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에서] AI

  • 오피니언
  • 편집국에서

[편집국에서] AI

정바름 사회과학부 기자

  • 승인 2025-09-02 18:01
  • 수정 2025-09-02 18:06
  • 신문게재 2025-09-03 18면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clip20250902151730
정바름 기자
"AI가 좋은 점은 내가 계속 물어봐도 화를 내지 않는다는 거야."

환갑을 앞둔 아버지는 묻는 말마다 툴툴거리는 딸한테 내심 서운하셨나보다. 앱으로 택시조차 부르지 못할 정도의 '디지털 문맹'이었던 아버지는 퇴직하고 나서 첨단 IT 시대(?)에 살고 있음을 몸소 체감하셨다. 도와주던 후배들도 옆에 없으니 요즘 컴퓨터를 붙들고 한참을 씨름 하신다. 종이와 펜이 익숙한 세대는 PC과 모바일을 다루는 것도 참 버겁다. 이제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할 줄 알아야 한다니 기가 막힐 노릇이다. 그나마 잘 아는 딸에게 컴퓨터, 스마트폰 조작법을 물어보면 "이것도 할 줄 모르냐"며 화만 낸다. 거듭 물어보기 눈치 보이는 걸 AI는 끊임없이 질문해도 '친절하고 자세하게' 답해주니 좋다는 것이다. 외동딸 하나 있는 아버지에게 자녀를 대체할 수 있는 존재는 반려견뿐이었는데, 또 하나가 생겼다.



친구는 고민거리가 있을 때마다 ChatGPT한테 상담을 받는다고 했다. 위로와 공감에 해결방안까지 적절하게 제시해줘서 좋단다. 주변에 털어놓으면 괜한 참견에, 훈계를 들을만한 고민도 ChatGPT는 '이런 걸 고민하는 것 자체가 네가 좋은 사람이라는 뜻'이라며 격려와 칭찬을 아끼지 않는다. 정신과 상담을 받기에 비용이나 시선이 부담스러운 이들도 상담과 조언을 구할 때 ChatGPT를 이용한다고 했다. 사회에서 사람에게 받은 상처를 AI가 보듬어준다는 것이 참 아이러니하다.

AI는 자아가 없다. 희로애락을 느끼지 못하니 남의 일에 공감하지도 못한다. 그저 입력된 값대로 인간처럼 감정을 느낀다는 듯 꾸며서 답할 뿐이다. 이용자들도 너무나 잘 알고 있다. 근데, 왜 AI에게 상담을 받고, 주변인들에게 꺼내지도 못할 속사정을 이야기하는 걸까. 단순히 정보를 얻기 위해서도 있겠지만, 싸늘한 사회에서 들을 수 없는 '따뜻한 말 한마디'를 듣고 싶어서가 아닐까.



AI 시대가 가장 무서운 점은 인간이 인간을 찾지 않게 된다는 점에서다. 속앓이하다가 따가운 시선을 감당하지 못하고, 주변과 대화를 단절한 채 살아가는 사람도 적지 않다. 상처를 감수하면서까지 타인과 상호작용하기 싫은 거다. AI는 나에게 화를 내지도 않고, 입맛에 맞는 말만 해주니 너무 고마운 존재다. 그렇다고 타인과 소통하지 않고 회피하는 것만이 최선일까. '미움받기 싫으면 기자 일하면 안 돼' 입사 초, 누군가에게 불편한 존재가 되어버린 신입 기자에게 선배는 이렇게 당부했다. 그리고 여러 사람을 상대하며 내린 결론은 사회생활 하면서 어느 정도의 상처를 견딜 수 있을 정도의 내성을 기르는 것도 필요하단 것이다. 그러면서도 타인에게 냉정한 태도보단 따뜻함을 베풀 수 있는 사람이 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그런데 이렇게 생각하면서도 가족한테는 따스한 말하는 게 어렵다. 왜일까.

