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소리 울리고 깃발이 춤추다… 단양, 천년의 고구려로 깨어나다

  • 충청
  • 충북

북소리 울리고 깃발이 춤추다… 단양, 천년의 고구려로 깨어나다

온달과 평강의 사랑, 고구려의 기개가 되살아나는 단양의 가을 축제

  • 승인 2025-10-23 08:28
  • 이정학 기자이정학 기자
개막식에서 평원왕 역할을 하는 김문근 군수
지난해 온달문화축제 개막식에서 평원왕 역할을 하는 김문근 군수
북을 치는 손끝마다 울려 퍼지는 진동, 삼족오 깃발이 휘날리는 하늘 아래 단양이 다시 고구려의 땅으로 깨어난다.

가을의 문턱에서 제27회 단양온달문화축제가 오는 24일부터 26일까지 사흘간 온달관광지와 단양읍 시내, 공설운동장 일원에서 열린다.

문화축제에서 어린이와 인사를 나누는 김문근 군수
지난해 온달문화축제에서 어린이와 인사를 나누는 김문근 군수
올해 축제의 슬로건은 '온달, 고구려를 품다!'다.

관람객과 배우, 진행요원이 구분되지 않는 이번 축제는 누구나 무대 위의 주인공이 되는 참여형 집단 연극 퍼포먼스로 진행된다.



개막일, 온달관광지 황궁 앞에서 열리는 출정식에서는 관람객이 직접 고구려 복식을 입고 군사, 백성, 왕족으로 변신한다.

북소리가 울려 퍼지면 왕과 왕비가 등장하고, 온달평강 뮤지컬과 봉산탈춤, 쌍사자춤이 이어지며 황궁 앞 거리가 거대한 고구려 왕궁으로 변모한다.

보도 1) 지난해 온달문화축제 개막식 퍼레이드 (1)
지난해 온달문화축제 개막식 퍼레이드
단양초등학교에서 공설운동장으로 이어지는 '온달평강 승전행렬'은 도심 전체를 무대 삼아 펼쳐진다.

깃발이 휘날리고, 삼족오 문양이 새겨진 거리에는 함성과 북소리가 가득하다.

밤이 내리면 삼족오 조명등이 켜지며 단양 시내가 붉게 물든 '왕궁거리'로 변신한다.

온달관광지 입구에는 고구려 의상 2,000벌이 준비되어 있다. 복식 체험존에서는 누구나 무료로 의상을 대여해 고구려의 백성이 될 수 있다.

삼족오 동전으로 결제하는 고구려 저잣거리에서는 왕관 만들기, 풍등 제작, 대장간 체험, 전통 다도 등 24가지 체험이 마련됐다.

거리에는 아이들의 웃음소리와 북소리가 어우러지고, 시간여행의 장터와 영춘 전통먹거리 장터가 관광객의 발길을 사로잡는다.

보도 1) 지난해 온달문화축제 축하공연 (1)
지난해 온달문화축제 축하공연
공설운동장 주무대에서는 음악과 춤이 어우러진 무대가 이어진다.

첫날에는 박미경, 태진아, 오예중이 출연해 흥겨운 분위기를 이끌고, 25일에는 바다, 현진영, 장민호가 무대에 올라 축제의 열기를 더한다.

마지막 날에는 영동난계국악단의 온달장군 진혼제, 상여놀이, 연극 '숙희책방'이 장엄한 피날레를 장식한다.

단양군은 축제 기간 동안 남천 임시주차장과 공설운동장을 오가는 무료 셔틀택시를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운행한다.

또한 의료, 소방, 안전요원을 상시 배치하고, 야간 경비와 청소 인력을 확충해 방문객의 편의를 세심히 챙긴다.

