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51강 물부충생(物腐蟲生)

  • 문화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51강 물부충생(物腐蟲生)

장상현/인문학 교수

  • 승인 2020-12-29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51강 물부충생(物腐蟲生) : 사물(事物)이 썩으면 벌레가 생긴다.

글 자 : 物(만물 물)腐(썩을 부)蟲(벌레 충)生(날 생, 태어나다)

출 처 : 순자(荀子)의 권학문(勸學文).소식(蘇軾 / 소동파)의 범증론(范增論)

비 유 : 남을 의심한 뒤에 그에 대한 비방이나 소문을 듣고 믿게 됨.



내부 약점이 생기면 곧 외부의 침입이 있게 됨. 불건전한 사회와 부패한 정치는 곧 범죄와 비리의 무대가 됨을 비유.

우선 순자(荀子)의 권학문(勸學文)을 보자

모든 사물의 발단에는 반드시 그 기인이 있고, 영예와 오욕이 오는 것은 반드시 사람의 덕망에 의한다. 고기가 썩으면 벌레가 생기고, 물고기가 마르면 좀이 생기며, 게을러서 자신을 돌보는 것을 잊어버리면 재앙(災殃)이 생기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과녁을 펼쳐 놓으면 화살이 날아오게 마련이고, 나무숲이 무성하면 도끼가 이르게 마련이고, 나무가 그늘을 이루면 새 떼들이 와서 쉬게 마련이고, 식초가 시어지면 바구미가 모여들게 마련이다. 그러므로 말[言語]은 화(禍)를 부를 수 있고, 행동은 치욕을 불러올 수 있으니,....(物類之起, 必有所始. 榮辱之來, 必象其德. 肉腐生蟲, 魚枯生?, 怠慢忘身, 禍災乃作.……是故質的張而弓矢至焉. 林木茂而斧斤至焉. 樹成蔭而衆鳥息焉. 醯酸而?聚焉. 故言有召禍也, 行有招辱也, 君子愼其所立乎.)」

라고 한 바, 이는 군자의 처세에 신중해야 함과 권력자들의 부정부패를 경계하는 말이다.

중국은 당시 주(周)나라가 천자국(天子國)이지만 천하통치의 역할을 못하면서 춘추전국의 혼란한 시대(BG770 ~ BC221)가 이어지고 있었다. 이 혼란을 종식시킨 진(秦)나라는 중국을 통일하고 최초로 황제라는 칭호를 사용한 진시황이 역사에 등장하게 된다. 그러나 진시황은 업적도 많지만 백성들을 고통 속으로 몰아넣어 결국은 창업 후 3대 44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이 당시 진나라가 망하기 전, 많은 고통 속에 삶을 살아온 백성들은 각처에서 우후죽순처럼 봉기하였고, 결국 강한 군의 조직을 가진 세력이 봉기의 중심이 되면서 최후에는 초(楚)나라 항우(項羽)와 한(漢)나라 유방(劉邦)이 최후로 패권(覇權)을 다투게 되었다.

이에 항우는 무용(武勇)이 대단하여 힘으로 유방을 몰아붙이면서 책사인 범증(范增)의 작전계획에 따라 거대한 세력으로 등장하게 되는 반면, 유방은 무용으로는 항우를 능가할 수 없었으나 유능한 인재들을 수하에 두고 있었다. 이른바 장량(張良), 한신(韓信), 소하(蕭何), 진평(陳平) 등의 보좌를 받으며 차근차근 그 실력을 쌓아가고 있었다.

이 때 항우의 책사인 범증은 유방의 세력이 날로 커지는 것을 보고 유방을 살해할 기회를 잡았으나 항우의 지나친 자만심으로 인하여 다 잡은 기회를 놓치게 된다.

그 후 항우는 범증의 계책에 따라 유방을 한왕(漢王)에 봉하여 오지(奧地)인 한중(漢中) 땅으로 쫓아 버렸다. 한편 한중으로 들어간 유방은 명장 한신(韓信)을 얻고 다시 힘을 길러 항우의 관중(關中)을 급습하여 세를 확보한 후, 항우와 대치했다. 하지만 항우의 군대가 유방 군대의 보급로를 차단하자 유방의 군대는 식량이 떨어지고 말았다. 유방은 항우에게 강화를 요청했다. 범증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오히려 항우에게 권해 더욱 맹렬한 기세로 유방을 공격했다.

그러자 범증이 있는 한 강화가 성립될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달은 유방은 진평(陳平)의 계책에 따라 항우와 범증 사이를 이간(離間)시키는 데 성공한다.

이 말을 근거로 소식(蘇軾 / 북송시대 문인 소동파)은 그의 저서 범증론에서 이를 두고 이렇게 노래했다.

"물건은 반드시 부패하니, 그 속에서 벌레가 생긴다(物必先腐也,而後蟲生之). 사람은 의심하기 시작하면, 반드시 그 후에 상대를 모함한다(人必先疑也,而後讒入之)."

