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34강 음덕양보(陰德陽報)

  • 문화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34강 음덕양보(陰德陽報)

장상현/ 인문학 교수

  • 승인 2020-09-01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34강 음덕양보(陰德陽報) : 음덕(드러나지 않게 행하는 덕행)을 베풀면 드러나는 보답이 있다.

본 성어는 陰(숨을 음), 德(덕 덕), 陽(나타날 양), 報(갚을 보)로 구성되며, 출전은 회남자(淮南子) 인간훈편(人間訓篇)과 열녀전(列女傳) 인지편(仁智篇)에서 볼 수 있다.

음덕양보는 음덕을 베풀면 드러나는 보답(報答)이 있다. 곧 남모르게 덕을 베풀면 밖으로 드러나는 보답을 받는다.(음덕은 남이 모르게 행하는 선행, 양보는 똑똑히 나타나는 경사스런 보답이다. 간단하게 말하면, 숨은 노력은 반드시 보답을 받게 된다.)

춘추시대 초(楚)나라의 명재상(宰相)이던 손숙오(孫叔敖)의 고사가 대표적이다.



손숙오(孫叔敖)가 어렸을 때의 일이다.

어느 날 밖에서 놀다가 양두사(兩頭蛇 /머리가 둘 달린 뱀)를 보고 죽여서 땅에 묻어 버렸다. 그리고 나서 집에 돌아와 밥을 먹지 못하고 전전긍긍(戰戰兢兢)하고 있었다. 그의 어머니가 이상히 여겨 까닭을 물으니, 손숙오가 울면서,

"저는 머리가 둘 달린 뱀을 본 사람은 죽는다고 들었습니다. 제가 지금 그런 뱀을 보았습니다. 머지않아 저는 죽을 것 같습니다."라고 하였다.

그 말을 들은 어머니가 다시 물어보았다. "그래, 그 뱀은 지금 어디에 있단 말이냐?" 손숙오가 대답하길 "그 뱀을 본 사람은 죽게되므로 다른 사람이 보지 못하도록 죽여서 땅에 묻었습니다."라고 말하였다.

아들의 말을 다 들은 어머니는, "남모르게 덕행(德行)을 쌓은 사람은 그 보답을 받는다(陰德陽報)고 들었다. 네가 뱀을 죽인 것 또한 다른 사람을 위한 배려(配慮)였으므로 너는 그 보답으로 죽지 않을 것이며 숨은 행실이 있는 사람은 반드시 명성을 얻게 된다."라고 말하였다.

그 후 손숙오의 어머니 말처럼 그는 일찍 죽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그가 젊었을 때도 백성들이 그의 어짊을 존경하고 따랐다. 그는 장성해서 초나라의 재상이 되어 훌륭한 재상이라는 명성을 얻게 되었다.

물론 보답을 목적으로 음덕을 베푼 것은 아니지만, 음덕을 베풀다보면 결과적으로 양보(陽報)가 따라 오게 되는 것이다.

주역(周易) 문언전(文言傳) 교훈에 '착한 일을 쌓는 집안은 반드시 남겨지는 경사(慶事)가 있다.(積善之家 必有餘慶 /적선지가 필유여경)'라 하고, 명심보감에도 착한 일을 보거든 목마른 것 같이 하며, 악한 말을 듣거든 귀머거리처럼 하라.(見善如渴 聞惡如聾 /견선여갈 문악여롱)는 말과 함께, 모든 사람들에게 경계(警戒)의 말로, 오이씨를 심으면 오이를 얻고, 콩을 심으면 콩을 얻는다.(種瓜得瓜 種豆得豆 /종과득과 종두득두)는 말이 있다. 이는 곧, 선을 행하면 경사(慶事)나 복(福)을 받게 되고, 악을 행하면 그 결과는 혹독하고 참혹한 보복이 기다리고 있음을 경고하는 교훈인 것이다.

머리 둘 달린 뱀을 죽여 다른 사람을 살리려했던 손숙오는 그 음덕으로 인하여 훗날 재상이 되었고, 또 다른 고사(故事)로는 연회장에서 신하의 난처한 입장을 모른 척 용서한 초장왕(楚莊王)의 '음덕은 나라의 강성(强盛)과 왕권강화(王權强化)라는 큰 보답을 받게 된다'는 뜻을 가진 절영지연(絶纓之宴)이라는 고사도 있다.

즉, 드러나지 않는 곳에서 조용히 쌓아가는 덕행은 반드시 행복과 기쁨으로 보답을 받는다는 음덕양보의 논리야말로 따뜻한 마음을 상실해가는 이 시대에 꼭 필요한 교훈이라고 할 수 있다.

