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부경대, 부산형 라이즈 사업 선도 'Dragon Open UIC' 발대

  • 전국
  • 부산/영남

국립부경대, 부산형 라이즈 사업 선도 'Dragon Open UIC' 발대

블루(수산해양)·그린(에너지테크) 2가지 UIC 전략 선포
용당캠퍼스 중심, 165개 기업·기관 초광역 협력 추진
산학 공동 연구·인력 양성 등 라이즈 사업 핵심 역할 수행

  • 승인 2025-09-30 12:05
  • 김성욱 기자김성욱 기자
Dragon Open UIC 발대식(2025.9.29.) (1)
부산형 라이즈 사업 선도 'Dragon Open UIC' 발대식./부경대 제공
국립부경대학교가 수산해양 분야와 에너지 분야를 중심으로 부산시 라이즈 사업의 핵심 모델인 Open UIC(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선도에 나섰다.

국립부경대 라이즈 사업단은 지난 29일 오후 부경컨벤션홀에서 'Dragon Open UIC' 발대식을 열고, '블루(Blue) UIC'와 '그린(Green) UIC' 두 가지 UIC 전략을 선포했다.

부산시의 'Open UIC'는 개방적 협력을 통해 대학이 지역 산업체 중심 수요를 기반으로, 혁신 체계를 갖춘 지역 산업클러스터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동반성장 체계다.

국립부경대의 'Dragon Open UIC'는 이 같은 부산시의 핵심 사업을 선도하기 위한 초광역 협력 전략 모델이다. 블루 UIC 전략은 전통적인 강점인 수산해양 분야에 특성화를 추진한다.



전통 수산업을 넘어 블루푸드, 아쿠아팜과 같은 스마트 기술 개발로 수산해양 유니콘기업을 육성하고, 글로벌 수산해양 혁신 허브로 도약한다는 비전이다.

그린 UIC 전략은 첨단공학 분야인 에너지테크에 특성화한다. 이차전지, 전력반도체, 모빌리티와 같은 분야의 융복합 연구와 지역 간 연계를 통해 글로벌 에너지테크 밸류체인 혁신 허브를 구축한다는 목표다.

국립부경대는 이 같은 전략 모델을 실현하기 위해 '드래곤 밸리(Dragon Valley)'로 불리는 용당캠퍼스의 지산학연 연계 인프라를 중심으로 지역 간 초광역 협력에 나선다.

현재 용당캠퍼스에 입주한 기업들을 포함해, 블루 UIC에 57곳, 그린 UIC에 108곳 등 총 165개 기업과 기관들이 'Dragon Open UIC' 추진에 동참하기로 했다.

국립부경대는 라이즈사업단을 중심으로 산업체, 지자체, 혁신기관이 모두 참여하는 'Dragon Open UIC' 운영위원회를 구성한다. 이 위원회는 기관 간 연계와 산학 공동 연구, 전문 인력 양성, 정책 협의, 연구 인프라 공유 등을 총괄한다.

배상훈 총장은 "Open UIC의 성공 여부가 부산형 라이즈의 성패를 좌우한다고 봐도 과언이 아닌 만큼, Dragon Open UIC가 초광역 협업의 기틀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학 교직원 사칭한 납품 주문 사기 발생… 국립한밭대, 유성서에 고발
  2. [문화 톡] 대전 진잠향교의 기로연(耆老宴) 행사를 찾아서
  3. 대전특수교육수련체험관 마을주민 환영 속 5일 개관… 성북동 방성분교 활용
  4. 단풍철 맞아 장태산휴양림 한 달간 교통대책 추진
  5. 대전 중구, 교육 현장과 소통 강화로 지역 교육 발전 모색
  1. "함께 땀 흘린 하루, 농촌에 희망을 심다"
  2. [내방] 구연희 세종시교육청 부교육감
  3. [한 장, 두 장 그리고 성장] 책을 읽으며 사람을 잇고 미래를 열다
  4. 대전도시공사,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 표창’ 수상
  5. 공장·연구소·데이터센터 화재에 대전 핵심자산 '흔들'… 3년간 피해액 2178억원

헤드라인 뉴스


"일본 전쟁유적에서 평화 찾아야죠" 대전 취재 나선 마이니치 기자

"일본 전쟁유적에서 평화 찾아야죠" 대전 취재 나선 마이니치 기자

"일본에서도 태평양전쟁을 겪은 세대가 저물고 있습니다. 80년이 지났고, 전쟁의 참상과 평화를 교육할 수 있는 수단은 이제 전쟁유적뿐이죠. 그래서 보문산 지하호가 일본군 총사령부의 것이었는지 규명하는 게 중요합니다."일본 마이니치 신문의 후쿠오카 시즈야(48) 서울지국장은 5일 대전 중구 보문산에 있는 동굴형 수족관 대전아쿠아리움을 찾아왔다. 그가 이곳을 방문한 것은 올해만 벌써 두 번째로 일제강점기 태평양전쟁의 종결을 앞두고 용산에 있던 일본군 총사령부를 대전에 있는 공원으로 옮길 수 있도록 지하호를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그..

학생·학부모 10명 중 8명 "고교학점제 폐지 또는 축소해야"… 만족도 25% 미만
학생·학부모 10명 중 8명 "고교학점제 폐지 또는 축소해야"… 만족도 25% 미만

올해 고1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고교학점제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도 시행 첫 학기를 경험한 응답자 중 10명 중 8명 이상이 '제도를 폐지하거나 축소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학생들은 진로 탐색보다 대학입시 유불리를 기준으로 과목을 선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종로학원은 10월 21일부터 23일까지 고1 학생과 학부모 47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75.5%가 '만족하지 않는다'고 답했다고 6일 밝혔다. 반면 '만족한다'는 응답은 4.3%, '매우 만족한다'는..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 개장 한달만에 관광명소 급부상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 개장 한달만에 관광명소 급부상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이 개장 한 달여 만에 누적 방문객 22만 명을 돌파하며 지역 관광명소로 주목받고 있다. 6일 대전시에 따르면 갑천생태호수공원은 9월 말 임시 개장 이후 하루 평균 7000명, 주말에는 최대 2만 명까지 방문하는 추세다. 전체 방문객 중 약 70%가 가족·연인 단위 방문객으로, 주말 나들이, 산책과 사진 촬영, 야간경관 감상의 목적으로 공원을 찾았다. 특히 추석 연휴 기간에는 10일간 12만 명이 방문해 주차장 만차와 진입로 혼잡이 이어졌으며, 연휴 마지막 날에는 1km 이상 차량 정체가 발생할 정도로 시민들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국민의힘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 국민의힘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

  • ‘야생동물 주의해 주세요’ ‘야생동물 주의해 주세요’

  • 모습 드러낸 대전 ‘힐링쉼터 시민애뜰’ 모습 드러낸 대전 ‘힐링쉼터 시민애뜰’

  • 돌아온 산불조심기간 돌아온 산불조심기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