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 장관이 산적한 교육 현안 중 교권 보호 필요성을 우선적으로 언급한 것은 그만큼 심각성이 크다는 의미다. 교육부 자료에 따르면 정년이 보장돼 있음에도 교단을 떠나는 교사는 연간 1만명에 육박하고 있다. 특히 5년 차 이내 저연차 교원의 중도 퇴직은 2024년 450명으로 2020년 대비 33.6%나 급증했다. 정년이 보장돼 있음에도 저연차 교사들이 이탈하는 원인은 교총의 설문조사에서 '교권침해'가 40.9%에 달할 정도로 높았다.
저연차 교원의 이탈은 교직의 미래 세대가 사라진다는 뜻으로, 최 장관이 교권 보호를 최우선 과제로 꼽은 배경으로 보인다. 최 장관이 풀어야 할 굵직한 교육 현안은 산적해 있다. 올해 전면 시행한 고교학점제는 일선 학교에서 혼란을 빚으며 교원단체가 폐지를 요구하고 있다.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의 활용 방안과 대통령 공약인 '서울대 10개 만들기' 재원 마련 등도 과제가 된다.
최 장관은 청문회 과정에서 불거진 정치 편향성 등 논란을 의식한 듯 "우려가 기대로 바뀔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최 장관 본인이 밝혔듯이 40년 넘게 학교 안팎에서 쌓아온 교육자로서의 경험은 그의 최대 장점이다. 충청 출신 교육 수장이 취임하면서 최종 발표를 앞둔 '글로컬대학30' 결과 등에 지역사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교육 현장의 문제점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최 장관이 산적한 현안을 지혜롭게 해결하고, 국가 교육 미래를 밝히는 초석을 다졌으면 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