성경의 가르침에도 "너는 오른 손이 하는 것을 왼 손이 모르게 은밀(隱密)하게 하라. 은밀한 중에 보시는 너의 아버지께서 갚으시리라."(마 6:3-4) 말씀이 있다. 남이 모르도록하면서 보답을 받고자하는 생각 없이 남을 돕는다면 하나님은 반드시 복으로 갚아준다는 뜻이다.

우리 선조들은 살아가는데 세 가지 덕(三德)을 교훈으로 남기고 있다.

첫째는 남이 알지 못하는 음덕(陰德)

둘째는 마음으로 남을 도우려고 동정하는 심덕(心德)

셋째는 권력과 재물로써 남을 돕는 공덕(功德)이다.

이 가운데 가장 으뜸 되는 것은 물론 음덕이라 하였다.

진실된 덕행이란 이와 같이 음덕을 말하며, 아무 보답도 바라지 않고 누가 알아주기를 바라지도 않는 것이지만 언젠가는 세상이 훤히 알 수 있는 보답이 돌아오게 된다는 교훈이다. 그러나 세상에는 작은 공덕을 베푸는 척하면서 이를 끝없이 공치사(功致辭)하는 사람들이 매우 많아 도리어 씁쓸하다.

특히 고위 공직자나 유명 연예인 일수록 생색내기의 공덕이 심한 것을 느낄 수 있다.

연말이 되면 해마다 보이지 않는 익명(匿名)의 이웃돕기의 훈훈한 뉴스를 접하곤 하는데 그 때마다 따뜻한 세상을 느끼게 된다.

남을 대함에는 봄바람처럼 따뜻하게 하고, 자신에게는 가을 서리같이 엄격하게 대하라(待人春風 持己秋霜 /대인춘풍 지기추상)는 선현(先賢)들의 말씀이 큰 울림이 되어 부패되고 혼란한 현대인의 양심과 감정에 또 다른 이정표가 되었으면 한다.

장상현 /인문학 교수

5-장상현-박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2.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3.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4.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5. 기후정책 질의에 1명만 답…대전 4·2 보궐선거 후보 2명은 '무심'
  1.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2. 안전성평가연구소 '국가독성과학연구소'로 새출발… 기관 정체성·비전 재정립
  3. 지명실 여사, 충남대에 3억원 장학금 기부 약속
  4. 재밌고 친근하게 대전교육 소식 알린다… 홍보지원단 '홍당무' 발대
  5. '선배 교사의 노하우 전수' 대전초등수석교사회 인턴교사 역량강화 연수

헤드라인 뉴스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12·3 비상계엄 이후 탄핵정국에서 펼쳐지는 첫 선거인 4·2 재·보궐 선거 날이 밝았다. 충청에선 충남 아산시장과 충남(당진2)·대전(유성2) 광역의원을 뽑아 '미니 지선'으로 불리는 가운데 탄핵정국 속 지역민들의 바닥민심이 어떻게 표출될지 관심을 모은다. 이번 재·보궐에는 충남 아산시장을 포함해 기초단체장 5명, 충남·대전 등 광역의원 8명, 기초의원 9명, 교육감(부산) 1명 등 23명을 선출한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놓고 여야 간 진영 대결이 극심해지면서 이번 재·보궐 선거전은 탄핵 이슈가 주를 이뤘다. 재·보궐을 앞..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과 관련, 헌법재판관들의 의견이 ‘전원일치’이면 이유의 요지를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을 낭독한다. 헌법재판소의 실무지침서인 ‘헌법재판 실무제요’ 명시된 선고 절차다. 재판관들의 의견이 엇갈리면 주문 먼저 읽은 후에 다수와 소수 의견을 설명하는 게 관례지만, 선고 순서는 전적으로 재판부의 재량에 달려있어 바뀔 수 있다. 선고 기일을 4일로 지정하면서 평결 내용의 보안을 위해 선고 전날인 3일 오후 또는 선고 당일 최종 평결, 즉 주문을 확정할 가능성이 크다. 평결은 주심인 정형식 재판관이 의견을..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제4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추진하는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이하 소호은행)이 1일 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전국 최초의 소상공인 전문은행 역할을 지향하는 소호은행은 향후 대전에 본사를 둔 채 충청권 지방은행의 역할을 일부 수행하며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소호은행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소상공인 맞춤형 금융서비스 계획을 발표했다. 컨소시엄을 이끄는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KCD) 대표는 "대한민국 사업장의 절반 이상이 소상공인, 대한민국 경제 활동 인구의 4분의 1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 3색의 봄 3색의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