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부산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개요./부산시 제공 |
부산시는 5일 기후에너지환경부장관 주재 에너지위원회에서 전국 최초로 부산의 분산 에너지 특화 지역 지정이 최종 확정됐다고 밝혔다.
분산 에너지 특구는 에너지를 사용하는 수요지 인근에서 전력을 생산·소비하는 '에너지 지산지소' 체계를 구축하는 제도다.
특히 특구에서는 분산 에너지 사업자가 전력시장을 거치지 않고 지역 내 생산 전기를 직접 거래할 수 있어, 지역 단위의 자립적 에너지 생태계 조성에 기여한다.
시는 분산 특구의 3가지 유형 중 '신산업활성화형'으로 지정됐다.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 설치와 인공 지능(AI) 기반 에너지 관리 효율화를 핵심 내용으로 추진한다.
특구 대상 지역은 에코델타시티, 명지지구, 강서권 6개 산업단지 등 총 49.9㎢에 달한다. 이번 사업의 핵심인 ESS는 저렴한 심야 전력을 저장해 최고조(피크) 시간대에 활용함으로써 에너지 가격 경쟁력을 높이는 장치이다.
이번 분산 특구 지정으로 부산은 다각적인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총 500MWh 규모의 ESS 설치를 통해 기업들은 연간 157억 원의 전기요금을 절감하고, 무정전 전력 공급 설비 투자비 총 2500억 원 절감 효과가 예상된다.
또한 ESS가 재생에너지의 과잉·과소 공급을 조정해 재생에너지 출력제한을 해소하고, 안정적이고 저렴한 전력 공급 기반을 확보함으로써 향후 반도체, 데이터센터 등 첨단기업 유치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박형준 시장은 "전국 최초 '분산 에너지 특화 지역' 지정은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넘어 부산의 산업 경쟁력과 도시 경쟁력을 한 단계 높이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를 계기로 우리시는 에너지 자립과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친환경 에너지 글로벌 허브도시로 나아가겠다"고 덧붙였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김성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