항우의 어리석은 의심이 범증을 버렸고, 결국 형세를 망쳤다는 탄식이다. 여기서 나온 말이 바로 '물부충생(物腐蟲生)'이다. '모든 문제는 내부에서 비롯된다'는 뜻이기도 하다.

'물부충생(物腐蟲生)'이 중국에서 한때 크게 회자(膾炙)된 적이 있다. 최고 권력에 오른 시진핑(習近平) 당시 공산당 총서기가 이 단어를 쓴 뒤부터다. 그는 고위 관리들이 참가한 집단학습에서 "물건은 썩으면 반드시 벌레가 생긴다"며 "부패가 드러나면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부패척결에 대한 결연한 의지를 표현한 것이다.

이제 경자(庚子)년도 며칠 남지 않았다.

경자년은 코로나19를 포함하여 정치의 악순환으로 인하여 우리나라 국민들에게 오래도록 기억되리라 생각한다. 날로 피곤해지는 생활, 권력다툼의 틈바구니에서 지쳐있는 삶, 희망을 볼 수 없는 현실, 그리고 주인(국민)이 무시와 사기당하는 초라함, 힘에 눌려 허우적대는 무력함, 계속되는 분열과 불신의 무질서, 내로남불의 사회적 혼란, 냄새가 진동하는 부정부패 등, 이루 헤아릴 수 없는 대한민국의 부끄러운 자화상 때문이다.

오죽하면 전국 교수회에서 올해의 사자성어로 "아시타비(我是他非/나는 옳고 남은 그르다)가 1위로 선정되고 이어서 후안무치(厚顔無恥/얼굴 가죽이 두꺼워 부끄러운 줄 모른다)가 2위로 선정되었겠는가.

대학 전지십장(大學 傳之十章)에,

재물을 생산함에 큰 방법이 있으니 생산하는 자는 많고, 먹고 노는 자가 적으며, 일하는 자는 일을 빨리하고, 쓰는 자는 천천히(절약, 저축)하면, 재물은 항상 풍족하리라. (生財有大道 生之者衆 食之者寡 爲之者疾 用之者舒 則財恒足矣/생재유대도 생지자중 식지자과 위지자질 용지자서 즉재항족의) 라 하였다.

옛 선현들의 교훈을 잘 본받으면 잘못되는 법이 없는 것을……. 다가올 신축년(辛丑年)은 달라지겠지 하며 새로움을 기대해 본다.

장상현/인문학 교수

2020101301000791400027401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2.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3.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4.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5. 기후정책 질의에 1명만 답…대전 4·2 보궐선거 후보 2명은 '무심'
  1.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2. 안전성평가연구소 '국가독성과학연구소'로 새출발… 기관 정체성·비전 재정립
  3. 지명실 여사, 충남대에 3억원 장학금 기부 약속
  4. 재밌고 친근하게 대전교육 소식 알린다… 홍보지원단 '홍당무' 발대
  5. '선배 교사의 노하우 전수' 대전초등수석교사회 인턴교사 역량강화 연수

헤드라인 뉴스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12·3 비상계엄 이후 탄핵정국에서 펼쳐지는 첫 선거인 4·2 재·보궐 선거 날이 밝았다. 충청에선 충남 아산시장과 충남(당진2)·대전(유성2) 광역의원을 뽑아 '미니 지선'으로 불리는 가운데 탄핵정국 속 지역민들의 바닥민심이 어떻게 표출될지 관심을 모은다. 이번 재·보궐에는 충남 아산시장을 포함해 기초단체장 5명, 충남·대전 등 광역의원 8명, 기초의원 9명, 교육감(부산) 1명 등 23명을 선출한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놓고 여야 간 진영 대결이 극심해지면서 이번 재·보궐 선거전은 탄핵 이슈가 주를 이뤘다. 재·보궐을 앞..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과 관련, 헌법재판관들의 의견이 ‘전원일치’이면 이유의 요지를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을 낭독한다. 헌법재판소의 실무지침서인 ‘헌법재판 실무제요’ 명시된 선고 절차다. 재판관들의 의견이 엇갈리면 주문 먼저 읽은 후에 다수와 소수 의견을 설명하는 게 관례지만, 선고 순서는 전적으로 재판부의 재량에 달려있어 바뀔 수 있다. 선고 기일을 4일로 지정하면서 평결 내용의 보안을 위해 선고 전날인 3일 오후 또는 선고 당일 최종 평결, 즉 주문을 확정할 가능성이 크다. 평결은 주심인 정형식 재판관이 의견을..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제4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추진하는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이하 소호은행)이 1일 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전국 최초의 소상공인 전문은행 역할을 지향하는 소호은행은 향후 대전에 본사를 둔 채 충청권 지방은행의 역할을 일부 수행하며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소호은행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소상공인 맞춤형 금융서비스 계획을 발표했다. 컨소시엄을 이끄는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KCD) 대표는 "대한민국 사업장의 절반 이상이 소상공인, 대한민국 경제 활동 인구의 4분의 1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 3색의 봄 3색의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