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출판
2023-12-21
충남 출신 소설가 강병철 작가가 단편 소설집 『열네 살, 종로』를 출간했다. 이는 강 작가의 11번째 소설책이다. 그의 시집과 산문집을 합치면 도합 23번째 저서가 된다. 줄거리는 1969년 서해안 갯마을을 벗어나 서울로 유학을 간 소년이 중·고등학교를 다니는 사춘기의..
2023-12-11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이하 박물관)은 한국미술사 안의 도전적이고 실험적인 '전위'의 흐름을 통사적 시각에서 재조명하는 『한국전위미술사: 영원한 탈주를 꿈꾸다』를 발행했다. '전위'는 한국 사회에서 1980년대까지 '모던'과 '현대'의 동의어로 자주 사용됐다. 오늘날까지도..
2023-11-24
대전지역에서 전해져 내려오는 장승과 돌탑을 집대성한 한중교류문화연구소의 ‘대전문화유산향기 장승‧돌탑’이 발간됐다. 장승과 돌탑은 마을의 안녕과 평화를 지켜주는 수호신으로 예로부터 마을을 상징하는 돌탑을 세우거나 지정해 정성스레 섬기고 해마다 제사를 지냈다. 요즘처럼 과..
2023-11-23
11월 23일 오후4시 대한출판문화협회 4층 강당에서 열린 제29회 한국출판평론상·학술상 시상식에서 정윤희 더불어민주당 경기도당 대변인이 한국출판평론상 우수상을 수상했다. (재)한국출판문화진흥재단이 후원하고 (재)한국출판연구소가 주관하는 한국출판평론상·학술상에서 "정윤..
2023-11-21
2025년 개관 예정인 제2 대전문학관에 소설 『만다라』로 알려진 고(故) 김성동(金聖東, 1947~2022) 작가 소장도서와 유품 등이 전시된다. 대전시는 올해 7월 작가 유족 측에서 고인 유지에 따라 작가의 소장 도서와 육필 원고 등 각종 유품을 모두 제2문학관에..
2023-11-20
대전에서 왕성하게 활동 중인 허상욱 시인이 2023년 최고의 장애예술인에게 수여하는 '구상솟대문학상'을 수상했다. 한국장애예술인협회는 제33회 구상솟대문학상에 허상욱 시인(52·남·시각장애), 제6회 이원형어워드에 백지은 화가(44·여·지체장애)를 선정해 11월 17일..
2023-11-14
제30회 한성기 문학상 수상자에 대전의 박헌오 시인(시집 '국수')이 선정됐다. 한성기 문학상은 대전을 대표하는 시인인 한성기 작가(1923-1984)를 기리고자 제정한 문학상으로, 현재 한성기문학상운영위원회(한문석 회장)가 상을 수여하고 있다. 시상식은 11월 17일..
2023-11-12
도완석(71)의 희곡작품이 2020년도부터 4년간 연속으로 한국극작가협회의 '대한민국 대표희곡명작선'에 선정됐다. 대한민국 대표희곡명작선은 (사)한국극작가협회 중점사업으로 전체 희곡문학 작품 가운데 매년 우수작품을 심사 선정해 대한민국 대표희곡명작으로 선정 발표한다...
2023-11-02
김영모 충남대 불어불문학과 연구 교수가 '조선시기 충청우도 향촌사회사-보령현과 남포현을 중심으로'를 출간했다. 이 책은 조선시대 현 충남 지역이었던 '충청우도'의 향촌사회사 연구서다. 충청우도의 두 현 보령현과 남포현을 연구 대상으로 해 당시 현의 주력 성씨인 토성(土..
2023-10-18
'한성일이 만난 사람' 출판기념회가 18일 오후 2시 대전 서구 탄방동 오페라웨딩 3층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34년 차 언론인 한성일 중도일보 편집위원(국장)이 펴낸 '한성일이 만난 사람'은 매주 중도일보에서 연재 중인 인터뷰 기사를 엮은 책이다. 한 편집위원이 지난..
2023-10-18
섬세하고 서정적인 시적 감성이 돋보이는 송미순 시인의 첫 시집 '태양은 솟는다'가 출간됐다. 2017년 등단 이후 7년 만에 첫 시집으로, 1부 '행복의 계단을 오르며', 2부 '꽃을 노래하며', 3부 '여행을 하면서', 4부 '울 엄마'에 걸쳐 총 102편의 시를 담..
2023-10-17
대전 한밭도서관에서 50세 이상 신중년을 대상으로 하는 시니어 강좌 '탄탄한 노후를 위한 금융생활 설계' 과정을 개설했다. 교육은 11월 7일부터 11월 28일까지 4주 동안 매주 화요일 오후 4시부터 6시까지며, 주제는 은퇴 후의 경제생활과 노후 자산 관리를 위한 금..
2023-10-12
서정(抒情) 수필의 대가 남상선 수필가의 5번째 수필집 '하늘이 내려주신 향내나는 보석'이 나왔다. 이번 수필집은 2022년 네 번째 수필집 '감사와 사랑이 우리의 삶이 되게 하소서'에 이어 1년 만에 선보이는 것으로 "10년 안에 10권 정도 매년 한권씩 수필집을 발..
