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금강생태마당 1지역(숲정이)과 2지역(마을정원) 설계안. 사진=금강유역환경청 제공. |
금강유역환경청은 대전시 동구 세천동에 주민 휴식공간으로 조성한 '금강생태마당'을 27일 개장한다.
금강생태마당은 금강수계 토지매수와 수변생태벨트 조성사업의 일환이다. 금강청이 세천동 일원에 매수한 토지(17필지, 3만 2000㎡)에 마을정원, 마을숲 등 녹지공간을 조성해 지역주민에게 생태체험과 휴식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마을과 인접한 '마을정원'에는 화원단지, 생태습지, 생태학습장 등을 조성해 주민과 학생들의 생태학습과 놀이공간으로 활용하고, 마을정원에서 약간 떨어진 '숲정이'에는 마을숲과 산책로 등을 조성해 지역민들이 휴식공간으로서 역할을 한다.
금강청은 경작지 등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들이 마을 인근 주원천을 통해 대청호로 직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수계기금을 활용해 세천동 일대의 농경지를 매입해 나무를 심고 녹지를 조성하는 사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해 왔다.
하지만 이번 금강생태마당 조성사업은 기존의 수목 식재를 통한 녹지조성 방식에 머무르지 않고, 생태체험과 자연휴식공간을 조성해 지역 주민들에게 제공하는 새로운 접근을 시도했다.
이번 시도로 상수원보호구역 지정 등 각종 제약을 받고 있는 규제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과 만족도 제고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금강청은 내다봤다. 또 초기 설계 단계부터 주민들의 의견을 대폭 수렴하여 부대 시설물을 설치하는 등 전 과정을 투명하게 공유해 주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냈다.
또 지역주민과 동구청 등 업무협약(MOU)을 체결해 조성과 관련된 사항은 금강청에서, 시설 유지와 관리는 동구청과 지역민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방식으로 운영하기로 했다. 향후엔 대청호와 인접한 대전시 대덕구 미호동 등 매수토지에서 이 같은 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준공행사는 27일 오후 금강생태마당 개장과 동시에 진행할 예정이며, 더불어민주당 장철민 국회의원(대전 동구), 황인호 동구청장과 지역주민 등 7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금강유역환경청 박하준 청장은 "금강생태마당이 지역 주민들의 생태학습장과 소통의 공간으로서 마중물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누구나 편안한 마음으로 오셔서 생태체험을 해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금강유역환경청은 지난 1980년 8월 대전환경측정관리사무소가 설치된 뒤 1986년 12월 대전환경지청으로 개청됐다. 이후 1994년 금강환경관리청으로, 2002년 8월 금강유역환경청으로 개청됐다.
한편 금강유역환경청은 금강유역 수질개선 종합대책 수립과 추진, 수계관리 재원 확보와 운용·관리 등을 맡는다. 또 사전환경성 검토, 환경영향평가 협의 및 자연생태계를 보호하고, 지정폐기물과 유해화학물질 관리에도 앞장선다. 또 상수원 오염행위, 오염우심지역 감시·단속, 환경질측정망 설치·운영 및 평가 등을 담당한다.
조훈희 기자 chh79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