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고향사랑 기부제 홍보 사진 |
군은 고향사랑기부제 시행 첫해인 2023년 3억 8600여만원(1598건), 2024년 8억 1900여만원(5750건), 올해 10월 말 기준 3억 8500여만원(1886건)으로 충북 도내 11개 시군 중 매년 압도적 1위의 모금액 기록을 이어가고 있다.
전년 동기 대비(10월 말) 1억 4000여만 원의 모금액을 초과한 것과 더불어 연말에 기부 행렬이 몰리는 것을 고려했을 때 올해 역시 최상위권 기록을 낼 것으로 군은 내다보고 있다.
![]() |
| 고향사랑기부 기탁식 사진(문화축제 현장) |
군은 제도 시행 초기부터 기부가 곧 지역의 실질적 변화라는 목표를 설정하고, 단순 모금이 아닌 주민이 체감하는 변화로 연결되도록 설계했다.
그 결과, 현재까지 일반사업 20개(3억 3000만 원), 지정 기부사업 5개(2억 2000만 원) 등 25개 사업에 5억 5000만 원을 투입하며 연속성 있는 사업을 꾸려가고 있다.
특히, 지정 기부사업 중 고령화로 낙상사고 위험이 높은 어르신 가구를 대상으로 한 거동불편 노인가구 안전손잡이 설치사업은 생활 안전뿐만 아니라 심리적 안정감까지 높여 '효용성이 큰 복지형 기부사업'으로 기부자와 수혜자 모두 만족도가 높아 현재 시즌2로 모금을 이어가고 있다.
저출산 대응을 위한 '마더박스 사업'은 관내 출산가정에 육아용품 구입을 위한 20만원 상당의 지역상품권을 지급해 신생아 가정의 첫 출발을 응원하고 지역 내 소비 활성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일반기부사업으로 △학교 밖 청소년 영상제작 지원 △위기 청소년 상담지원 △문화 소외지역으로 직접 찾아가는 소소한음악회 △생거진천 케어팜 작업환경 개선 등을 추진하며, 복지·문화·청년·농업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진천형 기부 모델로 만들어 가고 있다.
◇ 차별화된 홍보전략, 진천만의 감성을 담다
군은 고향사랑기부제를 군민과 출향인이 함께 만드는 브랜드로 확산시키기 위해 다채롭고 유기적인 홍보전략을 펼쳤다.
고향사랑기부제 전용 홈페이지를 구축해 잠재 기부자들이 제도를 쉽게 이해하고 답례품 선택 등 편리성을 높여 자연스럽게 기부로 이어질 수 있는 구조를 만들었다.
하반기에는 네이버 등 주요 포털사이트에 홍보배너를 게시하며 군민, 출향인을 비롯한 전 국민을 대상으로 온라인 노출을 확대하고, SNS와 영상콘텐츠를 통해 '고향사랑기부=진천을 위한 사랑'이라는 인식을 자연스럽게 확산시켰다.
설·명절, 가정의 달, 여름 휴가철 등 계절별 테마 이벤트를 운영해 기부자들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했고, 이는 실제 모금 성과로 이어지며 타 시군과 차별화된 결과를 만들어 냈다.
◇ 지역경제를 살리는 진천만의 매력적인 답례품
군은 기부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올해 상반기, 관내 농가와 기업이 생산한 제품을 중심으로 11개의 특산품을 새롭게 추가해 총 34개 농가·기업의 44종의 답례품을 제공 중이다.
△생거진천 쌀 △참기름 세트 △진천샌드 △진천쌀로 만든 씨제이제일제당 햇반 △진천축협 한우·한돈 등 진천군의 이름을 새긴 품목들이 전국으로 배송되고 있다.
올해 들어서만 답례품 배송이 3천여 건, 9천여만원 규모의 실적을 기록하며 지역 생산자들의 실질적인 매출 증대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이는 기부가 지역 경제를 움직이는 실질적인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군은 향후에도 시즌형·테마형 답례품을 추가 개발해 기부자 만족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동시에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임정희 군 민간협력팀장은 "지역을 위한 기부가 실질적인 주민 행복도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모금, 기금 사업 운영, 만족도 모니터링까지 세심하게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며 "도내 최고 모금액 달성이, 도내 최고 거주 만족도가 되도록 앞으로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진천=엄재천 기자 jc002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엄재천 기자


![[2025 경주 APEC] 한미정상회담서 난항 겪던 한미 관세협상 타결](https://dn.joongdo.co.kr/mnt/webdata/content/2025y/10m/29d/만찬22.jpe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