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25강 어목혼주(魚目混珠)

  • 문화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25강 어목혼주(魚目混珠)

장상현 / 인문학 교수

  • 승인 2020-06-30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25강 어목혼주(魚目混珠) : 물고기 눈알이 구슬과 섞이다.

본 고사성어는 魚(물고기 어), 目(눈 목), 混(섞을 혼), 珠(구슬 주)의 네 글자로 구성 되었다, 출전은 한시외전(漢詩外傳)에 보이며, 한시외전에 "백골(白骨)은 상아(象牙)와 비슷하며, 물고기 눈알은 구슬과 흡사하다(白骨類象 魚目似珠백골유상 어목사주)"는 구절을 인용하였다.

따라서 '어목혼주(魚目混珠)'는 가짜(물고기 눈)가 진짜(진주)와 뒤섞여 있는 상태를 비유하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 「물고기 눈알이 어찌 구슬이 되겠는가. 쑥은 가차(?茶)가 될 수 없다.(魚目豈爲珠. 蓬蒿不成?.어목기위주 봉호불성가)」(가차는 고차(苦茶)의 일종으로 일반 차보다 쓴맛이 난다)고 했다.

남송(南宋)시대 마음씨 착한 만의(滿意)라는 상인(商人)이 있었다.



어느 날 만의는 커다란 진주(珍珠)를 사게 되었는데 반짝반짝 영롱한 빛을 품는 것이 한눈에 보아도 값비싼 보물이었다. 만의는 붉은색 비단주머니에 진주를 곱게 싸서 장롱 깊숙이 감추어두었다. 그 진주를 가보로 삼아 자손들에게 물려줄 생각이었다.

한편 만의의 이웃에 수량(壽量)이라는 게으른 가난뱅이가 살고 있었는데, 수량은 자신의 가난한 처지가 남에게 들킬까 늘 불안에 떠는 허영심 많은 사람이었다. 돈만 생겼다 하면 한 푼도 남기지 않고 모조리 써 버렸으며 늘 부자인양 행세를 하고 다녔다. 그러는가 하면 때때로 이웃에 사는 만의와 부(富)를 비교하기도 했다.

하루는 쌀독이 바닥나 며칠을 굶어 지냈던 수량이 배고픔을 견디다 못해 그만 길바닥에 쓰러지고 말았다. 이 광경을 본 행인이 그를 불쌍히 여겨 은자 몇 냥을 손에 쥐어주고 떠났다. 수량은 허기부터 달래려고 마을의 만두가게에 들렸다. 이때 마침 옆자리 손님들이 주고받는 대화를 엿듣게 되었다.

"장사를 마치고 돌아온 만의네 집에 글쎄 찾아드는 손님들로 발 디딜 틈이 없다고 하더라. 차(茶)도 내주며 후하게 대접한다던데 우리도 한번 가보지 않겠나?" 그의 말에 수량은 귀가 솔깃해졌다. 냉큼 자리에서 일어나더니 배고픔도 잊은 채 곧장 마을의 옷 가게로 달려갔다.

만의네 집에 가면 여러 사람들을 만날 수 있어 자신을 과시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했던 것이다. 사람들을 만나는데 번듯한 옷 한 벌은 있어야지, 그는 주머니에 든 은자를 전부 털어 옷가게에서 가장 비싼 옷을 샀다. 이처럼 수량은 겉만 따지는 사람이었다.

며칠이 지났다. 밖에서 빈둥대던 수량은 어쩌다 바닥에 굴러다니는 물고기 눈알을 하나 발견했다. 그 물고기 눈알은 햇빛을 받아 진주처럼 반짝였다. 수량은 지난번 만의네 집에서 보았던 진주를 떠 올렸다.

"나에게도 이제는 진주가 생겼구나!"

수량은 누가 보기라고 할까봐 얼른 주머니에 넣었다. 그 때부터 수량은 그 물고기눈알을 진짜 진주를 다루듯 애지중지했다.

훗날 같은 마을에 사는 주민이 병들어 곧 죽게 되었다. 의원은 진주를 갈아 약에 넣어 먹어야만 나을 수 있다고 했다. 이를 알게 된 만의가 그 사람을 가엽게 여겨 자신이 아껴온 진주를 내어주겠다고 말했다.

소문은 마을 전체에 퍼졌고 수량도 이를 전해 듣게 되었다. 이 기회에 영웅으로 칭송받고 싶었던 수량은 애지중지하던 물고기 눈알을 가지고 한달음에 달려왔다. 마을 사람들이 모인자리에서 만의와 수량은 나란히 앉았다. 만의가 먼저 보자기를 풀었다. 그러자 뽀얀 진주가 눈부신 광채를 뿜으며 귀한 자태를 드러냈다.

