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대중소기업 안전보건 상생협력사업 현장 안전교육 모습./부산항만공사 제공 |
'대중소기업 안전보건 상생협력사업'은 안전관리체계가 자리 잡힌 대기업, 공공기관이 중소기업과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해 안전보건 컨설팅과 현장 개선활동을 진행하는 협력 프로그램이다.
중소기업은 비용 부담 없이 컨설팅과 안전비품을 제공받고, 공공기관은 ESG 실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BPA는 2020년부터 사업에 참여하며 6년째 운영을 이어오고 있다. 2025년에는 안전관리 개선의지를 가진 신항 배후단지 입주 중소기업 6개 사가 참여했으며, 이 중 5개 사는 50인 미만 사업장으로 안전보건공단의 사업 취지에 가장 부합하는 사례로 평가된다.
올해 BPA는 신임 기관장 취임 이후 새롭게 수립된 노사 공동 안전보건경영방침을 전사적으로 공유했다. 상생협력사업을 통해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하는 데 집중했다.
BPA는 반년의 사업 기간 동안 총 6차례의 협의체를 운영하며 참여사들과의 긴밀한 소통과 협업을 이어갔다.
BPA는 실효성 있는 사업 운영을 위해 참여기업들의 '위험성평가 우수사업장' 인정을 연간 목표로 설정했다. 평가에 도전하는 기업에 대해서는 교육비, 개선 활동비, 포상 인센티브 등 실질적인 유인책을 제공했다.
항만 현장의 특성을 고려한 안전보건물품 지원도 주요한 성과 중 하나이다. 지게차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난간, 센서 등을 비롯해 AED, 추락감지형 스마트 안전조끼, 응급키트, 보호구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했다.
또한 혹서기 온열질환 예방 캠페인, 작업중지권 인식 제고 캠페인 등 현장 밀착형 안전문화 확산 활동도 적극 추진했다.
BPA 송상근 사장은 "일회성 지원을 넘어, 지역 중소기업이 자율적인 안전관리 역량을 키우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고자 본 사업을 추진했다"며 "앞으로도 위험성평가 고도화, 종사자 참여 확대, 자율안전문화 정착을 통해 사람 중심의 안전하고 건강한 부산항을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김성욱 기자![[251028_보도사진1] '대중소기업 안전보전교육](https://dn.joongdo.co.kr/mnt/images/file/2025y/10m/28d/2025102801001936400084501.jpg)

![[2025 경주 APEC] 한미정상회담서 난항 겪던 한미 관세협상 타결](https://dn.joongdo.co.kr/mnt/webdata/content/2025y/10m/29d/만찬22.jpe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