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입+] 의대 쏠림 꺾이고 이공계 부상하나… 과기원 수시 지원 5년 새 최고치

  • 사회/교육
  • 교육/시험

[대입+] 의대 쏠림 꺾이고 이공계 부상하나… 과기원 수시 지원 5년 새 최고치

의약학계열 지원 5년 만에 최저… 의대 초집중 완화
KAIST·UNIST 등 경쟁률 급등… 반도체·AI 열기 확산
종로학원 "정부 이공계 육성정책에 상위권 선택변화"

  • 승인 2025-10-26 16:49
  • 신문게재 2025-10-27 6면
  • 고미선 기자고미선 기자
수시 과기원
종로학원 제공
2026학년도 대입 수시모집에서 KAIST·GIST·UNIST·DGIST 등 4개 과학기술원 지원자가 최근 5년 중 가장 많았고, 의·치·한·약·수의대 등 의약학계열은 최저치를 기록했다. 반도체·AI 등 이공계 선호가 뚜렷해지면서 의대 쏠림이 다소 완화된 흐름으로 분석된다.

26일 종로학원에 따르면 한국과학기술원(KAIST), 광주과학기술원(GIST), 울산과학기술원(UN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등 과기원 4곳의 2026학년도 수시 지원자는 2만4423명으로 전년 2만1029명보다 3394명(16.1%) 증가했다. 이는 최근 5년 중 가장 많은 수치다. 2022학년도 1만3315명, 2023학년도 1만5443명, 2024학년도 1만8630명, 2025학년도 2만1029명에 이어 꾸준히 상승세를 이어왔다.

기관별로는 KAIST 491명(7.6%), UNIST 1354명(20.6%), GIST 377명(12.8%), DGIST 1172명(23.4%) 늘었다. 평균 경쟁률은 14.14대 1로 5년 중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DGIST 27.85대 1, UNIST 17.03대 1, GIST 15.49대 1, KAIST 8.47대 1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국 109개 대학의 의약학계열 수시 지원자는 11만2364명으로 전년(14만3935명)보다 2만1571명(21.9%) 감소했다. 이는 5년 중 최저치로 2022학년도 13만8267명, 2023학년도 12만7840명, 2024학년도 12만3905명에서 꾸준히 줄었다. 특히 의대 지원자는 5만1194명으로 전년보다 29.2% 감소했으며 약대(-16.7%), 한의대(-11.4%), 수의대(-20.7%) 등도 약세다.



중도탈락률도 대조적이다. 2024년 과기원 4곳의 중도탈락자는 243명으로 최근 5년 중 가장 적었다. 2020년엔 277명, 2021년 259명, 2022년 268명, 2023년 267명에서 매년 감소했다. KAIST 98명(-24.6%), UNIST 87명(+38.1%), DGIST 30명(-14.3%), GIST 28명(-28.2%)으로 집계됐다.

반면 의약학계열의 2024년 중도탈락자는 1119명에 달했다. 2020년 382명, 2021년 457명, 2022년 587명, 2023년 752명에 이어 급증했다. 의대만 따로 보면 386명으로 전년 대비 185명(92%) 증가했다. 치대 82명(+6.5%), 한의대 138명(+42.3%), 수의대 115명(+25%)에서도 증가세가 이어졌다.

또 서울대·연세대·가톨릭대·울산대·성균관대 등 주요 의대 4곳의 학업중단자도 16명으로 최근 5년 중 가장 많았다.

이공계로의 관심 이동은 대기업 계약학과와 AI 관련 학과에서도 확인됐다. 삼성전자·SK하이닉스·현대자동차·LG유플러스 등 대기업 계약학과 수시 지원자는 8892명으로 전년(8631명)보다 3% 늘었다. 수도권 주요 대학의 AI 관련 학과는 3.7%, 지방 거점국립대의 AI 관련 학과는 6.3% 증가했다.

