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사진으로 보는 추억의 '풍요기원 전통놀이'

  • 비주얼
  • 포토

옛 사진으로 보는 추억의 '풍요기원 전통놀이'

  • 승인 2025-10-07 10:49
  • 수정 2025-10-07 11:18
  • 이성희 기자이성희 기자
씨름_0000-00-00_1
씨름을 구경하는 인파. 대전찰칵 제공
추석 명절에는 오랜 세월동안 이어진 다양한 전통놀이를 즐기는 문화가 있다. 전통놀이는 단순히 즐기기만을 위한 놀이가 아니라 조상에게 감사하고 풍요를 기원하며 가족과 이웃이 하나 되는 의미를 담고 있다. 그러나 빠른 도시화와 아파트 문화의 확산 등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 전통놀이가 하기 어려워지고 공동체보다 개인 중심의 문화로 변화되며 전통놀이를 즐기는 사람들의 모습을 찾기 어려워졌다. 그래도 명절에 전통놀이가 빠질 수 없는 법. 사진을 통해 어떤 전통놀이가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대전시 행정구역확대 경축-윷놀이대회_1983-02-27_2
1983년 윷놀이를 즐기는 어르신들 모습. 대전찰칵 제공
먼저 네 개의 윷을 던져 나온 결과로 말을 움직이는 윷놀이가 있다. 놀이 공간에 제약을 덜 받아 추석뿐 아니라 설날에도 가족이 모이면 할 수 있는 대표적인 전통놀이로 승패보다 가족 간의 화합과 웃음을 나누는 전통놀이다.

씨름
민속대제전에서 고장을 대표하는 선수들이 줄다리기를 하고 있다. 이성희 기자
다음으로는 마을 사람들이 편을 나누어 큰 밧줄을 당기는 단체놀이로 농경사회에서 풍년을 기원하는 의미로 행해진 줄다리기가 있다. 줄다리기는 단순한 힘겨루기 이상으로 마을 사람 전체가 하나 되는 공동체 결속의 의식이 포함돼 있기도 하다. 생활방식의 변화와 많은 인원이 필요해 요즘엔 운동회나 대회 아니면 쉽게 보기가 어려워졌다.

씨름_0000-00-00_7
야외에서 벌어진 씨름 대회. 대전찰칵 제공
고구려 고분 벽화에도 등장할 만큼 오랜 역사를 가진 전통 스포츠인 씨름은 우리 민족 고유의 격투기형 민속놀이다. 힘, 용기, 남성미를 상징하며 마을의 장사를 뽑는 축제의 한 부분이기도 했고 명절 때는 프로선수들의 경기를 TV로 중계해줄 만큼 인기 스포츠다. 여성 씨름도 인기를 끌고 있다.



널뛰기_0000-00-00_3
강변에서 널뛰기를 즐기는 여성들의 모습. 대전찰칵 제공
이외에도 긴 널판의 양쪽 끝을 번갈아 밟으며 뛰어오르는 놀이로 주로 여성들이 즐겼고 추석 달맞이와 함께 달을 높이 뛰어올라 본다는 의미로 소망을 상징하는 널뛰기, 대표적인 여성 중심의 집단 민속놀이로 수확과 풍요를 기원하며 여성이 중심이 된 공동체와 화합, 민족정서를 잘 보여주는 강강술래가 있다.

강강술래 (촬영_신현철)_2019-00-00_0
1999년 강강술래를 하는 사람들의 모습. 대전찰칵 제공
화살 모양의 막대를 항아리에 던져 넣어 더 많이 넣은 화살의 숫자로 승부를 가리는 놀이인 투호는 공간의 제약을 많이 받지 않아 명절에 자주 볼 수 있는 전통놀이다.

투호
민속대제전에서 투호를 하고 있는 사람들의 모습. 이성희 기자
과거에는 궁궐과 양반 집안에서 주로 즐기는 놀이었지만 지금은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고 할 수 있다. 단순한 놀이가 아닌 공동체 의식을 함양할 수 있는 전통놀이가 많이 사라져 아쉽지만 배우고, 함께 즐기고, 시대에 맞게 새로운 형태로 놀이문화가 변화된다면 후세에도 전통놀이는 계속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성희 기자 token7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서울공항 인근 도심 상공 전투기 곡예비행... 안전불감증 도마
  2. <속보>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 별세
  3. 차기 대전교육감 선거 진보 단일화 시작? 5명 한 자리에
  4. 포스트시즌 준비하는 대전한화생명볼파크
  5. [춘하추동] 문화유산 회복 운동에 있어 재외동포의 역할
  1. [2025 대전교육청 학력신장] 창의융합형 수업으로 미래 역량 씨앗 키우는 대전태평중
  2. 충남대병원, 중증질환 소아청소년에게 완화의료 알리기 캠페인
  3. 굿잡 일자리박람회 성료…취업열기 ‘후끈’
  4. "거점 국립대만 키우나…" 비수도권 사립대 불안감 심화
  5. [홍석환의 3분 경영] 지금 그리고 변화

헤드라인 뉴스


육사 지방이전 또 불붙나…충청 유치 선제대응 시급

육사 지방이전 또 불붙나…충청 유치 선제대응 시급

한 동안 불붙었다가 사그라들었던 육군사관학교 지방 이전 주장이 올 국정감사에서 또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여권 일각에서 국가균형발전 등 차원에서 당위성을 재차 설파한 것인데 이를 지렛대로 '국방수도' 충청권으로 이전할 수 있도록 지역 역량을 모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15일 더불어민주당 이상식 의원(용인갑)에 따르면 전날 국회에서 열린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내란청산과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서울 노원구에 있는 육군사관학교의 지방이전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육사는 61년의 박정희 쿠데타, 80년의 전두환 쿠데타 12·3..

코스피 종가 기준 최고가 경신... 3657.28에 장 마감
코스피 종가 기준 최고가 경신... 3657.28에 장 마감

미중 무역갈등 재격화 우려 속에서도 상승 출발, 3600선을 재탈환하며 장중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운 코스피가 종가 기준 최고가마저 경신했다. 15일 코스피는 전장보다 95.47포인트(2.68%) 오른 3657.28로 거래를 종료했다. 지수는 18.83포인트(0.53%) 오른 3580.64로 개장한 이후 꾸준히 고점을 높여갔고, 장 막판 한때 3659.91까지 오르는 모습을 보였다. 코스피는 전날에도 장 중 한때 3646.77까지 상승, 직전 장중 최고치(3617.86·10월 10일)를 갈아치웠으나 이후 급락해 3561.81로 장을..

`한국의 루스벨트`…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 별세
'한국의 루스벨트'…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 별세

'한국의 루스벨트'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이 15일 별세했다. 향년 67세. 고인은 1958년 대전에서 태어나 대전중, 충남고, 충남대를 졸업했다. 제34회 사법시험에 합격해 사법연수원(24기)를 수료한 뒤 변호사로 활동하다 현실 정치에 뛰어들었다. 17대 총선에서 대전 유성에 출마해 국회에 입성한 후 21대까지 내리 5선을 지냈다. 유성은 물론 대전, 나아가 충청발전을 위해 힘썼고, '법의 정의'를 지키고 소외계층과 사회적약자를 위한 지원에도 앞장섰다. 2023년 12월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한 뒤 이듬해 1월 국민의힘에 입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

  • 포스트시즌 준비하는 대전한화생명볼파크 포스트시즌 준비하는 대전한화생명볼파크

  • 굿잡 일자리박람회 성료…취업열기 ‘후끈’ 굿잡 일자리박람회 성료…취업열기 ‘후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