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예공론] 양미영 교수의 '소설 읽기와 쓰기의 즐거움'

  • 오피니언
  • 문예공론

[문예공론] 양미영 교수의 '소설 읽기와 쓰기의 즐거움'

민순혜/수필가

  • 승인 2025-10-01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나는 언젠가부터 단편 소설을 쓰고 싶었다. 몇 번 기회는 있었지만, 그때마다 다른 일들이 있어서 지나곤 했다. 독학으로라도 써 볼까 해서 컴퓨터를 켜고 자판을 두드려보지만, 헛손질만 할 뿐이다.

2015년 좋은 환경에서 배울 수 있는 기회가 있었지만, 그 당시 모친이 노환으로 노인병원에 입원해 계셔서 포기해야만 했다. 그래선지 배우고 싶은 마음으로 틈만 나면 이곳저곳을 기웃거렸다. 마침, 대전문학관에서 2025년 문학교육프로그램 일환으로 '소설의 창작과 비평' 강좌가 개설되어 즐겁게 수강하고 있다.

KakaoTalk_20250930_152807639
양미영 교수
양미영 교수의 '소설의 창작과 비평' 강좌는 창작에 전무한 나에게 한 알의 밀알처럼 한마디 한마디가 소중했다. 가끔 동냥하듯 창작 이론을 찾아다니면서 듣긴 했지만, 글을 쓰지 않다 보니 금세 잊었다. 그런데 문학관 수업에서는 강의와 토론 발표 합평을 병행하니까 그 시간이 너무도 유용하다. 과제는 작품 읽기, 창작 연습, 작품 집필이다. 오픈 채팅방에 공지 사항 안내, 수업 자료 배부(pdf 파일), 대전문학관 자료집에 작품 수록 준비 등 꼼꼼하게 챙겨 주신다.

양 교수는 충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현대문학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2016년부터 충남대학교에서 글쓰기와 문학을 강의하고 있다.



주별 학습은 12회차로 ▲1회차 오리엔테이션/소설 읽기와 쓰기의 즐거움(9/4) ▲2회차 여성과 계급의 사이:나혜석 「경희」, 강경애 「원고료 이백원」(9/11) ▲3회차 정체성과 타자 윤리: 김사량 「빛 속으로」, 김재영 「코끼리」(9/18) ▲4회차. 실존에 대하여: 장용학 「요한시집』, 손창섭 「미해결의 장」(9/25) ▲5회차 현대소설과 환상:최인호 「타인의 방」, 박민규 「그렇습니까 기린입니다」(10/2)….

소설 읽기는 교수님께서 매회 책을 선정, 우리는 읽고 요약해서 느낀 점을 메모해서 강습 당일 소그룹으로 나뉘어 토론하고, 모아진 의견을 소그룹 대표가 발표한다. 처음에는 무척 어색했지만 반복할수록 소설을 읽으면서 머리에서는 요약한다. 사실 무턱대고 쓰기만 하기보다는 좋은 소설을 읽고 해석하고 요약해서 발표하는 것이 글을 쓰는 데도 도움 되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처음에는 어색했지만, 이제는 소설을 읽고 그 상황을 유추해 보며 요약해 보는 것이 더 재미있고 기다려진다.

과제인 소설은 그 시대상을 엿볼 수 있어서 좋았다. 소설을 읽으며 우리의 역사를 상기 시킬 수 있어서다. 교수님의 상세한 해설로 그 소설의 시대적 배경, 인물, 작가의 창작론에 대해서 좀 더 심도 깊게 이해할 수 있었다.

나는 특히 3회차 정체성과 타자 윤리:김사량 「빛 속으로」 단편 소설을 좋아한다. 부모님 생전에 자주 그 당시의 어려웠던 생활을, 옛날이야기를 하시듯 자주 말씀하시곤 했었다. 어머니의 손아래 동서인 작은 어머님과는 두 분이 마주 앉기만 하면 그 당시의 힘들었던 때를 마치 며칠 전 일처럼 시간 가는 줄 모른 채 말씀하시곤 했다. 그만큼 가슴 아픈 역사가 잊히지 않아서일 것이다.

이번주 부터는 연말에 대전문학관 자료집에 작품 수록할 준비를 해야 한다. 잘 써야 할 텐데 걱정이 앞서기는 한다. 하지만 지금까지 공부한 대로 창작과 교수님의 합평을 받으면서 작품을 잘 준비해 보고 싶다.

