 부부는 인륜의 시작이고 온갖 복의 근원이다. 비록 지극히 친하고, 지극히 가까우면서도, 또한 지극히 바르고, 지극히 삼가(조심/ 공경)해야 하는 관계이다.

퇴계 이황(退溪 李滉)선생이 맏손자 이안도(李安道)의 혼례 때 보낸 편지의 일부이다

부부지간에 예의(禮儀)를 지키며 서로 공경(恭敬)하는 처세야말로 행복한 백년해로(百年偕老)의 비결일 것이다.

장상현 / 인문학 교수

2020101301000791400027401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2.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3.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4.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5. 기후정책 질의에 1명만 답…대전 4·2 보궐선거 후보 2명은 '무심'
  1.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2. 안전성평가연구소 '국가독성과학연구소'로 새출발… 기관 정체성·비전 재정립
  3. 지명실 여사, 충남대에 3억원 장학금 기부 약속
  4. 재밌고 친근하게 대전교육 소식 알린다… 홍보지원단 '홍당무' 발대
  5. '선배 교사의 노하우 전수' 대전초등수석교사회 인턴교사 역량강화 연수

헤드라인 뉴스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12·3 비상계엄 이후 탄핵정국에서 펼쳐지는 첫 선거인 4·2 재·보궐 선거 날이 밝았다. 충청에선 충남 아산시장과 충남(당진2)·대전(유성2) 광역의원을 뽑아 '미니 지선'으로 불리는 가운데 탄핵정국 속 지역민들의 바닥민심이 어떻게 표출될지 관심을 모은다. 이번 재·보궐에는 충남 아산시장을 포함해 기초단체장 5명, 충남·대전 등 광역의원 8명, 기초의원 9명, 교육감(부산) 1명 등 23명을 선출한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놓고 여야 간 진영 대결이 극심해지면서 이번 재·보궐 선거전은 탄핵 이슈가 주를 이뤘다. 재·보궐을 앞..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과 관련, 헌법재판관들의 의견이 ‘전원일치’이면 이유의 요지를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을 낭독한다. 헌법재판소의 실무지침서인 ‘헌법재판 실무제요’ 명시된 선고 절차다. 재판관들의 의견이 엇갈리면 주문 먼저 읽은 후에 다수와 소수 의견을 설명하는 게 관례지만, 선고 순서는 전적으로 재판부의 재량에 달려있어 바뀔 수 있다. 선고 기일을 4일로 지정하면서 평결 내용의 보안을 위해 선고 전날인 3일 오후 또는 선고 당일 최종 평결, 즉 주문을 확정할 가능성이 크다. 평결은 주심인 정형식 재판관이 의견을..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제4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추진하는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이하 소호은행)이 1일 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전국 최초의 소상공인 전문은행 역할을 지향하는 소호은행은 향후 대전에 본사를 둔 채 충청권 지방은행의 역할을 일부 수행하며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소호은행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소상공인 맞춤형 금융서비스 계획을 발표했다. 컨소시엄을 이끄는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KCD) 대표는 "대한민국 사업장의 절반 이상이 소상공인, 대한민국 경제 활동 인구의 4분의 1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 3색의 봄 3색의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