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남양주시는 "국내외 경기 둔화와 지방세입 감소 등 재정 여건 속에서도 필수지출을 우선 반영하고 민생안정과 미래성장기반 구축에 재정역량을 집중했다"고 밝혔다.
우선 민생경제 분야에는 723억 원을 배정했다. 남양주사랑상품권 발행확대, 중. 소기업 육성 및 금융지원, 농업. 농어민 지원 등 지역소비촉진과 상권활성화를 위한 사업들이 포함됐다.
사회복지. 보건 분야에는 올해와 비슷한 1조 993억 원이 투입된다. 전국 최초 지자체형 초등돌봄센터 '상상누리터'를 비롯해 여성, 아동 복지, 영유아. 노인, 장애인 지원 등 사회적약자를 위한 복지서비스를 강화한다는 조치다.
교통인프라 개선에도 1932억 원이 편성됐다. 진접선. 별내선 운영(349억 원), 도로환경개선(373억 원), 버스 공공관리제 지원(277억 원) 등이 주요 항목으로 시민이동 편의성과 교통서비스 수준의 고도화가 중점이다.
또 도시개발 및 정비분야에 684억, 문화. 체육 분야에 833억, 안전분야 예산도 1,227억 원 규모로 편성됐다.
한편, 2026년도 본예산안은 316회 남양주시의회 2차 정례회에서 상임위원회 및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심의를 거쳐 12월 16일 최종 의결될 예정이다.
남양주=김호영 기자 galimto21@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김호영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