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14일 국회서 열린 '우주청 연구개발본부 설치와 우주 연구개발 활성화 방안' 토론회 모습. 대전시 제공 |
14일 국회서 열린 우주청 연구개발본부 설치와 우주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국회 정책 토론회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우주항공 분야 연구개발의 연속성과 산업화를 위해 우주항공청 내 연구개발본부와 우주항공산업진흥원 설치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선 무엇보다 네트워크가 중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전북대 신의섭 항공우주학과 교수는 판단의 핵심이 '어떻게 연결하느냐'에 있다며 네트워크 활용을 강조했다.
신 교수는 "연구개발본부는 연구기관, 대학, 기업, 지자체 등을 묶어서 기획, 개발, 운용, 사업화가 끊기지 않도록 우선순위 조정과 관련 행정 절차를 추진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성공의 열쇠는 역할, 책임, 성과 지표가 분명한 네트워크 제도의 설계에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출연연 등 연구기관은 핵심기술 개발과 현장 데이터 축적을 통해 연결 파이프라인을 두텁게 받치는 기둥이 된다"며 "결국 기능 중심의 역할 분담과 네트워크형 거버넌스가 정착될 때 우리나라는 우주항공 5대 강국을 지향하는 실질적 기반을 갖추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우주산업은 직접효과의 이점이 큰 분야인 만큼 대전이 최적의 입지라는 의견도 이어졌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2020 우주산업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주산업 클러스터인 대전과 경남 사천, 전남 고흥 중 우주정책 참여 연구기관이 가장 많은 지역은 단연 대전으로 총 85개 기관이 모여 있다. 기업체 64, 연구기관 13, 대학 8곳이 대전에 자리한 반면 사천은 기업체 16곳, 고흥은 전무하다.
양준석 대전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발제를 통해 "대전은 정책과 연구개발 기능의 직접을 통해 4차 산업 혁신생태계가 조성된 지역으로 기술창업의 요람으로 뉴스페이스에 대응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지역"이라며 "세계 우주산업 박람회인 국제우주총회(IAC)에 참여한 국내 주요 기업 12곳 중 7곳이 대전에 본사를 두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주청 연구개발본부가 입지할 경우 국가 차원의 연구개발 기능과 민간 혁신 역량이 유기적으로 결합돼 우주산업 혁신생태계 완성에 결정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우주산업을 이끌 R&D 전문인력의 꾸준한 투입 면에서도 대전은 적합하다는 분석이다. 대전에선 매년 1만 6000명 이상의 이공계 졸업자를 배출하고 3500명 이상의 석·박사 졸업자를 배출해 충분한 인력 공급이 가능하다. KAIST와 충남대엔 항공우주학과를 개설해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있기도 하다.
이문식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위성통신연구본부장은 대전의 우주 R&D 활성화 전략적 강점을 바탕으로 협력체계 구축 방안을 제시했다. 이 본부장은 "연구기관·기업·인재가 한 도시 내 집적돼 있다는 점은 기능 간 협업, 기술 이전·확산, 인력교류 면에서 시간·비용상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며 "정책·지자체 지원 의지도 명확하다. 위성활용 서비스가 세계 우주산업 시장에서 성장성이 높다는 인식 속에 대전이 '연구·인재 개발지구'로서 이 분야를 집중할 수 있다는 전략이 제기되기도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가 우주 R&D 효율화를 위한 기관 간 협력체계 구축 방안으로 "우주연구개발본부를 중심으로 한 통합 거버넌스 구축이 필요하다"며 "대전의 연구기관, 대학, 기업이 참여하는 '대전우주R&D협의체'를 구성해 공동연구 로드맵을 수립하고 프로젝트 단위의 역할분담 체계를 확립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밖에 윤효상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우주인재 양성을 위해 바라는 점으로 산·학·연에 충분한 발사 기회 제공과 과학 임무 지원 등 우주사업 지원, 대학원생의 우주프로젝트 집적 참여 등을 요청했다.
사공영보 솔탑 대표는 우주항공청 출범에도 불구하고 기술 개발과 실제 사업화 사이 간극이 존재하고 있다며 이를 채우기 위한 연구개발 참여 활성화와 기술고도화 방안을 제시했다.
앞서 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은 10월 16일 진행된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국정감사에서 우주항공청 연구개발본부 등 조직 신설에 대해 "필요한 조직이라고 생각한다"며 "조직 신설 여부에 대해 전적으로 공감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날 토론회는 황정아·박범계·조승래·장철민·박용갑·박정현·장종태·이주희 국회의원과 대전시가 주최·주관했으며 우주항공청이 후원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임효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