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 : 餘(남을 여)桃(복숭아 도)之(어조사 지)馬(말 마)
출전 : 淮南子. 說難(회남자 세난)
비유 : 애증(愛憎)의 변화는 예측하기 어려움.
유사성어 : 여도담군(餘桃啖君), 애증지변(愛憎之變), 망국지음(亡國之音)
전국시대(戰國時代)에 미자하(彌子瑕)는 미동(美童/예쁜 소년)으로 위(衛)나라 영공(衛靈公)의 총애(寵愛)를 받았다. 당시 위나라 국법에 따르면 임금의 수레를 허락 없이 타는 사람은 월형(?刑/발뒤꿈치를 자르는 형벌)을 받게 되어 있었다.
어느 날 밤에 미자하는 어머니가 병이 났다는 말을 들었다. 그는 급한 나머지 왕명이라 속이고 왕의 수레를 타고 집으로 달려갔다. 나중에 이 말을 들은 왕은 "과연 미자하는 어질구나. 효성이 지극하여. 어머니를 생각한 나머지 월형을 범한다는 것조차 잊었구나"라고 칭찬하여 말했다.
그리고 또 어느 날 미자하는 왕과 함께 과수원에서 노닐다가 복숭아를 먹어 보니 아주 달아 다 먹지 않고 반을 남겨 왕에게 드시라고 바쳤다. 왕이 말했다. "나를 사랑하는구나. 그 맛있는 복숭아를 나를 생각해서 다 먹지 않고 나에게 바치는구나."
그 후 세월이 흘러 미자하의 자태가 점점 빛을 잃었고, 왕의 총애도 엷어졌다.
어느 날 미자하가 왕에게 아주 작은 죄(罪)를 짓자 왕이 말했다.
"이놈은 언젠가 몰래 과인의 수레를 탔고, 또 한 번은 먹다 남은 복숭아를 나에게 먹였다. 매우 버릇없는 놈이다"라고 하였다.
미자하의 행동에는 처음과 다름이 없었다. 그러나 예뻐 보일 때는 어질다는 소리를 들었고, 미워 보일 때는 죄를 얻었던 까닭은, 사랑이 미움으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왕에게 총애(寵愛)를 받을 때는 지혜를 내는 것마다 왕의 마음에 들고 친애(親愛)도 더하지만, 왕에게 미움을 받게 되면 지혜를 짜내어도 왕의 마음에 들지 않고 죄가 되며 더욱 멀어지기만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간언(諫言)을 하거나 논의(論議)를 하려는 선비는 군주의 좋아하고 싫어함을 미리 살핀 후에 직언하지 않으면 안 된다.
임금을 대하는 미자하의 행동은 예나 지금이나 크게 달라진 것이 없었던 데 반해 미자하를 대하는 왕의 태도가 반대로 변(變)한 게 문제였던 것이다.
그렇다면 변한 왕이 문제인가, 아니면 변한 왕을 살피지 못한 미자하가 문제인가.
무소불위(無所不爲)의 권력을 가진 왕을 탓해야 소용없는 일이다. 그보다는 변한 상황을 눈치 채지 못한 미자하의 어리석음이 문제일 것이다.
우리나라는 정권이 바뀔 때마다 전(前)정권의 모든 사업을 잘못된 정책으로 보고 일단 부패(腐敗)로 몰아붙여 사정없이 단죄로 다스리고 있다. 마치 취모멱자(吹毛覓疵/털을 불어서까지 하면서 허물을 찾다)를 연상하게 하는 대대적인 숙청행사를 치루는 듯하다. 곧 몇 년 후에는 자기도 똑 같은 경우를 당할 것인데 마치 자기네는 영원토록 완전한 사람인 듯한 착각을 하고 있는 것이다.
여도지죄(餘桃之罪), 애증(愛憎)의 변화는 예측하기 어렵다는 교훈이다.
법(法)은 드러내야 하고, 술(術)은 드러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한비자(韓非子)의 말이 마음에 다가온다.
곧 사랑할 때의 잣대와 미워할 때의 잣대 기준은 이처럼 천국과 지옥을 넘나드는 것. 바로 이 진리를 깨닫는 자만이 훗날 눈물을 흘리지 않을 것이다.
젊은이들이여!
사랑할 때는 상대방이 다소 혐오스럽고 이상한 짓을 해도 아름답게 보이는 법이다. 그러나 결혼 후 사랑이 점차 식어지면 좋은 충고를 하고, 또 아름답게 치장을 해도 오히려 기분을 해치는 분위기로 바뀌게 된다.
정치인들이여!
뇌물을 바치고 손바닥 비비며 접근할 때는 자기에게 상당한 관심을 보이고 뒤를 챙겨주는 선배정치인들이 그가 죄나 다른 잘못으로 감옥에 가면 챙겨주기는커녕 자기와는 인연이 전혀 없는 무 인연으로 취급하는 냉정한 현실을 정치인이 아니더라도 느끼게 되는 것이다.
명심해야 한다. 이 말, 여도지죄(餘桃之罪)!
인간이 사물을 대할 때 서로 상반된 견해가 있음을 분명히 알 수 있다.
가령 컵에 물이 반쯤 있을 때 A(긍정)라는 사람은 "어! 물이 아직 반이나 남았네!"라고 말하며, B(부정)라는 사람은 "에이! 물이 반밖에 없어"라고 말한다.
채근담(菜根譚)에 '性燥心粗者一事無成 心和氣平者百福自集(성조심조자일사무성 심화기평자백복자집) 곧 성격이 조급(躁急)하고 마음이 거칠은 자는 한 가지 일도 이룰 수 없고, 마음이 화평(和平)하고 기운(氣運)이 평안(平安)한 자는 모든 복이 저절로 모인다.' 이는 조급함보다 마음의 화평에 우선함을 이르는 교훈이다. 멀리보고, 관대해보자.
진리를 깨달으면 여도지죄의 난관에서도 슬기롭게 극복하는 지혜에 한 발자국 더 가까워질 것이고, 여도지죄의 변을 빨리 깨닫는 자만이 사지(死地)를 벗어나는 길이 될 것이라는 것을…….
좀 더 멀리보고, 남에게 관대해보자.
장상현 / 인문학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