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내년 예산 '7조원대' 진입… 부산 이전비용 322억 달해

  • 정치/행정
  • 세종

해수부 내년 예산 '7조원대' 진입… 부산 이전비용 322억 달해

부산 동구 IM빌딩·협성타워 이전 앞둬
임시청사 임차료·직원 정주지원 등 포함
2026년 정부 예산안 올보다 8.1% 증액
북극항로·기후위기 대응 사업 등 '초점'
R&D 예산 8405억 달해 역대 최대규모

  • 승인 2025-09-02 16:00
  • 수정 2025-09-02 17:54
  • 신문게재 2025-09-03 3면
  • 이은지 기자이은지 기자
DSC02474
김성범 해양수산부 차관이 9월 2일 해양수산부 기자실에서 2026년 정부 예산안 브리핑을 가졌다. /해수부 제공
해양수산부의 부산시 이전에 필요한 비용이 322억 원으로 편성됐다. 이는 2026년 해양수산부 전체 예산안 7조 3279억 원의 약 4.4%를 차지한다. 예산 총액은 전년의 6조 7816억 원보다 8.1%(5471억 원) 증가한 규모다.

해양수산부(장관 전재수)는 2일 이 같은 편성안을 공표했다. 예산 증가의 초점은 북극항로 시대 주도, 해양수산 전 분야 AX(인공지능 전환) 지원 등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기후 위기 대응 사업 예산에 맞췄다.



역시나 가장 관심을 끄는 대목은 신규 예산으로 편성된 해수부 부산 이전 비용 322억 원이다. 임시 청사 임차료와 청사 관리비, 직원 정주여건 지원 등의 예산이 포함됐다. 다만, 아직 면적 등이 정해지지 않아 신청사 건립에 필요한 예산은 반영되지 않았다. 앞서 해수부는 부산 이전을 위한 예비비 867억 원을 확보했다.

2026년 해수부의 새 출발 둥지는 지난 7월 10일 선정된 부산시 동구 IM빌딩(본관)과 협성타워(별관)다. 본부 인원 850여 명 전원을 수용할 수 있고, 부산 지하철과 부산역 인근에 자리잡고 있다.



IM빌딩은 전용면적 1만 2209㎡ 규모의 19층 건축물로 1995년 준공됐고, 협성타워(2007년 준공)는 전체 15개 층 중 6개 층 사용을 전제로 한 전용면적 3275㎡로 IM빌딩과 연계 사용에 유리한 조건을 갖췄다. 서울과 인천, 세종 등으로 분산 배치돼 있는 산하 및 소속 기관 이전 시기 등은 아직 미지수다.

캡처
/해양수산부 제공
관건은 해수부가 부산 시대를 맞아 새로운 위상을 확보할 수 있느냐로 모아진다. 2022년부터 2026년까지 예산 추이만 놓고 보면, 2022년 6조 3800억 원에서 2023년 6조 4300억 원, 2024년 6조 6900억 원, 2025년 6조 7800억 원으로 계속 늘고 있다. 2026년 예산안은 특히 해양환경과 과학기술연구지원 부문에서 각각 21.7%와 15.3%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부문별로는 수산어촌에 3조 4563억 원, 해운항만에 2조 1373억 원, 물류 등 기타 해양산업에 1조 680억 원을 배정했다. 해양환경 부문은 4212억 원, 과학기술연구지원 부문은 2459억 원으로 편성됐다. R&D 예산은 8405억 원으로 전년 대비 917억 원(12.2%) 증가해, 기후대응기금 포함 시 9367억 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다.

해운항만 부문은 상대적으로 낮은 증가율을 보였으나 '해운·해사' 관련 예산은 10.0% 증액됐다. 항만 SOC 예산은 타당성 조사와 관계부처 협의 등 사전 절차 이행 필요성을 고려해 0.8%만 반영됐다.