양미영 교수님의 대표 논문으로는 <콘텐츠 창작을 통한 교양 글쓰기 교육의 가능성>, <이상의 날개와 최인호의 타인의 방에 나타난 고립과 소외 고찰>, <이민진의 파친코에 나타난 기독교와 미국 표상>, <손창섭과 사카구치 안고의 전후 소설에 나타난 실존과 본질> 등이 있다.

나는 슬며시 내가 손수 쓴 한 편의 단편 소설이 발표될 그날이 기다려진다. 잘 쓸 수 있을까.

민순혜/수필가

민순혜 수필가
민순혜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학 교직원 사칭한 납품 주문 사기 발생… 국립한밭대, 유성서에 고발
  2. [문화 톡] 대전 진잠향교의 기로연(耆老宴) 행사를 찾아서
  3. 대전특수교육수련체험관 마을주민 환영 속 5일 개관… 성북동 방성분교 활용
  4. 단풍철 맞아 장태산휴양림 한 달간 교통대책 추진
  5. 대전 중구, 교육 현장과 소통 강화로 지역 교육 발전 모색
  1. "함께 땀 흘린 하루, 농촌에 희망을 심다"
  2. 대전도시공사,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 표창’ 수상
  3. 공장·연구소·데이터센터 화재에 대전 핵심자산 '흔들'… 3년간 피해액 2178억원
  4. 대전 대덕구, 자살률 '뚜렷한 개선'
  5. 대전 서구, 간호직 공무원 역량 강화 교육으로 전문성 강화

헤드라인 뉴스


"일본 전쟁유적에서 평화 찾아야죠" 대전 취재 나선 마이니치 기자

"일본 전쟁유적에서 평화 찾아야죠" 대전 취재 나선 마이니치 기자

"일본에서도 태평양전쟁을 겪은 세대가 저물고 있습니다. 80년이 지났고, 전쟁의 참상과 평화를 교육할 수 있는 수단은 이제 전쟁유적뿐이죠. 그래서 보문산 지하호가 일본군 총사령부의 것이었는지 규명하는 게 중요합니다."일본 마이니치 신문의 후쿠오카 시즈야(48) 서울지국장은 5일 대전 중구 보문산에 있는 동굴형 수족관 대전아쿠아리움을 찾아왔다. 그가 이곳을 방문한 것은 올해만 벌써 두 번째로 일제강점기 태평양전쟁의 종결을 앞두고 용산에 있던 일본군 총사령부를 대전에 있는 공원으로 옮길 수 있도록 지하호를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그..

학생·학부모 10명 중 8명 "고교학점제 폐지 또는 축소해야"… 만족도 25% 미만
학생·학부모 10명 중 8명 "고교학점제 폐지 또는 축소해야"… 만족도 25% 미만

올해 고1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고교학점제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도 시행 첫 학기를 경험한 응답자 중 10명 중 8명 이상이 '제도를 폐지하거나 축소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학생들은 진로 탐색보다 대학입시 유불리를 기준으로 과목을 선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종로학원은 10월 21일부터 23일까지 고1 학생과 학부모 47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75.5%가 '만족하지 않는다'고 답했다고 6일 밝혔다. 반면 '만족한다'는 응답은 4.3%, '매우 만족한다'는..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 개장 한달만에 관광명소 급부상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 개장 한달만에 관광명소 급부상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이 개장 한 달여 만에 누적 방문객 22만 명을 돌파하며 지역 관광명소로 주목받고 있다. 6일 대전시에 따르면 갑천생태호수공원은 9월 말 임시 개장 이후 하루 평균 7000명, 주말에는 최대 2만 명까지 방문하는 추세다. 전체 방문객 중 약 70%가 가족·연인 단위 방문객으로, 주말 나들이, 산책과 사진 촬영, 야간경관 감상의 목적으로 공원을 찾았다. 특히 추석 연휴 기간에는 10일간 12만 명이 방문해 주차장 만차와 진입로 혼잡이 이어졌으며, 연휴 마지막 날에는 1km 이상 차량 정체가 발생할 정도로 시민들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국민의힘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 국민의힘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

  • ‘야생동물 주의해 주세요’ ‘야생동물 주의해 주세요’

  • 모습 드러낸 대전 ‘힐링쉼터 시민애뜰’ 모습 드러낸 대전 ‘힐링쉼터 시민애뜰’

  • 돌아온 산불조심기간 돌아온 산불조심기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