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4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2026년 건설·자재·부동산 경기 전망 및 시장 안정·지속가능성 확보 세미나'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내년 전국 주택 가격은 0.8%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은 2.0% 오르지만, 지방은 0.5% 떨어질 것으로 예측됐다. 연구원은 수도권의 주택 가격 상승세가 전체 평균을 끌어올리면서 내년 집값은 완만한 상승 흐름을 보일 것으로 분석했다.
이는 그동안 누적된 공급 부족과 수도권 수요 집중 현상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김성환 건산연 연구위원은 "높은 공사비와 각종 규제로 인해 공급 제약 우려가 여전하다"며 "이에 수도권과 지방 핵심 입지 중심으로만 수요가 몰리며, 동일 지역 내에서도 완판 단지와 미분양 단지가 공존하는 양극화 현상이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수도권과 지방의 주택경기 양극화는 올해도 여전하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발표한 'KB주택시장리뷰' 보고서를 보면, 정부의 잇따른 부동산 대책에도 서울과 수도권은 오름세를 보이고 있고, 5대 광역시와 기타 지방은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다. 특히 지방 부동산 경기는 장기 침체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고 분석했다.
9월 기준 수도권 주택 매매가격은 0.24% 올라 7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지만, 5대 광역시는 0.19%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은 0.52%, 경기 0.11% 상승했으나, 대구(-0.32%), 부산(-0.25%), 광주(-0.18%), 대전(-0.12%) 등은 하락세를 보였다.
KB부동산전망지수 역시 수도권은 상승, 지방은 하락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부동산 양극화에 따른 우려도 꾸준하다. 지난해 부도난 건설사 27곳 중 85%가 지방 집중됐으며, 적체된 미분양 물량도 좀처럼 해소하지 못한 채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9월 전국 준공 후 미분양(악성 미분양)은 2만 7248세대였는데, 이중 수도권은 4256세대, 지방은 2만 2992세대로 전체의 84.3%에 달했다. 충청권은 대전 486세대, 충북 727세대, 충남 1393세대, 세종 47세대다.
이를 두고 지방을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다. 이재명 정부 들어 세 차례 부동산 대책에도 정작 지방은 담기지 않아서다. 수도권 쏠림 현상에서 지방은 소외돼 부동산 양극화 해소를 위한 대책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대전의 한 업계 관계자는 "주택 시장의 불균형 해소가 시급하다"며 "지역만을 위한 금융·세제·규제 설계를 담은 종합 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수요 진작을 위한 지방 중심의 건설투자 보강 방안도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조훈희 기자 chh79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조훈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