이에 뒤질 새라 수량도 보자기를 풀었다. 그러나 광채는 커녕 거무스름한 빛만 보일 뿐 누가보아도 썩은 물고기 눈알이었다. 이 일이 있은 후 수량은 줄곧 사람들의 비웃음과 조롱을 받아야만 했다. 진짜와 가짜는 처음에는 분간 할 수 없으나 결국 진위(眞僞)가 가려지기 마련이다. 진짜는 언제나 그 광채가 항상 빛나고 고귀하다. 그러나 가짜는 시간이 갈수록 광채를 잃어버리고 몹쓸 물건으로 변한다.

요즈음은 진짜와 가짜를 구분하기가 매우 어렵다. 특히 정치인들에게서 진짜와 가짜를 구별하기란 하늘에 별 따기 만큼이나 어렵다. 모두가 가짜 같다. 왜? 권력이나 힘으로 진짜를 가짜로 만들고 가짜를 진짜로 만들기 때문이다.

조선시대 장유(張維)의 계곡집(谿谷集)의 글귀도 보자.

겉모습만 보고서 속마음을 믿기 때문에 간사한 사람이 나라를 어지럽히고 있어도 뉘우쳐 바꾸게 할 수가 없는 것이다. 視其外而信其中 故有奸人亂國而不可悔者也(시기외이신기중 고유간인난국이불가회자야)

정의사회(正義社會)란 자기가 노력한 만큼의 대가(代價)를 받는 것이다. 그러나 노력하지 않는 자들이 요행(僥倖)이나 권세(權勢)에 힘입어 노력하는 사람보다 더 큰 대가를 받는다면 누가 힘든 일을 하려고 하겠는가? 무임승차(無賃乘車)가 오히려 당당한 대우받는 희한(稀罕)한 세상이 될 것이다.

결자해지(結者解之)라 했던가! 정책을 태동시키고 추진하고 있는 청(靑)과 여당만이 혼란을 진정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권력자에게 아부하여 사회혼란을 일으키는 간신은 단호히 이 사회에서 분리시켜 정의로움을 바로 세워야 할 것이다.

장상현 / 인문학 교수

5-장상현-박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2.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3.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4.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5. 기후정책 질의에 1명만 답…대전 4·2 보궐선거 후보 2명은 '무심'
  1.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2. 안전성평가연구소 '국가독성과학연구소'로 새출발… 기관 정체성·비전 재정립
  3. 지명실 여사, 충남대에 3억원 장학금 기부 약속
  4. 재밌고 친근하게 대전교육 소식 알린다… 홍보지원단 '홍당무' 발대
  5. '선배 교사의 노하우 전수' 대전초등수석교사회 인턴교사 역량강화 연수

헤드라인 뉴스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12·3 비상계엄 이후 탄핵정국에서 펼쳐지는 첫 선거인 4·2 재·보궐 선거 날이 밝았다. 충청에선 충남 아산시장과 충남(당진2)·대전(유성2) 광역의원을 뽑아 '미니 지선'으로 불리는 가운데 탄핵정국 속 지역민들의 바닥민심이 어떻게 표출될지 관심을 모은다. 이번 재·보궐에는 충남 아산시장을 포함해 기초단체장 5명, 충남·대전 등 광역의원 8명, 기초의원 9명, 교육감(부산) 1명 등 23명을 선출한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놓고 여야 간 진영 대결이 극심해지면서 이번 재·보궐 선거전은 탄핵 이슈가 주를 이뤘다. 재·보궐을 앞..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과 관련, 헌법재판관들의 의견이 ‘전원일치’이면 이유의 요지를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을 낭독한다. 헌법재판소의 실무지침서인 ‘헌법재판 실무제요’ 명시된 선고 절차다. 재판관들의 의견이 엇갈리면 주문 먼저 읽은 후에 다수와 소수 의견을 설명하는 게 관례지만, 선고 순서는 전적으로 재판부의 재량에 달려있어 바뀔 수 있다. 선고 기일을 4일로 지정하면서 평결 내용의 보안을 위해 선고 전날인 3일 오후 또는 선고 당일 최종 평결, 즉 주문을 확정할 가능성이 크다. 평결은 주심인 정형식 재판관이 의견을..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제4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추진하는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이하 소호은행)이 1일 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전국 최초의 소상공인 전문은행 역할을 지향하는 소호은행은 향후 대전에 본사를 둔 채 충청권 지방은행의 역할을 일부 수행하며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소호은행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소상공인 맞춤형 금융서비스 계획을 발표했다. 컨소시엄을 이끄는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KCD) 대표는 "대한민국 사업장의 절반 이상이 소상공인, 대한민국 경제 활동 인구의 4분의 1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 3색의 봄 3색의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