/정바름 사회과학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준비 안된 채 신입생만 받아"… 충남대 반도체 공동 연구소 건립 지연에 학생들 불편
  2. '복지부 이관' 국립대병원 일제히 반발…"역할부터 예산·인력충원 無계획"
  3. '수도권 대신 지방의료를 수술 대상으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우려'
  4. 설동호 대전교육감 "수험생 모두 최선의 환경에서 실력 발휘하도록"
  5. 대전시의회 교육위 행정사무감사…학폭 예방 교육 실효성·대학 사업 점검
  1. 2025 '도전! 세종 교육행정' 골든벨 퀴즈 대회 성료
  2. 세종교육청 '수능' 앞둔 수험생 유의사항 전달
  3. [대전유학생한마음대회] 유득원 행정부시장 "세계로 잇는 든든한 주인공 뒷받침 최선"
  4. [대전유학생한마음대회] 박태구 중도일보 편집국장 “문화·언어 달라도 마음이 통하면 우리는 하나”
  5. 세종교육청 2026년 살림살이, 1조 1817억 원 편성

헤드라인 뉴스


주가 고공행진에 충청권 상장기업 시총 174조원 돌파

주가 고공행진에 충청권 상장기업 시총 174조원 돌파

대외 불확실성이 완화되면서 코스피 지수가 사상 처음으로 4000선을 돌파하자 충청권 상장사들의 주가도 고공행진하고 있다. 특히 외국인 투자자의 대규모 매수세가 이어지면서 한 달 새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이 전월 대비 19조 4777억 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거래소 대전혁신성장센터가 11일 발표한 '대전·충청지역 상장사 증시 동향'에 따르면 10월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은 174조 5113억 원으로 전월(155조 336억 원) 보다 12.6% 늘었다. 10월 한 달 동안 충북 지역의 시총은 27.4% 상승률을 보였고,..

조선시대 해안 방어의 핵심 거점…`서천읍성` 국가유산 사적 지정
조선시대 해안 방어의 핵심 거점…'서천읍성' 국가유산 사적 지정

국가유산청은 충남 서천군에 위치한 '서천읍성(舒川邑城)'을 국가지정문화유산 사적으로 지정했다고 11일 밝혔다. 서천읍성은 조선 세종(1438~1450년) 무렵에 금강 하구를 통해 충청 내륙으로 침입하던 왜구를 막기 위해 쌓은 성으로, 둘레 1645m 규모에 이른다. 조선 초기 국가가 해안 요충지에 세운 방어용 읍성인 연해읍성 가운데 하나다. 산지 지형을 활용해 쌓은 점이 특징이며, 일제강점기 '조선읍성 훼철령(1910년)' 속에서도 성벽 대부분이 원형을 유지해 보존 상태가 우수하다. 현재 전체 둘레의 약 93.3%(1535.5m)가..

세종 청소년 인구 1위 무색… "예산도 인력도 부족해"
세종 청소년 인구 1위 무색… "예산도 인력도 부족해"

'청소년 인구 최다' 지표를 자랑하는 세종시가 정작 청소년 예산 지원은 물론 전담 인력조차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에 이어 청소년 예산까지 감축된 흐름 속에 인력·자원의 재배치와 공공시설 확충을 통해 지역 미래 세대를 위한 전사적 지원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11일 세종시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아동청소년 인구(0~24세)는 11만 4000명(29.2%)이며, 이 중 청소년 인구(9~24세)는 7만 8000명으로, 전체 인구의 20%에 달하고 있다. 이는 전국 평균 15.1%를 크게 웃도는 규모로, 청소년 인구 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혼잡 없이 수능 시험장 찾아가세요’ ‘혼잡 없이 수능 시험장 찾아가세요’

  • 국제 육군 M&S 학술 컨퍼런스 및 전시회 국제 육군 M&S 학술 컨퍼런스 및 전시회

  • 2025년산 공공비축미곡 매입 시작 2025년산 공공비축미곡 매입 시작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답지 전국 배부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답지 전국 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