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과 전문의 절반 수도권에 집중… 환자 당 전문의 편차 2배

  • 사회/교육
  • 건강/의료

소아과 전문의 절반 수도권에 집중… 환자 당 전문의 편차 2배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절반 수도권 집중… 충청권은 616명뿐
소아 1000명당 전문의 수도 서울 1.15명-충남 0.56명 2배차

  • 승인 2025-09-03 18:00
  • 신문게재 2025-09-04 1면
  • 임병안 기자임병안 기자
PYH2023052409030001300_P4
/연합뉴스 제공
국내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절반가량이 서울과 경기에 쏠려있는 사이 충청권은 대전 217명, 세종 78명, 충남 175명, 충북 146명으로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소아청소년 인구 1000명당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수 격차는 서울 1.15명일 때 충남 0.56명으로 최대 격차(0.59명)를 보였다.

3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소아·청소년 의료체계 개선방안연구'에 따르면 2024년 6월 말 기준 전국의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수는 6490명으로, 지역별로는 서울(1510명)과 경기(1691명), 인천(350명) 등 수도권이 전체의 56%를 차지했다. 그리고 수도권 비중은 2021년 12월 말 기준 54%에서 2%p 상승했다.



반면 세종에서 진료하는 소아청소년과 전문의는 78명뿐으로 100명에 미치지 못했다. 충남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175명과 충북 146명으로 대전(217명)을 포함한 충청권 616명으로 경상권 1117명(부산 372명, 대구 259명, 울산 88명, 경북 226명, 경남 172명)보다 적었다.

전국의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53%(3423명)는 1차 의료기관인 의원에 소속돼있었고, 상대적으로 상급종합병원에 분포하는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의 비율 증가 폭이 더 크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종합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이 수도권에 집중되는 수도권 쏠림 현상의 결과로 해석된다.



18세 이하 소아·청소년 인구 1000명당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수는 2020년 0.70명에서 2023년 평균 0.84명이었다. 같은 기간 인구 1000명당 전문의 수가 2.2명인 것을 고려하면 소아청소년 인구 대비 소아청소년과 전문인력 공급은 저조한 것이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1.15명으로 가장 많았고 부산(1.01명), 대구(1.01명), 광주(0.97명) 등 대도시가 평균보다 높았고, 가장 적은 곳은 경북(0.52명)이었고 이어 충남(0.56명), 전남(0.59명), 충북(0.62명) 그리고 세종(0.69명)의 순이었다.

소아청소년 인구 1000명당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수에서 시·도 간 최대 격차는 서울(1.15명)과 충남(0.56명)이었다.

특히, 최근 5년간 소아청소년 입원 환자 감소율 조사에서 충남 서천군(-65.3%), 충북 제천시(-56.4%), 충남 부여군(-51.5%), 당진시(-46.9%)로 전국에서도 높게 나타났다.

연구팀은 "(지역 소아청소년 수와 전문의 격차)소아청소년 전문인력의 대도시 집중 현상과 지역 간 소아진료 접근성의 불균형을 시사하는 것"이라며 "의료자원의 지역 간 불균형을 개선하고, 전문의 확보를 위해 소아 의료지불보상제도 개선, 안정적인 소아의료 서비스 지원을 위한 법령 정비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준비 안된 채 신입생만 받아"… 충남대 반도체 공동 연구소 건립 지연에 학생들 불편
  2. '복지부 이관' 국립대병원 일제히 반발…"역할부터 예산·인력충원 無계획"
  3. '수도권 대신 지방의료를 수술 대상으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우려'
  4. 태권도 무덕관 창립 80주년 기념식
  5. 설동호 대전교육감 "수험생 모두 최선의 환경에서 실력 발휘하도록"
  1. 대전시의회 교육위 행정사무감사…학폭 예방 교육 실효성·대학 사업 점검
  2. 2025 '도전! 세종 교육행정' 골든벨 퀴즈 대회 성료
  3. 세종교육청 '수능' 앞둔 수험생 유의사항 전달
  4. [대전유학생한마음대회] 유득원 행정부시장 "세계로 잇는 든든한 주인공 뒷받침 최선"
  5. [대전유학생한마음대회] 박태구 중도일보 편집국장 “문화·언어 달라도 마음이 통하면 우리는 하나”

헤드라인 뉴스


주가 고공행진에 충청권 상장기업 시총 174조원 돌파

주가 고공행진에 충청권 상장기업 시총 174조원 돌파

대외 불확실성이 완화되면서 코스피 지수가 사상 처음으로 4000선을 돌파하자 충청권 상장사들의 주가도 고공행진하고 있다. 특히 외국인 투자자의 대규모 매수세가 이어지면서 한 달 새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이 전월 대비 19조 4777억 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거래소 대전혁신성장센터가 11일 발표한 '대전·충청지역 상장사 증시 동향'에 따르면 10월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은 174조 5113억 원으로 전월(155조 336억 원) 보다 12.6% 늘었다. 10월 한 달 동안 충북 지역의 시총은 27.4% 상승률을 보였고,..

조선시대 해안 방어의 핵심 거점…`서천읍성` 국가유산 사적 지정
조선시대 해안 방어의 핵심 거점…'서천읍성' 국가유산 사적 지정

국가유산청은 충남 서천군에 위치한 '서천읍성(舒川邑城)'을 국가지정문화유산 사적으로 지정했다고 11일 밝혔다. 서천읍성은 조선 세종(1438~1450년) 무렵에 금강 하구를 통해 충청 내륙으로 침입하던 왜구를 막기 위해 쌓은 성으로, 둘레 1645m 규모에 이른다. 조선 초기 국가가 해안 요충지에 세운 방어용 읍성인 연해읍성 가운데 하나다. 산지 지형을 활용해 쌓은 점이 특징이며, 일제강점기 '조선읍성 훼철령(1910년)' 속에서도 성벽 대부분이 원형을 유지해 보존 상태가 우수하다. 현재 전체 둘레의 약 93.3%(1535.5m)가..

세종 청소년 인구 1위 무색… "예산도 인력도 부족해"
세종 청소년 인구 1위 무색… "예산도 인력도 부족해"

'청소년 인구 최다' 지표를 자랑하는 세종시가 정작 청소년 예산 지원은 물론 전담 인력조차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에 이어 청소년 예산까지 감축된 흐름 속에 인력·자원의 재배치와 공공시설 확충을 통해 지역 미래 세대를 위한 전사적 지원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11일 세종시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아동청소년 인구(0~24세)는 11만 4000명(29.2%)이며, 이 중 청소년 인구(9~24세)는 7만 8000명으로, 전체 인구의 20%에 달하고 있다. 이는 전국 평균 15.1%를 크게 웃도는 규모로, 청소년 인구 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혼잡 없이 수능 시험장 찾아가세요’ ‘혼잡 없이 수능 시험장 찾아가세요’

  • 국제 육군 M&S 학술 컨퍼런스 및 전시회 국제 육군 M&S 학술 컨퍼런스 및 전시회

  • 2025년산 공공비축미곡 매입 시작 2025년산 공공비축미곡 매입 시작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답지 전국 배부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답지 전국 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