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창원시청 전경<제공=창원시> |
의원들은 홍보용역 예산, 창원시보 발행 구조, 시민 소통 효율성 등 전반에 대해 질의했다.
한 의원은 "창원시보 제작과 발행을 경남신문이 계속 맡고 있는데 경쟁입찰이 제대로 이뤄지는지 확인이 필요하다"며 "지역 내 다른 업체에도 참여 기회를 줘야 한다"고 말했다.
공보관은 "경남신문이 발행 부수와 제안서 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선정됐다"며 "다른 인쇄업체의 제작 가능성도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의원은 "윤전기가 있는 곳이 경남신문뿐이라 하더라도 단가와 효율성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보관은 "제작비용 적정성을 다시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홍보용역 외주 구조도 논의됐다.
의원은 "홍보영상, 카드뉴스 등 6억 원 규모 용역이 매년 반복된다"며 "전문 인력을 확보해 자체 제작 역량을 높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공보관은 "전문성이 필요한 분야여서 외부 업체를 활용하고 있지만 내부 인력 보강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설명했다.
다른 의원은 "점자소식지 제작 예산이 원가용역 없이 집행됐다"며 "편성 전 원가산정 절차를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공보관은 "자료 작성 오류가 있었으며 내년부터 원가용역 절차를 반영하겠다"고 답했다.
다른 의원은 "양덕동 전광판이 유지보수 중으로 표기돼 있는데 실제 가동 중인지 확인이 필요하다"고 질의했고, 공보관은 "내구연한이 도래했지만 보수를 병행하며 운영 중"이라고 밝혔다.
다른 의원은 "시민 의견조사 표본이 35명에 불과하다"며 "표본 수를 늘려야 한다"고 주문했다.
또한 "영자신문 번역에 몽골어를 추가해 외국인 근로자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고 제안했다.
공보관은 "의원 지적사항을 반영해 제도 개선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제도가 완벽해도 의지가 없으면 행정은 멈춘다.
창원=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김정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