종로학원은 올해 수시 결과가 최근의 '의대 초집중' 현상이 완화되고 이공계로 관심이 이동하는 흐름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정부의 이공계 집중 육성정책과 반도체·AI 산업 경기 흐름에 따라 수험생들이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는 해석이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올해 수시는 의약학계열 지원 감소와 이공계 확대로 수험생들의 진로 선택이 다변화되는 흐름을 보여줬다"며 "정시에서도 이러한 경향이 이어진다면 상위권 학생들의 '의대 쏠림'은 다소 완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고미선 기자 misunyd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충남교육청평생교육원, '2025년 평생학습주간 축제' 개최
  2. 백석문화대, 뉴질랜드 글로벌 현장학습 파견… 보건의료 인재 육성 가속
  3. 단국대 C-RISE사업단, 지역혁신 우수사례 경진대회 최우수상
  4. 상명대, 카자흐스탄 대학들과 웹툰학과 개설 교류협력 협약
  5. 한화이글스의 도전이 끝나는 순간! 마지막 육성응원 최강한화 1
  1. 한기대 RISE사업단, '2025 산학연협력 EXPO' 참가
  2. 조원휘 대전시의장 “공공기관 2차 지방이전 신속 추진해야”
  3. 대전사랑메세나, 취약계층과 지역주민이 함께한 '더 노은로 작은음악회' 성료
  4. 대전·세종·충청지방공인회계사회, ‘제8회 회계의 날’ 기념행사 개최
  5. 대전의 가을밤을 뜨겁게 달군 과학관 응원단장! 한화팬-대전시민여러분께 1

헤드라인 뉴스


`뜨거웠던 한 가을밤의 꿈`…한화 이글스, 한국시리즈 준우승 마무리

'뜨거웠던 한 가을밤의 꿈'…한화 이글스, 한국시리즈 준우승 마무리

프로야구 한화 이글스가 2006년 이후 19년 만에 치른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를 준우승으로 마무리했다. LG 트윈스는 한화를 1-4로 꺾으며 정규 리그 우승과 한국시리즈 우승의 영광을 함께 안았다. 한화는 31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린 2025 프로야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 5차전에서 LG를 맞아 1-4로 패배했다. 한화는 이날 경기에서 문동주-정우주-황준서-김종수-조동욱-주현상-류현진 등 가용 가능한 모든 불펜 자원을 동원해 총력을 기울였지만, 막강한 화력을 자랑하는 LG의 타선을 막아내기엔 역부족이었다. 시리..

"야구 참 어렵다"…김경문 한화 감독, 한국시리즈 5차전 총력 다짐
"야구 참 어렵다"…김경문 한화 감독, 한국시리즈 5차전 총력 다짐

"반드시 이겼어야 하는 경기를 이기지 못했다. 야구 참 어렵다." 김경문 한화 이글스 감독은 30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2025 신한 SOL뱅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KS·7전 4선승제)' LG 트윈스와의 4차전을 패배한 뒤 취재진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한화는 이날 선발 투수 와이스의 호투에 힘입어 경기 후반까지 주도권을 챙겼지만, 9회에 LG에 역전을 허용하며 4-7로 패했다. 와이스와 교체해 구원 투수로 나선 김서현의 부진에 김 감독은 "할 말이 크게 없다. 8회에는 잘 막았다"라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일류경제도시 대전'이 상장기업 육성에 속도를 내며 명실상부한 비수도권 상장 허브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대전시는 지역 기업의 상장(IPO) 준비부터 사후관리까지 전 주기 지원체계를 구축해 기업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강화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2022년 48개이던 상장기업이 2025년 66개로 늘어나며 전국 광역시 중 세 번째로 많은 상장사를 보유하고 있다. 시는 이러한 성장세가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도록 체계적인 지원과 시민 인식 제고를 병행해 '상장 100개 시대'를 앞당긴다는 목표다. 2025년 '대전기업상장지원센터 운영..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