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하동나림 생태공원<제공=하동군> |
해당 부지는 2006년 폐교 이후 장기간 활용이 어려웠으나, 생태교육과 주민 여가 공간으로 다시 조성됐다.
'나림'이라는 명칭은 소설가 이병주 선생의 호에서 따왔다.
공원은 지역 역사와 자연을 연결하는 상징적 공간을 목표로 설계됐다.
지리산 자생식물과 천연 잔디를 중심으로 조성해 인공 시설을 최소화했으며, 히어리·백합나무·당단풍 등 132종 4만 8천여 주 식재로 연간 탄소 흡수 효과가 기대된다.
옛 교문과 표지석 등 학교 시설물은 유지해 졸업생과 지역민에게 기억을 이어주는 장소성도 확보했다.
공원 내부에는 데크로드, 산야초원, 이끼고사리원, 야생차 비원 등 계절별 변화가 드러나는 테마 공간이 구성됐다.
스카이워크·미니짚라인 등의 놀이 시설은 가족 단위 방문객의 체험 요소로 마련됐다.
기존 교사는 문화·체험 공간으로 활용된다.
북카페, 영상관, 공방 체험 프로그램이 운영되어 방문객은 휴식과 체험을 함께 즐길 수 있다.
또한 공원은 생태교육의 거점 기능도 수행한다.
지역 학교와 어린이집에서 탐방·해설·공방·다도 등 생태체험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하동생태해설사가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하동나림 생태공원은 북천 코스모스·양귀비 축제장과의 연계 관광 효과를 높이며 방문객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하동군은 공원을 중심으로 문화예술 행사와 환경 프로그램을 연계해 지리산권 생태관광 거점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한때 멈춰 있던 교정은 사라지지 않았고, 이제는 꽃과 발걸음이 과거와 미래를 다시 이어주고 있다.
하동=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김정식 기자

![[2025 경주 APEC] 한미정상회담서 난항 겪던 한미 관세협상 타결](https://dn.joongdo.co.kr/mnt/webdata/content/2025y/10m/29d/만찬22.jpe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