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현장. 중도일보 DB |
11월 3일 대전 동구 구도동 남대전종합물류단지 인근 식품제조공장에서 발생한 화재는 3시간 30분 만에 진화됐으나 공장 1개 동을 모두 태우고 10억 원 상당의 재산피해를 냈다. 화재 피해를 입은 업체는 대전에 공장 5개를 가동하며 과자류를 전국으로 유통해 앞으로 성장이 기대되는 중이었으나, 이번 화재로 주요 생산기지 하나를 잃었다. 소방조사와 별개로 동구청도 고용과 생산시설 피해를 조사하고, 생산시설 복원에 세제 지원을 검토 중이다.
화재로 인한 재산피해가 대전에서만 매년 수십억 원을 웃도는 가운데 대전소방본부가 집계한 올 1월부터 10월 말까지 발생한 화재 743건에 따른 피해액은 51억2000만 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7월 14일 오후 10시 48분께 서구 가수원동 의자 제작 공장에서 발생한 화재로 공장 전체가 전소되며 6억4800만 원의 재산피해가 집계돼 올해 화재 중 피해액이 가장 컸다. 이 공장은 현재까지 생산을 멈춘 상태다. 특히, 지난 9월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는 정부 부처에서 시스템과 데이터 소실에 따른 피해액이 최소 95억 원을 웃돌 것으로 예상되나 아직 피해 복구가 완료되지 않아 올해 화재 피해액에 포함되지 않았다.
2024년 대전에서 화재로 72억2500만 원의 재산 피해를 지역사회가 끌어안았고, 2023년에는 1861억 7200만원이라는 막대한 피해가 화재로부터 발생했다. 또 2022년에도 244억 5500만원의 피해가 화재에서 시작됐다.
문제는 화재가 재산피해에 그치지 않고 생산의 중단과 연구 활동 차질 그리고 기관이 대전을 떠나 다른 곳으로 이전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는 점이다. 2024년 5월 카이스트 산업디자인학과동(N25) 4층에 위치한 메카트로닉스 시스템 및 제어연구실(60㎡)에서 화재가 발생해 소방본부가 집계한 피해액만 33억8000만 원에 이르는 시설과 연구장비가 소실됐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이번 화재를 계기로 대구센터로 기능을 이전하기로 함으로써 국가 공공데이터 핵심 기능을 다른 지역에 내주게 됐다.
채진 목원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화재에 의한 사고는 사회 인프라를 심각하게 파괴하고 시민들 생활에도 상당한 지장을 초래하며, 복원과 복구에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며 "문제가 발생했을 때 대응에 중심을 두는 것에서 사전에 예측하고 창의적으로 선제조치하는 안전관리 체계로 전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임병안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