2023-10-11
사진작가이며 시조시인인 김완기 씨가 팔순을 맞아 사진·시조집 '정겨웠던 순간들'을 출판, 화제를 모으고 있다. 이번 책은 사진과 시조가 함께 하는 특색있는 구성이 돋보인다. 김 작가는 "지난 43년 교직 생활과 56년의 사진작가 생활을 뒤돌아보며 이번 작품집을 준비했다..
2023-10-09
중도일보 입사 34년째인 한성일 편집위원(국장)이 중도일보 기자로서 인터뷰했던 인물들의 이야기를 보도한 기사를 모아 엮은 '한성일이 만난 사람'을 발간했다. 한 국장은 10여년 간 만났던 500여 명 중 126명이 살아온 삶의 이야기를 중도일보 지면(피플라이프, 휴먼스..
2023-10-02
북한은 '수령'이라는 1인 권력자가 조선로동당을 통해 군과 국가기구, 근로단체 등을 통제하는 전체주의적인 독재체제다. 그렇다면 북한 최고 권력자는 어떻게 3대 세습 독재와 유일 지배체제를 구축할 수 있었을까. 독재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김정은의 통치전략은 무엇인가. 이런..
2023-09-30
대전 한밭도서관이 10월 4일부터 10월 31일까지 본관 1층 전시실에서 '위대한 유산 한글: 즐기자 한글!'전을 연다. 이번 전시에서는 오랜 기간 한글에 대한 자료를 수집한 시민 이성동 씨의 도움을 받아 '훈민정음'을 비롯해 한글 관련 도서와 한글 큐브 등 다양한 한..
2023-09-29
강원도민일보 편집기자로 일하면서 시를 쓰는 박희준 시인이 시집 '안 봐도 비디오'를 출간했다. 달아실시선 69번으로 발간된 이번 시집은 '주인공이 먼저 죽는 영화', '좋은 소식과 나쁜 소식', '시작과 동시에 커튼콜', '120분의 엔딩크레딧' 등 4개의 테이크로 구..
2023-09-29
대전 한밭도서관은 대전시청 2층 하늘도서관에 10월 어린이책 북큐레이션 코너를 마련했다. 10월 북큐레이션은 테마가 있는 책 '가을', 사서 추천 도서 '서가에서 찾은 보물들' 2가지 섹션으로 구성했다. 테마가 있는 책 '가을' 섹션에서는 가을이 좋다, 가을 열매 산책..
2023-09-12
"일정한 것 같으면서도 일정하지 않은 하늘 바람 그리고 내 고향 서천의 파도 소리" 덕산(德山) 김병익 시인이 시집 '물메기와 와불'을 출간했다. 충남 서천 어부의 아들로 태어나 유년 시절을 어촌에서 보낸 김 시인이 바다생물을 주제로 60편의 시를 엮은 책이다. 흔히..
2023-08-15
변호사인 양홍규 국민의힘 서구을 당협위원장이 실제 겪었던 사건을 모티브로 한 소설 '더 재판(The 裁判), 리 재판(Re 再版)'을 출간했다. 책에는 양홍규 위원장이 변호인으로 참여했던 2008년 음주운전 사건에 대한 7번의 재판 과정(Fact)을 픽션(Fiction..
2023-08-09
대전시와 희망의 책 대전본부는 올해 시민과 함께 읽을 책으로 강혜인, 허환주 작가의 '라이더가 출발했습니다'를 선정했다. 2008년 시작해 올해 16회를 맞은 '우리 대전 같은 책 읽기'는 미국 시애틀에서 시작한 '한 도시, 한 책 읽기' 운동에서 착안한 대전형 독서..
2023-08-07
인문학 열풍 속에 '주역'에 대한 관심이 높다. 주역을 공부하려는 이들이 늘면서 관련 서적이 쏟아지고 있다. 그러나 초학자들에게 '주역'은 쉽게 그 문을 열어주지 않는다. 너무도 다양한 해석과 견해, 주장 속에 자칫하면 공부의 길을 잃고 헤매기 쉽기 때문이다. '주역'..
2023-07-20
대전문학관이 2023년도 제3차 문학콘서트 '대전스토리와 문학대전의 미래'를 오는 26일 오후 7시 30분 기획전시실에서 연다. 이번 행사는 대전의 스토리와 문학도시 대전을 주제로 이야기해 지역 문학의 미래를 그려보기 위한 취지로 기획했다. 문화가 있는 날과 연계해 7..
2023-07-20
◆굿, 전상국 지음, 문학과지성사=소설가 전상국이 12번째 소설집 '굿'을 출간했다. 올해는 1963년 등단한 그가 작가 활동을 한 지 60년이 되는 해다. 전상국은 '우상의 눈물', '아베의 가족', '우리들의 날개' 등 수많은 작품을 발표하며 한국문학상, 현대문학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