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2020-12-08
제48강 鄒孟軻母 (추맹가모): 추(鄒)나라 맹자(孟子)어머니의 교육 글 자 : 鄒(나라이름 추)孟(맏 맹/ 성 맹)軻(수레 가/ 굴대 가)母(어머니 모) 출 전 : 유향의 열녀전 권1 모의전(劉向의 列女傳 卷一 母儀傳) 비 유 : 어머니로서의 자식의 교육 또는 훌륭한..
2020-12-01
제47강 생명감응(生命感應) : 생명을 살렸으니 하늘도 감동하여 화답하다. 글 자 : 生(날 생) 命(목숨 명) 感(느낄 감) 應(응할 응, 대답할 응) 출 처 : 한국해학대전집 이인기인편(韓國諧謔大全集 異人奇人篇) 비 유 : 남을 살리는 선(善)한 일을 하면 하늘도..
2020-11-24
제46강 河伯娶婦(하백취부) : (매년) 처녀를 취하여 장가드는 물귀신 글 자 : 河(강이름 하) 伯(맏 백) 娶(장가들 취) 婦(며느리 부 / 여자 부) 출 전 : 열국지 7부, 전국칠웅(列國志 7部 全國七雄)/史記滑稽列傳(사기골계열전) 비 유 : 사회를 어지럽히는..
2020-11-17
제45강 노마지지(老馬之智) : 늙은 말(馬)의 지혜 글 자 : 老(늙을 노)馬(말 마)之( ~의 관형격 조사)智(슬기 지, 지혜로울지) 출 전 : 한비자(韓非子) 설림상편(說林上篇) 비 유 : 경륜(經綸)에 의해 쌓인 지혜(智慧)가 세상살이에서 겪는 어려움을 극복(克..
2020-11-10
제 44강 抱腰投江(포요투강) : (적장의)허리를 안고 강물에 몸을 던지다. 글 자 : 抱(안을 포)腰(허리 요)投(던질 투)江(큰 내 강) 출 전 : 유몽인(柳夢寅)의 어우야담(於于野談) 호남삼강록 의미 및 비유 첫째 여성으로서 우국충절(憂國忠節)과 열녀(烈女)의 표..
2020-11-03
제43강 복수불반분(覆水不返盆) : 한 번 엎지른 물은 다시 동이에 담을 수 없다. 글자: 覆(엎어질 복) 水(물 수) 不(아니 불) 返(돌이킬 반) 盆(동이 분) 출전 : 사기, 제태공세가(史記, 齊太公世家)습유기, 왕가(拾遺記, 王嘉) 의미 및 비유: 일단 행한 일..
2020-10-27
제42강: 餘桃之罪(여도지죄) : (먹다)남은 복숭아의 죄 글자 : 餘(남을 여)桃(복숭아 도)之(어조사 지)馬(말 마) 출전 : 淮南子. 說難(회남자 세난) 비유 : 애증(愛憎)의 변화는 예측하기 어려움. 유사성어 : 여도담군(餘桃啖君), 애증지변(愛憎之變), 망국지..
2020-10-20
제41강 보은단동(報恩緞洞) : 은혜를 갚음으로 지어진 비단마을(緞洞)의 이름 글자 : 報(갚을 보), 恩(은혜 은), 緞(비단 단), 洞(고을/ 마을 동) 출전 : 성호사설(星湖僿設), 열하일기(熱河日記) 청구야담(靑邱野談) 등에 보인다. 비유 : 한번 입은 은혜를..
2020-10-13
제40강 절장보단(絶長補短) : 긴 것을 잘라 짧은 것에 보탠다. 글자 : 絶(끊을 절), 長(긴 장), 補(기울/옷을 깁다 보, 도울 보), 短(짧을 단) 출전 : 전국책(戰國策) 초책(楚策) 비유 : 장점(長點)이나 넉넉한 것으로 단점(短點)이나 부족한 것을 보충함..
2020-10-06
제39강 마저작침(磨杵作針) : 절구 공이를 갈아서(磨杵) 바늘을 만든다.(作針) 글자 : 磨(갈 마) 杵(공이 저) 作(지을 작) 針(바늘 침) 출전 : 南宋 方輿勝覽 眉州 磨針溪(남송 방여승람 미주 마침계) 비유 :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끈기 있게 노력하면 이룰..
2020-09-29
제38강 복중지전(?中之錢) : 솥 가운데 있는 돈 꾸러미 글자로는 ?(솥 복), 中(가운데 중), 之(어조사 지), 錢(돈 전)자로 구성되어 있다. 본 이야기는 명심보감(明心寶鑑) 염의편(廉義篇)과 청구야담(靑邱野談)에 소개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감명과 교훈을 주고 있..
2020-09-22
제37강 영천세이(潁川洗耳) : 영천(潁川)에서 귀를 씻다 글자로는 潁(강이름 영), 川(내 천), 洗(씻을 세), 耳(귀 이)로 구성되어 있다. 본 이야기는 송(宋)나라 유의경(劉義慶)이 편찬한 세설신어(世說新語)에서 볼 수 있다. 이 고사는 중국의 태평성대(太平聖代..
