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보다 국민의 생명과 재산, 경제활동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더욱이 추석 연휴까지 앞두고 있다. 대형 폐기물 배출 신청 및 우체국 금융·택배 신규 서비스 장애에 따른 이용 제한도 불안 요인이다. 학생 성적 관리와 교무 행정에 사용되는 나이스 시스템 접속에도 차질을 빚어서는 안 된다. 수기 접수, 대면 처리 등 대체 절차나 처리기한 연장 등을 잘 안내해 주민 불편과 불확실성을 최소화해야 한다. 등급이 무엇이건 정보시스템 하나하나가 중요하지 않은 것이 없다.
완전한 복구에는 난항이 예상된다. 정부 24개를 포함한 정부 서비스 모두 정상 가동 시점을 앞당겨야 한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무정전·전원 장치(UPS)용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에 한꺼번에 무너진 국가 행정망의 안전성에 대해 근본부터 되돌아봐야 할 것이다. 예산 부족을 이유로 전산시스템 분산 또는 이원화 작업을 완료하지 못한 실책을 반성하고 이제라도 유사시 즉시 전환과 가동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이번 화재가 더 안타까운 점은 2023년에도 정부 전산망 마비라는 취약성을 겪었기 때문이다. 중앙부처, 지자체 등이 사용하는 전체 국가 정보 시스템의 3분의 1 이상이 집중된 핵심 센터의 화재로 공공 인프라 관리의 총체적 문제점이 또 드러났다. 단일 시설에 핵심 전산망이 집중된 구조적 위험을 분산하는 것은 중대 과제다. 최종 복구가 늦어질수록 혼란이 극대화된다는 점을 명심하면서 근본적인 개선 방안과 미래 대비 전략을 가다듬기 바란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