군 관계자는 "올해 온달문화축제는 단순한 볼거리를 넘어, 관람객이 직접 참여하고 체험하는 새로운 형식으로 진행된다"며

"단양의 역사와 가을의 낭만이 어우러진 무대에서 진정한 몰입의 감동을 느껴보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단양=이정학 기자 hak482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구도동 식품공장서 화재…통영대전고속도로 검은연기
  2. 대전 신탄진역 유흥가 '아가씨 간판' 배후 있나? 업소마다 '천편일률'
  3. 유성복합터미널 공동운영사 막판 협상 단계…서남부터미널·금호고속 컨소시엄
  4. 11월 충청권 3000여 세대 아파트 분양 예정
  5.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어디서든 걸을 수 있는 환경 만들겠다"
  1. 728조 예산전쟁 돌입…충청 與野 대표 역할론 촉각
  2. 대전권 대학 대다수 기숙사비 납부 '현금 일시불'만 가능…학부모 부담 커
  3.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자연과 함께 일상 속 피로 내려놓길"
  4. [오늘과내일] 대전시의회, 거수기 비판을 넘어설 마지막 기회
  5.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가을 도심 산행의 매력 흠뻑

헤드라인 뉴스


등록금은 카드 납부 되는데… 기숙사비 `현금 일시불` 여전

등록금은 카드 납부 되는데… 기숙사비 '현금 일시불' 여전

대학 기숙사비 결제 방식으로 대다수 대학이 카드 결제가 불가능해 학생과 학부모들의 부담이 크다는 지적이 이어졌으나, 여전히 대전권 대학들은 현금 일시불 납부만 고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교육부가 지난 10월 31일 공시한 '2025년 대학별 기숙사비 납부제도 현황'에 따르면, 올해 전국 대학 기숙사 249곳 (직영·민자 등) 가운데 카드 납부가 가능한 기숙사는 55곳(22.1%)에 불과했다. 현금 분할 납부가 가능한 기숙사는 79곳(31.7%)으로 절반도 안 됐다. 계좌이체 등 현금으로 일시 납부를 해야 하는 기숙사는 149곳..

대전 첫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예지중고` 2026년 2월 운영 종료
대전 첫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예지중고' 2026년 2월 운영 종료

대전 첫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로 지정돼 중·고등학교 과정 6000여명을 배출한 대전예지중고가 2026년 2월 끝내 문을 닫는다. 중학교 졸업생들은 대전시립중고에서 남은 배움을 이어나갈 수 있게 된다. 3일 대전교육청에 따르면 2024년 7월 예지중고를 운영하는 재단법인 예지재단의 파산 선고에 따라 2026년 2월 마지막 졸업생 250여명을 끝으로 시설 운영을 종료한다. 예지재단 파산은 2024년 7월 결정됐지만 재학생 피해 최소화를 위해 추가 신입생을 받지 않고 재학생의 졸업을 기다린 시점이다. 1997년 학령인정 시설로 설립인가를..

[꿀잼대전 힐링캠프 2차] 캠핑의 열정과 핼러윈의 즐거움이 만나다
[꿀잼대전 힐링캠프 2차] 캠핑의 열정과 핼러윈의 즐거움이 만나다

늦가을 찬바람이 부는 11월의 첫날 쌀쌀한 날씨 속에도 캠핑을 향한 열정은 막을 수 없었다. 중부권 대표 캠핑 축제 '2025 꿀잼대전 힐링캠프'가 캠핑 가족들의 호응을 받으며 진행됐다. 올해 두 번째로 열린 꿀잼대전 힐링캠프는 대전시와 중도일보가 공동 주최·주관한 이벤트로 1~2일 양일간 대전 동구 상소오토캠핑장에서 열렸다. 이번 캠핑 역시 전국의 수많은 캠핑 가족들이 참여하면서 참가신청 1시간 만에 마감되는 등 경쟁이 치열했다. 행운을 잡은 40팀 250여 명의 가족들은 대전지역 관광명소와 전통시장을 돌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빨갛게 물들어가는 가을 빨갛게 물들어가는 가을

  • ‘여섯 개의 점으로 세상을 비추다’…내일은 점자의 날 ‘여섯 개의 점으로 세상을 비추다’…내일은 점자의 날

  • 인플루엔자 환자 급증…‘예방접종 서두르세요’ 인플루엔자 환자 급증…‘예방접종 서두르세요’

  •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