2020-09-15
제36강 호가호위(狐假虎威) : 여우가 호랑이의 위엄(威嚴)를 빌려 위세(威勢)를 부리다. 글자로는 狐(여우 호) 假(거짓 가, 빌릴 가) 虎(범 호) 威(위엄 위)로 구성되어있으며, 출전은 전국책 초책(戰國策 楚策)에 보인다. 본 고사는 남의 권세를 빌려 위세를 부리..
2020-09-08
제35강 당랑포선(螳螂捕蟬) : 사마귀가 매미를 잡으려한다 螳 사마귀 당, 螂 사마귀 랑, 捕 잡을 포, 蟬 매미 선 당랑포선(螳螂捕蟬)은 눈앞의 이익에만 정신이 팔려 뒤에 닥칠 위협을 깨닫지 못함을 비유하고 있으며, 한시외전 정간(韓詩外傳 正諫)에서 볼 수 있다. 전..
2020-09-01
제34강 음덕양보(陰德陽報) : 음덕(드러나지 않게 행하는 덕행)을 베풀면 드러나는 보답이 있다. 본 성어는 陰(숨을 음), 德(덕 덕), 陽(나타날 양), 報(갚을 보)로 구성되며, 출전은 회남자(淮南子) 인간훈편(人間訓篇)과 열녀전(列女傳) 인지편(仁智篇)에서 볼..
2020-08-25
제33강 사지(四知) : (아무리 은밀히 해도) 넷이 알고 있다 아무리 두 사람만의 은밀한 행동일지라도 하늘과 땅, 나와 상대편이 다 알고 있다는 뜻으로, 비밀은 언젠가는 반드시 탄로 나게 마련임을 비유하는 말이다. 이 이야기는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때의 宋(송)나라..
2020-08-18
제32강 長頸烏喙(장경오훼) : 기다란 목에 까마귀 부리 같이 뾰족한 입 글자는 長(긴 장), 頸 : 頸(목 경), 烏(까마귀 오), 喙(부리 훼)로 구성되어있다. 본 고사의 출전은 사기(史記) 월세가(越世家)에 기록되어 있다. 사람의 인상은 대단히 중요하다. 그런데..
2020-08-11
제 31강 수석침류(漱石枕流) : 돌로 양치질을 하고, 흐르는 물을 베게로 삼는다. 본 고사성어는 (실패를 인정하지 않고) 그럴 듯하게 꾸며대며 억지를 부릴 때 사용되는 용어로, 오기(傲氣)가 있고, 남에게 지기 싫어서 자기의 의견을 끝까지 고집하거나 억지 쓰기를 잘하..
2020-08-04
제 30강 구맹주산(狗猛酒酸) : 개가 사나우면 술이 시어진다 본 고사성어는 狗(개 구), 猛(사나울 맹), 酒(술 주), 酸(초 산)의 네 글자로 구성되어 있고 출처는 한비자의 외저설우상(韓非子 外儲說右上)에 있다. 이는 어느 한 나라에 간신배가 있으면 선량한 선비가..
2020-07-28
제 29강 : 가정맹어호(苛政猛於虎) :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무섭다. 글자 뜻은 苛(매울 가, 사나울 가) 政(정사 정) 猛(사나울 맹) 於(어조사어) 虎(범 호). 이 이야기는 예기(禮記) 단궁하편(檀弓下篇) 공자가어(孔子家語))에 기록되어 있다. 이 고사성어는..
2020-07-21
제28강 재물재앙(財物災殃) : 재물은 재앙을 불러온다. 글자는 財(재물 재), 物(만물 물), 災(재앙 재), 殃(재앙 앙)으로 구성되어있다. 출전은 한말 장지연(張志淵)이 지은 일사유사(逸士遺事)에 기록되어 있다. 어머니의 위대함은 역사를 통해 널리 인지(認知)하고..
2020-07-14
제27강 공자천주(孔子穿珠) : 공자가 구슬을 꿰다 글자는 孔(구멍 공), 子(스승 자), 穿(뚫을 천), 珠(구슬 주)로 구성되어 있다, 출전은 宋 祖庭事苑(송나라 조정사원)에 기록되어 있다. 이 고사성어는 흔히 '모르는 것이 있을 때 자기보다 못한 사람에게 묻는 것..
2020-07-07
제26강 계륵(鷄肋) : 닭의 갈비뼈 본 고사는 너무나 잘 알려져 있으며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용어이다. 의미로는 닭의 갈비는 먹자니 먹을 것은 없고, 버리자니 아까워서 버릴 수 없다는 의미로 인용되었으며, 비유로는 어떤 것을 취해도 이렇다 할 이득이 없지..
2020-06-30
제25강 어목혼주(魚目混珠) : 물고기 눈알이 구슬과 섞이다. 본 고사성어는 魚(물고기 어), 目(눈 목), 混(섞을 혼), 珠(구슬 주)의 네 글자로 구성 되었다, 출전은 한시외전(漢詩外傳)에 보이며, 한시외전에 "백골(白骨)은 상아(象牙)와 비슷하며, 물고기 눈알은..
2020-06-23
제 24강 교병필패(驕兵必敗) : 자기의 힘만 믿고 교만(驕慢)하여 적에게 위엄(威嚴)을 보이려는 군대는 반드시 패(敗)한다. 본 고사성어는 驕(교만할 교), 兵(병사 병, 군대 병), 必(반드시 필), 敗(패할 패)로 구성 되었고, 출전은 한서(漢書) 열전(列傳)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