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백로, 흰 이슬의 위로

  • 전국
  • 부산/영남

[기자수첩]백로, 흰 이슬의 위로

  • 승인 2025-09-07 10:30
  • 김정식 기자김정식 기자
김정식 기자
김정식 기자<사진=김정식 기자>
새벽 논두렁에 맺힌 흰 이슬은 작은 요정의 숨결처럼 반짝인다.

여름 내내 쏟아진 폭풍우와 수해를 견뎌낸 땅 위에서, 그것은 농부의 마음을 쓰다듬는 가장 부드러운 손길이다.

올해 경남 곳곳의 7월은 극한 호우로 집과 논밭이 허물어지고 사람들 마음까지 깊게 패였다.

무너진 둑과 쓸려간 토사 위에 다시 햇살이 들자, 곡식은 쓰러진 채로도 알을 맺고, 나무는 꺾여도 끝내 새싹을 틔웠다.



자연의 광폭함은 두렵지만, 그 안에서 살아남은 흔적은 다시금 사람을 일으켜 세운다.

역사 속에서도 흰 이슬은 늘 회복의 신호였다.

삼한의 제사장들은 백로 무렵에 곡식이 익는 것을 보고 신의 뜻을 읽었고, 조선의 농서 《농가월령가》에는 백로를 수확의 때로 기록했다.

폭풍과 흉작의 공포가 있어도, 결국 이슬은 다시 내려 풍요의 계절을 열었다.

철학적으로 보자면 백로의 요정은 단순한 자연 현상이 아니다.

그것은 존재계가 여전히 잘 돌아가고 있음을 알려주는 징표, 곧 '우리가 다시 시작할 수 있다'는 조용한 선언이다.

씨를 뿌리고, 비바람과 해충의 시련을 견디며, 마침내 알곡을 맺게 하는 보이지 않는 손길은 인간이 만든 제도나 장치보다 더 크고 깊은 위로를 건넨다.

어떤 농부들은 말한다.

무너진 논두렁에 맺힌 이슬방울을 보고, '아직 이 땅이 우리를 버리지 않았다'는 확신을 얻는다고.

그것은 위로이자 다짐이며, 동시에 다시 쟁기를 잡게 하는 신비한 힘이다.

백로의 흰 이슬은 결국 작은 요정의 눈물과 같다.

울부짖는 농부의 곁에서 함께 흐르고, 기쁨의 순간에는 반짝이며 웃는다.

그 존재는 극한의 재난마저 부드럽게 녹여내며, 다시 시작할 힘을 남긴다.

새벽 논두렁에서 반짝이는 이슬을 바라보면 깨닫게 된다.

무너진 마을과 꺾인 삶에도 여전히 작은 결실은 남아 있고, 그 결실은 희망이라는 이름으로 농부의 가슴에 뿌리내린다는 사실을.

백로의 요정은 그렇게 말한다.

"당신이 견뎌냈으니, 이제 익어가라"고.
경남=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지역 9개 대학 한자리에… 대전 유학생한마음대회 개최
  2. "준비 안된 채 신입생만 받아"… 충남대 반도체 공동 연구소 건립 지연에 학생들 불편
  3. [편집국에서]배제의 공간과 텅빈 객석으로 포위된 세월호
  4. '복지부 이관' 국립대병원 일제히 반발…"역할부터 예산·인력충원 無계획"
  5. "광역교통망 수도권 빨대 효과 경계…지역주도 시급"
  1. ‘수험생 여러분의 꿈을 응원합니다’
  2. 태권도 무덕관 창립 80주년 기념식
  3. [건강]대전충남 암 사망자 3위 '대장암' 침묵의 발병 예방하려면…
  4. '수도권 대신 지방의료를 수술 대상으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우려'
  5. 설동호 대전교육감 "수험생 모두 최선의 환경에서 실력 발휘하도록"

헤드라인 뉴스


조선선박 600년만에 뭍으로… ‘태안 마도4호선’ 인양 완료

조선선박 600년만에 뭍으로… ‘태안 마도4호선’ 인양 완료

충남 태안 앞바다에서 현존 유일의 조선시대 선박이 '마도4호선'이 600여 년 만에 수면 위로 올라왔다. 국가유산청 국립해양유산연구소(이하 연구소)는 지난 4월부터 태안 마도 해역에 마도4호선의 선체 인양 작업을 진행해 지난달 완료했다고 10일 밝혔다. 마도4호선은 10년 전인 2015년 처음 발견됐으나 보존 처리를 위해 다시 바닷속에 매몰했다가 10년 만에 인양됐다. 연구소에 따르면, 이 선박은 15세기 초에 제작된 조운선(세곡 운반선)으로, 전라도 나주에서 세곡과 공물을 싣고 한양 광흥창으로 향하던 중 침몰한 것으로 추정된다...

"불꽃축제, 대전 하늘에 수놓는다"...30일 밤 빛의 향연
"불꽃축제, 대전 하늘에 수놓는다"...30일 밤 빛의 향연

이장우 대전시장은 10일 주재한 주간업무회의에서 한화 불꽃축제 개최의 안전대책과 고향사랑기부제 답례품 확대, 예산 효율화 등을 지시했다. 이 시장은 대전시 한화 불꽃축제 개최와 관련해 "축제 방문자 예측을 보다 넉넉히 잡아 대비해야 한다"며 "예측보다 더 많은 방문객이 몰리면 안전과 교통에 있어 대책을 담보할 수 없다"고 밝혔다. 한화구단은 30일 한화이글스 창단 40주년과 한국시리즈 준우승을 기념해 대전 엑스포과학공원 및 엑스포다리 일원에서 불꽃축제를 개최한다. 불꽃놀이와 드론쇼 등 대규모 불꽃 향연이 펼쳐질 예정이다. 이 시장은..

[대전 유학생한마음 대회] "코리안 드림을 향해…웅크린 몸과 마음이 활짝"
[대전 유학생한마음 대회] "코리안 드림을 향해…웅크린 몸과 마음이 활짝"

8일 대전시사회서비스원이 주최한 2025년 제9회 대전 유학생 한마음 대회를 방문했다. 대전 서구 KT인재개발원 실내체육관에 도착했을 때 우리가 마주한 건 엄청난 활기였다. 제기차기, 딱지치기, 투호 등의 한국 전통 놀이를 850명 가까운 유학생들이 모여 열중하고 있었다. 곳곳에서 터져 나오는 환호와 아쉬움의 탄성, 그리고 땀과 흥분으로 데워진 공기에 늦가을의 추위가 전혀 느껴지지 않았다. 후끈 달아오른 공기는 식을 틈이 없었다. 이어진 단체 경기, 그중에서도 장애물 이어달리기는 말 그대로 국제 올림픽의 현장이었다. 호루라기가 울리..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답지 전국 배부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답지 전국 배부

  • ‘보행자 우선! 함께하는 교통문화 만들어요’ ‘보행자 우선! 함께하는 교통문화 만들어요’

  • ‘수험생 여러분의 꿈을 응원합니다’ ‘수험생 여러분의 꿈을 응원합니다’

  • ‘황톳길 밟으며 가을을 걷다’…2025 계족산 황톳길 걷기대회 성료 ‘황톳길 밟으며 가을을 걷다’…2025 계족산 황톳길 걷기대회 성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