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자 : ?(뽑을 알), 苗(싹 묘), 助(도울 조), 長(어른 장 / 자랄 장 / 긴 장)
출 전 : 맹자 공손추 상편(孟子 公孫丑 上篇)
비 유 : 조급한 마음에 무리하게 일을 진행하다가 오히려 일을 망치게 만듦
'조장(助長)'이란 말은 "흔히 의도적으로 어떠한 경향이 더 심하여지도록 도와서 북돋아 줌: 동아 새국어사전, 이기문 감수, 2001)"이라고 하고, 또 다른 사전에는 "도와서 발달(發達)하게 함이나, 무리하게 도와서 도리어 해(害)가 됨(東亞 漢韓中辭典, 동아출판사, 1986년)"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전국시대 송(宋)나라에 어떤 우매한 농부 한 사람이 있었다. 그는 자기가 심은 곡식이 잘 자라도록 늘 밭에 가보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곤 했다. 그런데 그는 매일 보는 (벼)싹의 자람이 어제와 오늘에 차이가 없는 것을 보고 매우 안타까워했다.
그러다 어느 날 우연히 이웃집 곡식의 싹을 보고, 이웃집 곡식의 싹이 자기의 곡식 싹보다 더 많이 자랐다고 느껴져 자기 곡식의 싹이 더 잘 자라도록 특단의 조치를 취해야 되겠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그는 싹이 자라지 않는 것을 도와주는 방법으로 싹을 뽑아 올려보니 한순간 싹의 키가 무척 자란 것을 느꼈다. 그는 그 많은 곡식 싹을 다 뽑아 올려놓고, 지친 상태로 집에 돌아와 집안사람들에게 말했다.
"오늘은 내가 매우 피곤하다. 내가 (벼)싹이 자라는 것을 도와주었다"라고 하면서 자랑을 하였다. 그런데 늘 아버지 하시는 일이 엉뚱한 행동으로 일을 망쳐놓은 경우가 많은 관계로 아들이 걱정스러워 논으로 달려가 보니 싹이 뽑혀져 키는 커져 있으나 모두 말라 죽어있었다.
'알묘조장(?苗助長)'은 맹자(孟子)의 '공손추장구상(公孫丑章句上)'에 나오는 이야기로 오늘에는 줄여서 '조장(助長)"이라는 말로 널리 쓰이고 있다.
맹자는 부언(附言)해서 의미 있는 교훈을 덧붙인다. 곧 '이 세상에는 싹이 자라도록 억지로 조장(助長)하지 않는 자가 적다. 그런데 억지로 조장(助長)하는 자는 싹을 뽑아놓는 자와 같으니 이는 유익함이 없을 뿐만 아니라 도리어 해(害)가 되는 것이다,' 라고 지적하고 있다.
인간은 누구나 빨리 높은 경지에 도달하고 싶어 한다. 그렇지만 순리를 어기고 편법을 동원하여 급하게 서두르다 보면 반드시 낭패를 겪게 된다.
공자는 논어를 통해 '욕속부달(欲速不達 : 일을 빨리 하려고 하면 도리어 이루지 못함)'의 교훈을 남기고 있다. 우리는 이 말을 잘 살펴 조바심이나 조급함을 떨쳐 버리고, 하나하나 차근차근 단계를 밟아 정진해 나가는 방법을 택하여 행동해야 한다.
비단 벼 싹 뿐만 아니라 지상의 모든 작물은 적절한 환경(햇볕·비·바람·기온·손길·정성)조건에 따라 일정한 기간이 지나야 한다. 봄에 씨앗을 뿌려 싹이 움트면 김을 매야하고, 무성하게 자라는 여름엔 솎아내기를 해 줄기를 튼튼히 해야 하며, 가을이 돼야 추수를 하는 것은 자연의 순리이다.
퇴계(退溪) 선생은 일상생활에서 마음의 병통이 일어나는 것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고 있다. "가장 먼저 억지로 서둘러서 무엇인가를 빨리 이루려고 하는 행위 때문에 병통이 일어난다." 이 말은 억지로 행함과 급하게 서두르는 마음에 대한 경계라고 할 수 있다.
일에는 순서와 절차가 있고. 먼저 할 일과 나중에 해야 할 일이 있다. 빠르다고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니다. 빠른 만큼 느림의 역할도 중요 하다는 것이다. 이에 퇴계 선생은 그러한 방법을 통해 세상에서 일한 때의 곤궁함, 출세지향, 이해득실에 대한 집착, 명예욕 등을 버리라고 충고한다. 곧 욕심을 줄일 때, 혹은 욕심을 버릴 때, 스트레스는 이미 저만큼 도망가거나 줄어들게 된다.
우리 정부는 지난해부터 코로나19 때문에 재난지원금을 성급히 지급하고 있다. 말도 많고 불만도 많다. 그 이유는 지급하는 시기가 선거전에 돈을 풀어 정치적 이익을 꾀하는 집권당의 꼼수임을 모두가 알고 있기 때문이다. 나라에 빚이 늘어 자식과 후손들에게 엄청난 빚을 짊어지게 할 졸속정책이건만 우선 눈앞의 선거승리라는 달콤한 유혹 때문에 급하게 행해지고 있는 것이다. 안 받아도 될 사람까지 받게 되고, 정작 필요한 사람은 턱없이 부족하고…….
금년도에도 3. 4차 지원금을 선거전에 서둘러 지급하려고 한다. 서두르지 말고, 꼭 필요한사람을 선별해서 지급해야 할 것이다. 비록 시대는 같지 않지만, 송(宋)나라의 어리석은 농부의 알묘조장(?苗助長)과 다를 바가 없다. 지원금은 받을 때 잠깐의 기분은 좋을지 모르나 나라의 빚은 점점 늘어나고, 국민들의 살아보고자 하는 의지마저 나태하게 만드니 결국은 나라에 큰 해(害)를 끼치는 것이 아닌가…….
채근담(菜根譚)에 '性燥心祖者一事無成. 心和氣平者百福自集.(성조심조자일사무성. 심화기평자백복자집) / 성질이 조급하고 마음이 거친 자는 한 가지 일도 이룰 수 없고, 마음이 화평하고 기질이 평온한 자는 백 가지 복이 저절로 모이느니라.' 고 했다.
길이 새겨야할 명언인 것이다.
장상현/ 인문학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