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조세제 충남도 소상공인협회장 |
농수산물 유통, 관광 활성화, 교통망 확충, 인구 감소 등과 밀접하게 맞닿아 있다. 전통시장은 지역 농업 생산과 직결되고, 관광객의 발길은 곧 상권의 매출로 이어진다. 따라서 소상공인 정책은 중기부의 틀 안에서만 논의될 수 없다. 농림부, 국토부, 행안부 등과 협력해 일관성 있는 종합 정책을 만들어내야 한다. 차관은 정책 조율자이자 부처 간 허브로서 역할을 충실히 해야 한다.
온라인 시장 진입 문제도 시급하다. 충남의 다수 상인들은 여전히 오프라인 상권에 머물러 있으며, 온라인 시장 진입 시 과도한 수수료와 광고비에 큰 부담을 느낀다. 이는 영세 점포일수록 더 큰 장벽으로 작용한다. 정부는 교육 프로그램에 그치지 말고 실질적 지원 방안을 내놔야 한다.
농촌 상인과 소규모 점포가 안정적으로 온라인 시장에 참여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충남에서 성공 사례를 만들어낸다면 이는 곧 전국으로 확산 될 수 있다. 소상공인은 단순한 자영업자가 아니다. 그들은 충남 지역경제의 뿌리이자 공동체의 버팀목이다. 전통시장은 단순한 거래 공간을 넘어 생활문화와 정서를 이어온 장이고, 골목상권은 지역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얼굴이다. 이 기반이 무너질 경우 지역사회는 경제적 손실을 넘어 공동체 자체의 해체 위기를 맞게 된다. 소상공인 보호는 곧 지역 공동체 보존이라는 점에서 국가적 책무라 할 수 있다. 물론 차관 한 자리 신설이 모든 문제를 해결해주지는 않는다. 그러나 이를 통해 현장의 목소리가 제도권으로 전달될 수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의미 있는 출발이다.
새 차관이 충남 현장을 발로 누비며 소상공인의 목소리를 정책으로 반영한다면 이번 조치는 상징적 변화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 성과를 낳을 수 있다.
지금 충남의 소상공인은 위기와 기회의 갈림길에 서 있다. 정부가 내놓은 제도가 현장과 맞닿은 정책으로 구체화 될 때, 이들은 위기를 넘어 새로운 도약을 이룰 수 있다. 소상공인 전담 차관이 지역과 중앙을 잇는 실질적 허브로 자리매김하기를 기대한다. 그것이 충남 소상공인의 희망이며, 나아가 대한민국 지역경제가 다시 일어설 수 있는 출발점이 될 것이다.
조세제 충남도 소상공인협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신언기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