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보령시청 |
이번 신청 대상인 해상풍력 단지는 오천면 외연도·호도 북측 해상과 녹도 서남 측 해상에 조성될 예정이며, 총 발전용량은 1.3GW 규모에 달한다. 보령시가 제출한 사업계획서에는 사업 실시 능력, 전력 계통 확보 계획, 주민 수용성 및 환경성 확보 방안, 이익 공유 및 산업 생태계 강화 전략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보령시의 해상풍력 사업 추진은 202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정부의 '공공주도 대규모 해상풍력 단지개발 지원사업' 공모에 선정되면서 한국중부발전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본격적인 사업 추진에 착수했다. 특히 녹도 해상풍력 사업의 경우 단지개발 단계부터 인허가 지원, 주민 수용성 확보에 이르기까지 민관 협력 체계를 구축하여 추진해왔으며, 이번 집적화단지 조성에도 포함될 예정이다.
주목할 점은 보령시가 사업 초기부터 이해관계자들과의 소통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것이다. 지역 주민, 어업인, 전문가, 정부 위원 등으로 구성된 민관협의회를 운영하며 지속적인 대화 채널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주민설명회, 공청회, 견학 프로그램, 아카데미 등 다양한 형태의 소통 창구를 통해 현장 의견을 수렴하고 이를 단계별로 사업에 반영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집적화단지 지정이 완료되면 추가로 확보되는 REC(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는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위한 핵심 자원으로 활용될 계획이다. 보령시는 이를 통해 지역 주민과 어업인들과의 이익 공유는 물론 지역개발 사업도 함께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산업 생태계 구축 방안도 구체화되고 있다. 수산업 클러스터 육성, 지역 내 해상풍력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 운영, 유지보수 분야 일자리 창출과 연계한 해상풍력 전용 배후항만 조성 등이 주요 내용이다.
김동일 보령시장은 "이번 집적화단지 신청은 친환경 재생에너지를 통해 탈석탄 보령의 새로운 미래성장동력과 RE100산업도시의 마중물을 만들어가기 위한 중요한 발걸음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앞으로도 이해관계자와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해상풍력 개발과 어업·지역사회가 조화를 이루는 지속가능한 상생 모델을 구축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보령시는 집적화단지 지정 신청 이후 관련 부처와의 긴밀한 협의 및 대응을 통해 내년 상반기 내 지정 완료를 목표로 후속 절차를 신속히 진행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보령=김재수 기자 kjs032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김재수 기자

![[2025 경주 APEC] 한미정상회담서 난항 겪던 한미 관세협상 타결](https://dn.joongdo.co.kr/mnt/webdata/content/2025y/10m/29d/만찬22.jpe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