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세종축제의 또 다른 무대로 사용되고 있는 중앙공원 관리·공간 전경. 사진=중도일보 DB. |
어진동 메리어트 호텔 인근 입지에 검토해온 '민자 미술관'에 앞서 공공형 '한글 미술관'이 우선 추진된다.
최민호 세종시장이 10일 오전 11시 조치원1927아트센터에서 열린 '한글문화 공동체(HCC·Hangeul Culture Community)' 공식 출범식에서 이 같은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최 시장에 따르면 '세종 한글 미술관(가칭)'은 세종중앙공원 관리·사무공간 등으로 쓰이고 있는 건물을 전시·체험·휴식 등이 가능하도록 내부를 새단장해 세종시만의 특별한 정원 속 미술관으로 조성하는 안이다.
![]() |
| 최민호 세종시장이 10일 조치원1927아트센터에서 한글미술관 건립 계획을 밝히고 있다. /사진=이은지 기자 |
시는 한글 미술관 건립을 통해 미술관 없는 도시의 한계를 극복하고, 안정적 전시 공간을 확보해 '국제 한글 비엔날레' 개최 도시로서의 시너지를 높인다는 방침이다.
최 시장은 '한글 문화도시' 세종시로서 갖춰야 할 조건으로 한글미술관 건립을 강조했다. 그는 "한글은 단순히 글자로서가 아니라 도형이라는 디자인, 그 도형미를 넘어가면 어마어마한 예술품이 나오리라 생각한다. 그래서 시작한 게 한글 비엔날레다"라고 설명하며 "2년에 한 번씩 개최되는 비엔날레에 출품된 세계 유수의 작품들을 지역 건물에 소장하고 전시해 한글 작품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겠다. 이번 비엔날레가 끝나는 대로 건립 사업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술관은 내년 580돌 한글날이면서 같은 날 10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을 여는 것을 목표로 공간 조성 절차가 착수될 예정이다. 또한 현재 서울시 용산구에 조성된 국립한글박물관의 분원 유치 계획도 밝혔다.
최 시장은 "2021년 행복도시 건설청장이었을 당시 문자박물관을 만들자고 건의한 적 있지만 실현시키진 못했다"며 "이후 용산에 한글박물관이 조성돼 세종시에 이전 유치를 구상 중"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2025 한글 국제 프레 비엔날레'는 9월 1일부터 42일간 조치원 1927아트센터, 산일제사 등 조치원 일원에서 열려 10월 12일 폐막을 앞두고 있다.
세종=이은지 기자 lalaej27@
![]() |
| 주간에 바라본 중앙공원 관리시설. 사진=세종시 제공.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이은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