해양수산부는 새 정부 국정운영 계획에 발맞춰 ▲북극항로 시대를 주도하는 해양강국 ▲경쟁력 있는 수산업, 활력 넘치는 어촌 ▲미래로 나아가는 역동적 해양산업 ▲굳건한 해양주권, 안전하고 청정한 우리 바다를 위한 사업 예산 등을 중점 반영했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내년도 예산 편성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고 해양수도권 조성 등 새정부 국정운영 계획을 성공적으로 이행하기 위한 예산에 중점 투자했다"라며 "해양수산부가 대한민국의 성장에 앞장설 수 있도록 국회 예산 심의 준비 등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세종=이은지 기자 lalaej2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준비 안된 채 신입생만 받아"… 충남대 반도체 공동 연구소 건립 지연에 학생들 불편
  2. '복지부 이관' 국립대병원 일제히 반발…"역할부터 예산·인력충원 無계획"
  3. '수도권 대신 지방의료를 수술 대상으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우려'
  4. 설동호 대전교육감 "수험생 모두 최선의 환경에서 실력 발휘하도록"
  5. 대전시의회 교육위 행정사무감사…학폭 예방 교육 실효성·대학 사업 점검
  1. 2025 '도전! 세종 교육행정' 골든벨 퀴즈 대회 성료
  2. 세종교육청 '수능' 앞둔 수험생 유의사항 전달
  3. [대전유학생한마음대회] 유득원 행정부시장 "세계로 잇는 든든한 주인공 뒷받침 최선"
  4. [대전유학생한마음대회] 박태구 중도일보 편집국장 “문화·언어 달라도 마음이 통하면 우리는 하나”
  5. 세종교육청 2026년 살림살이, 1조 1817억 원 편성

헤드라인 뉴스


주가 고공행진에 충청권 상장기업 시총 174조원 돌파

주가 고공행진에 충청권 상장기업 시총 174조원 돌파

대외 불확실성이 완화되면서 코스피 지수가 사상 처음으로 4000선을 돌파하자 충청권 상장사들의 주가도 고공행진하고 있다. 특히 외국인 투자자의 대규모 매수세가 이어지면서 한 달 새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이 전월 대비 19조 4777억 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거래소 대전혁신성장센터가 11일 발표한 '대전·충청지역 상장사 증시 동향'에 따르면 10월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은 174조 5113억 원으로 전월(155조 336억 원) 보다 12.6% 늘었다. 10월 한 달 동안 충북 지역의 시총은 27.4% 상승률을 보였고,..

조선시대 해안 방어의 핵심 거점…`서천읍성` 국가유산 사적 지정
조선시대 해안 방어의 핵심 거점…'서천읍성' 국가유산 사적 지정

국가유산청은 충남 서천군에 위치한 '서천읍성(舒川邑城)'을 국가지정문화유산 사적으로 지정했다고 11일 밝혔다. 서천읍성은 조선 세종(1438~1450년) 무렵에 금강 하구를 통해 충청 내륙으로 침입하던 왜구를 막기 위해 쌓은 성으로, 둘레 1645m 규모에 이른다. 조선 초기 국가가 해안 요충지에 세운 방어용 읍성인 연해읍성 가운데 하나다. 산지 지형을 활용해 쌓은 점이 특징이며, 일제강점기 '조선읍성 훼철령(1910년)' 속에서도 성벽 대부분이 원형을 유지해 보존 상태가 우수하다. 현재 전체 둘레의 약 93.3%(1535.5m)가..

세종 청소년 인구 1위 무색… "예산도 인력도 부족해"
세종 청소년 인구 1위 무색… "예산도 인력도 부족해"

'청소년 인구 최다' 지표를 자랑하는 세종시가 정작 청소년 예산 지원은 물론 전담 인력조차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에 이어 청소년 예산까지 감축된 흐름 속에 인력·자원의 재배치와 공공시설 확충을 통해 지역 미래 세대를 위한 전사적 지원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11일 세종시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아동청소년 인구(0~24세)는 11만 4000명(29.2%)이며, 이 중 청소년 인구(9~24세)는 7만 8000명으로, 전체 인구의 20%에 달하고 있다. 이는 전국 평균 15.1%를 크게 웃도는 규모로, 청소년 인구 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혼잡 없이 수능 시험장 찾아가세요’ ‘혼잡 없이 수능 시험장 찾아가세요’

  • 국제 육군 M&S 학술 컨퍼런스 및 전시회 국제 육군 M&S 학술 컨퍼런스 및 전시회

  • 2025년산 공공비축미곡 매입 시작 2025년산 공공비축미곡 매입 시작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답지 전국 배부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답지 전국 배부